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승혜, "항진적 표현의 기호학적 접근: 명사의 서술 관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22
2 최중열, "항진명제(tautology)의 의미해석" 인문과학연구소 139-150, 1992
3 이미순, "항진 명제 발화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담화·인지언어학회 16 (16): 123-147, 2009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5 코르넬리스 드발, "퍼스 철학의 이해" HUiNE 2019
6 제임스 리슈카, "퍼스 기호학의 이해" iNE 2019
7 국립국어원, "우리말 샘"
8 안토니오 다마지오, "느낌의 진화: 생명과 문화를 만든 놀라운 순서" arte 2019
9 이정애, "국어 항진명제에 대한 의미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179-202, 2010
10 전혜영,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X는 X다’ 표현의 화용 양상" 국어학회 (64) : 273-299, 2012
1 홍승혜, "항진적 표현의 기호학적 접근: 명사의 서술 관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22
2 최중열, "항진명제(tautology)의 의미해석" 인문과학연구소 139-150, 1992
3 이미순, "항진 명제 발화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담화·인지언어학회 16 (16): 123-147, 2009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5 코르넬리스 드발, "퍼스 철학의 이해" HUiNE 2019
6 제임스 리슈카, "퍼스 기호학의 이해" iNE 2019
7 국립국어원, "우리말 샘"
8 안토니오 다마지오, "느낌의 진화: 생명과 문화를 만든 놀라운 순서" arte 2019
9 이정애, "국어 항진명제에 대한 의미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179-202, 2010
10 전혜영,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X는 X다’ 표현의 화용 양상" 국어학회 (64) : 273-299, 2012
11 C. S. Peirce, "The Peirce Edition Project (vol. 2)"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12 S. C. Levinson,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3 D. Anderson, "Peirce on metaphor" 20 (20): 453-468, 1984
14 C. S. Peirce,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 Peirce, 8 vols" Harvard University Press 1931-1958, 1931
15 C. S. Peirce, "An Original Manuscript, numbered according to Prof Richard S. Robin’s annotated cata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