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진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의 서술어 기제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 ‘지각적 판단’과 ‘논리적 해석체’를 중심으로 = The Semiotic Approach to the Predicate Mechanism of Tautological Expressions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Focusing on ‘Perceptual Judgment’ and ‘Logical Interpret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9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propositional signs to the cognitive dimension by explaining the predicate mechanism of tautological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rough Peirce’s concepts of semiotics. Above all, it is worth discussing the distinct sign mechanism of tautological expressions in that ‘A is A’ has become a commonly used sentence type in everyday life. I focus on that the predicate ‘noun+yida(=is)’ describes the property or state of the subject, like a verb or adjective, rather than categorizing the subject or placing the two concepts in an equivalence relation. I suppose that the idea that ‘noun+yida(=is)’ represents presupposes the speaker’s conceptualization of the object that the noun refers to. The conceptualization is based on ‘perceptual judgment’, the process of abstracting qualities from the object and interpreting them, and ‘logical interpretant’, which takes the form of propositional signs. This explains how the same expression can represent different predicate-ideas depending on the speaker and context. On the other hand, I point out that tautological expressions are distinguished from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erms of formality in that the two relata are the sam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positional signs is closely related to the motive for the interpreter to refer to the conceptualized idea and the representational effect of the signs. Meta-understanding of the predicate mechanism of two propositional signs is expected to support expanded research on language communication, including machine translation and reasoning skill trai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propositional signs to the cognitive dimension by explaining the predicate mechanism of tautological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rough Peirce’s co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propositional signs to the cognitive dimension by explaining the predicate mechanism of tautological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rough Peirce’s concepts of semiotics. Above all, it is worth discussing the distinct sign mechanism of tautological expressions in that ‘A is A’ has become a commonly used sentence type in everyday life. I focus on that the predicate ‘noun+yida(=is)’ describes the property or state of the subject, like a verb or adjective, rather than categorizing the subject or placing the two concepts in an equivalence relation. I suppose that the idea that ‘noun+yida(=is)’ represents presupposes the speaker’s conceptualization of the object that the noun refers to. The conceptualization is based on ‘perceptual judgment’, the process of abstracting qualities from the object and interpreting them, and ‘logical interpretant’, which takes the form of propositional signs. This explains how the same expression can represent different predicate-ideas depending on the speaker and context. On the other hand, I point out that tautological expressions are distinguished from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erms of formality in that the two relata are the sam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positional signs is closely related to the motive for the interpreter to refer to the conceptualized idea and the representational effect of the signs. Meta-understanding of the predicate mechanism of two propositional signs is expected to support expanded research on language communication, including machine translation and reasoning skill trai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항진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의 서술어 기제를 퍼스의 기호학 개념을 통해설명함으로써 명제 기호의 재현적 특성을 인지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논의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특히 ‘A는 A이다’와 같은 동격 항진적 표현은 하나의 문형으로서 일상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고유한 기호적 특성에 관한 논의가 요구된다. 더불어 ‘명사+이다’ 형태를 띠는 두 명제 기호의 서술어는 주어를 범주화하거나두 개념을 등치 관계에 놓는 것이 아니라, 동사나 형용사와 같이 대상의 속성이나 상태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명사+이다’의 서술성은 명사가 지시하는 대상과 관련하여 화자가 특정 관념을 개념화하고 있음을 전제하며, 이는대상으로부터 특정한 자질(quality)을 분해하여 해석하는 과정인 ‘지각적 판단(perceptual judgment)’ 및 명제 기호의 형식을 띠는 ‘논리적 해석체(logical interpretant)’ 에 기반함을 논의한다. 두 개념은 같은 표현이 화자와 맥락에 따라 대상에 관한 다른서술 관념을 재현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해준다. 한편 본 연구는 항진적 표현의 경우명제 기호를 이루는 두 관계항이 같다는 점에서 은유와 형식적 측면에서 구분됨을 지적하고, 두 명제 기호의 차이는 해석자가 특정 관념을 참조하는 동기와 그로부터 비롯된 기호의 재현적 효과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두 명제 기호의 서술어기제에 대한 메타적 이해는 일상적인 의사소통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기계 번역 및 인공지능의 추론 능력 훈련 등 언어기호를 매개로 하는 소통에 관한 연구들에도 도움을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항진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의 서술어 기제를 퍼스의 기호학 개념을 통해설명함으로써 명제 기호의 재현적 특성을 인지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논의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특히 ...

