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로테스크, 파생성(破生性)의 미학 = Grotesque, Aesthetic of Destructive Cre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9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dentity or the nature of the Grotesque by approaching it through the concept of destructive creation.
      Here, destructive creation is a concept proposed by the author. The term destructive creation emphasizes destructive and revolutionary power, particularly the collapse of time in the form of “creation preceded by death”appearing in the Grotesque. This nature of the Grotesque is evident in the Modern era’s mutilated, disintegrated, and fragmented representations of the body. Bakhtin viewed these as elements of the Grotesque style, which also appeared in Montaigne’s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aspects of mutilated representations of the body and focuses on the problem of time inherent in them. Furthermore, we will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approaching the topic using the ideas from anachronism and anachrony.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dentity or the nature of the Grotesque by approaching it through the concept of destructive creation. Here, destructive creation is a concept proposed by the author. The term destructive creation emphasizes destru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dentity or the nature of the Grotesque by approaching it through the concept of destructive creation.
      Here, destructive creation is a concept proposed by the author. The term destructive creation emphasizes destructive and revolutionary power, particularly the collapse of time in the form of “creation preceded by death”appearing in the Grotesque. This nature of the Grotesque is evident in the Modern era’s mutilated, disintegrated, and fragmented representations of the body. Bakhtin viewed these as elements of the Grotesque style, which also appeared in Montaigne’s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aspects of mutilated representations of the body and focuses on the problem of time inherent in them. Furthermore, we will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approaching the topic using the ideas from anachronism and anachron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 문화 및 현대미술을 관찰하며 다종다기한 형태로 나타나는 일련의 두드러진 표출방식 즉, 그로테스크에 주목한다. 사실, 전통 미학의 이단아로서 그로테스크는 부정적인 인상, 느낌, 그리고 미적 판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로 가득하다. 기이한 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수용자에게 모순된 반응을(‘불편하지만 매력적인’, ‘두렵지만 보고 싶은’) 일으켜왔으며, 이를 통해 ‘그로테스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도록 해왔다. 본 연구는 그로테스크의 본성 내지는 정체성을 탐구하고자 하며 이를 “파생성(破生性)”의 개념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파생성이란 저자가 제시하는 용어이다. 생성을 의미하지만 파괴, 전복적인힘을 강조하고, 그로테스크에서 나타나는 ‘죽음을 앞세운 탄생’이란 시간의 붕괴 경향을 부각시키는 용어이다. 이 그로테스크의 파생성의 특징을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은 몸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대적인 재현의 세계에서 부상한 잘리고, 분화되고, 파편화된 몸이다. 바흐친은 이러한 몸의 특성을 그로테스크 형식의 일부로 보았다.
      그것은 16세기 몽테뉴의 글쓰기 형식에서도 나타난다. 논문은 이러한 잘린 몸의 특성에서 출발하여 그 안에 잠재한 시간성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그리고 그것을 화살 시간의 붕괴 경향, 또는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내지는 아나크로니(annachrony)의 개념으로 접근할 가능성을 또한 타진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 문화 및 현대미술을 관찰하며 다종다기한 형태로 나타나는 일련의 두드러진 표출방식 즉, 그로테스크에 주목한다. 사실, 전통 미학의 이단아로서 그로테스크는 부정적인 인...

      본 연구는 사회, 문화 및 현대미술을 관찰하며 다종다기한 형태로 나타나는 일련의 두드러진 표출방식 즉, 그로테스크에 주목한다. 사실, 전통 미학의 이단아로서 그로테스크는 부정적인 인상, 느낌, 그리고 미적 판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로 가득하다. 기이한 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수용자에게 모순된 반응을(‘불편하지만 매력적인’, ‘두렵지만 보고 싶은’) 일으켜왔으며, 이를 통해 ‘그로테스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도록 해왔다. 본 연구는 그로테스크의 본성 내지는 정체성을 탐구하고자 하며 이를 “파생성(破生性)”의 개념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파생성이란 저자가 제시하는 용어이다. 생성을 의미하지만 파괴, 전복적인힘을 강조하고, 그로테스크에서 나타나는 ‘죽음을 앞세운 탄생’이란 시간의 붕괴 경향을 부각시키는 용어이다. 이 그로테스크의 파생성의 특징을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은 몸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대적인 재현의 세계에서 부상한 잘리고, 분화되고, 파편화된 몸이다. 바흐친은 이러한 몸의 특성을 그로테스크 형식의 일부로 보았다.
      그것은 16세기 몽테뉴의 글쓰기 형식에서도 나타난다. 논문은 이러한 잘린 몸의 특성에서 출발하여 그 안에 잠재한 시간성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그리고 그것을 화살 시간의 붕괴 경향, 또는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내지는 아나크로니(annachrony)의 개념으로 접근할 가능성을 또한 타진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2001

      2 린다 노클린,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조형교육 2001

      3 미하일 바흐찐,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2020

      4 앙드레 샤스텔, "문화재의 개념" 아모르문디 2016

      5 김예경, "그로테스크 미학 - 19세기 대중예술의 팬터마임과 파국의 피에로" 한국기호학회 68 : 59-89, 2021

      6 필립 톰슨, "그로테스크" 서울대학출판부 1985

      7 Brumbaugh, Robert, "Unreality and Tim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4

      8 Yuan Yuan, "The Riddling between Oedipus and the Sphinx, Onthology, Hauntology, and Heterologies of the Grotesqu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6

      9 Morgan, Like, "The Monster ion the Garden, The Grotesque and the Gigantic in Rennaissance Landscape Desig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10 Goldberg, Roselee, "Performance, Live Art 1909 to the Present"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19-, 1979

      1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2001

      2 린다 노클린,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조형교육 2001

      3 미하일 바흐찐,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2020

      4 앙드레 샤스텔, "문화재의 개념" 아모르문디 2016

      5 김예경, "그로테스크 미학 - 19세기 대중예술의 팬터마임과 파국의 피에로" 한국기호학회 68 : 59-89, 2021

      6 필립 톰슨, "그로테스크" 서울대학출판부 1985

      7 Brumbaugh, Robert, "Unreality and Tim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4

      8 Yuan Yuan, "The Riddling between Oedipus and the Sphinx, Onthology, Hauntology, and Heterologies of the Grotesqu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6

      9 Morgan, Like, "The Monster ion the Garden, The Grotesque and the Gigantic in Rennaissance Landscape Desig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10 Goldberg, Roselee, "Performance, Live Art 1909 to the Present"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19-, 1979

      11 Harpham, Geoffrey Galt, "On the Grotesque, Strategie of Contradiction in Art and Literature" The Davies Group Publishers 2006

      12 Hugo, Victor, "OEuvres complètes: Cromwell, , [Volume 23]-Théâtre, tome I. Wikisource, la bibliotheque libre" Hernani, Librairie Ollendorff

      13 Baudelaire, Charles, "OEuvres complètes, Vol.2" Gallimard 1976

      14 Rancière, Jacques, "Le concept d’anachronisme et la vérité de l’historien" Calmann-Lévy (6) : 53-68, 1996

      15 Epps, Brad, "Grotesque Identities: Writing, Death, and the Space of the Subject (Between Michel de Montaigne" 28 (28): 38-55, 1995

      16 Claus Uhlig, "Forms of Time and Varieties of Change in Literary Texts" 37 (37): 289-300, 1985

      17 Burton, Stacy, "Bakhtin, Temporality, and Modern Narrative : Writing “the Whole Triumphant Murderous Unstoppable Chute" 48 (48): 39-64, 1996

      18 Alexander Nagel, "Anachronic Renaissan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