      본 연구는 항진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의 서술어 기제를 퍼스의 기호학 개념을 통해설명함으로써 명제 기호의 재현적 특성을 인지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논의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특히 ‘A는 A이다’와 같은 동격 항진적 표현은 하나의 문형으로서 일상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고유한 기호적 특성에 관한 논의가 요구된다. 더불어 ‘명사+이다’ 형태를 띠는 두 명제 기호의 서술어는 주어를 범주화하거나두 개념을 등치 관계에 놓는 것이 아니라, 동사나 형용사와 같이 대상의 속성이나 상태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명사+이다’의 서술성은 명사가 지시하는 대상과 관련하여 화자가 특정 관념을 개념화하고 있음을 전제하며, 이는대상으로부터 특정한 자질(quality)을 분해하여 해석하는 과정인 ‘지각적 판단(perceptual judgment)’ 및 명제 기호의 형식을 띠는 ‘논리적 해석체(logical interpretant)’ 에 기반함을 논의한다. 두 개념은 같은 표현이 화자와 맥락에 따라 대상에 관한 다른서술 관념을 재현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해준다. 한편 본 연구는 항진적 표현의 경우명제 기호를 이루는 두 관계항이 같다는 점에서 은유와 형식적 측면에서 구분됨을 지적하고, 두 명제 기호의 차이는 해석자가 특정 관념을 참조하는 동기와 그로부터 비롯된 기호의 재현적 효과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두 명제 기호의 서술어기제에 대한 메타적 이해는 일상적인 의사소통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기계 번역 및 인공지능의 추론 능력 훈련 등 언어기호를 매개로 하는 소통에 관한 연구들에도 도움을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승혜, "항진적 표현의 기호학적 접근: 명사의 서술 관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22

      2 최중열, "항진명제(tautology)의 의미해석" 인문과학연구소 139-150, 1992

      3 이미순, "항진 명제 발화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담화·인지언어학회 16 (16): 123-147, 2009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5 코르넬리스 드발, "퍼스 철학의 이해" HUiNE 2019

      6 제임스 리슈카, "퍼스 기호학의 이해" iNE 2019

      7 국립국어원, "우리말 샘"

      8 안토니오 다마지오, "느낌의 진화: 생명과 문화를 만든 놀라운 순서" arte 2019

      9 이정애, "국어 항진명제에 대한 의미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179-202, 2010

      10 전혜영,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X는 X다’ 표현의 화용 양상" 국어학회 (64) : 273-299, 2012

      1 홍승혜, "항진적 표현의 기호학적 접근: 명사의 서술 관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22

      2 최중열, "항진명제(tautology)의 의미해석" 인문과학연구소 139-150, 1992

      3 이미순, "항진 명제 발화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담화·인지언어학회 16 (16): 123-147, 2009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5 코르넬리스 드발, "퍼스 철학의 이해" HUiNE 2019

      6 제임스 리슈카, "퍼스 기호학의 이해" iNE 2019

      7 국립국어원, "우리말 샘"

      8 안토니오 다마지오, "느낌의 진화: 생명과 문화를 만든 놀라운 순서" arte 2019

      9 이정애, "국어 항진명제에 대한 의미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179-202, 2010

      10 전혜영,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X는 X다’ 표현의 화용 양상" 국어학회 (64) : 273-299, 2012

      11 C. S. Peirce, "The Peirce Edition Project (vol. 2)"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12 S. C. Levinson,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3 D. Anderson, "Peirce on metaphor" 20 (20): 453-468, 1984

      14 C. S. Peirce,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 Peirce, 8 vols" Harvard University Press 1931-1958, 1931

      15 C. S. Peirce, "An Original Manuscript, numbered according to Prof Richard S. Robin’s annotated catalogu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