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방송(DBS)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1976) 연구 = A Study of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1976) of DB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3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아방송(DBS)은 판소리드라마 <흥보전>, <수궁가>, <춘향전>, <심청전>, <적벽가>, <숙영낭자전>, <배비장전>, <옹고집전>, <장끼전>, <변강쇠전> 등을 ...

      동아방송(DBS)은 판소리드라마 <흥보전>, <수궁가>, <춘향전>, <심청전>, <적벽가>, <숙영낭자전>, <배비장전>, <옹고집전>, <장끼전>, <변강쇠전> 등을 제작하여 1976년 1월 1일부터 1977년 3월 1일까지 방송했다. 장장 1년 2개월에 걸쳐 무려 10편의 판소리드라마를 방송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그만큼 청취자들의 반응이 좋았기 때문이었다. 판소리드라마는 고전 판소리 작품을 현대적인 문화콘텐츠로 재창조하여 성공을 거둔 중요한 사례로서, 고전이 갖는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에 대한 사회와 학계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이 시대에 더욱 눈여겨보아야 할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판소리드라마의 양식적 특성과 각색 방식이 검토되었지만 개별 작품에 대한 자세한 검토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의 독창적 면모를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했다.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은 박동진 창(唱) <배비장타령>을 기초로 제작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과 그 원작에 해당되는 박동진창 <배비장타령>의 비교에 집중했다.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의 전체줄거리는 원작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원작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었던 배비장의 ‘위선’이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에서는 풍자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호색(好色)하는 마음을 들킬까 봐 더욱 군자인 양하며 큰소리치는 배비장의 위선이 악의적인 행동으로 간주되기보다는, 성숙하지 못한 행동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배비장의 호색 기질이나, 그러한 기질을 숨기고 군자인 양하는 위선이 아니라, 배비장의 미성숙이다. 그런 점에서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은 겉만 어른이고 속은 어린아이인 배비장의 성장 드라마라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ality of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 which was produced and broadcast by DBS(Dong-A Broadcasting System) in 1976, by comparing it with the original pansori work “Baebijangtaryeong” restored and performed by Par...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ality of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 which was produced and broadcast by DBS(Dong-A Broadcasting System) in 1976, by comparing it with the original pansori work “Baebijangtaryeong” restored and performed by Park Dong-jin, the master pansori singer of the 20th century.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has significant value as an object of study because it shows us how the classics can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that are not only enjoyable, but also meaningful to modern audiences. Most of all,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reinterprets the main figure of Baebijang, who has always been notorious for his hypocrisy ever since he first 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n performing art and literature. In the original pansori work “Baebijangtaryeong”, secondary figures such as Bangja, Aerang, and the governor of Jeju Island snare Baebijang in a conspiracy to expose his hypocrisy. In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 on the other hand, Bangja, Aerang, and the governor of Jeju Island treat Baebijang with favor and help him learn a good lesson from his own mistake, and with such a change the bitter satire on the hypocrisy of an immoral man is
      replaced by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immaturity of an ordinary man. By changing the secondary figures’ perspectives on the main figure,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reveals a new perspective on human nature and human life: It regards Baebijang’s pretending to be a moral man not as evil behavior but rather as immature behavior.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show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박동진 창 <배비장타령>의 특징과 지향
      • 3.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의 독창적 면모
      • 4. 결론
      • 1. 서론
      • 2. 박동진 창 <배비장타령>의 특징과 지향
      • 3.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의 독창적 면모
      •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 (릴 테이프)"

      2 이국자, "판소리 연구" 정음사 1990

      3 김현주, "판소리 담화 분석" 한국학술정보 2008

      4 이진주, "창극 <배비장전>의 공연사와 무대화 양상" 한국극예술학회 (55) : 13-50, 2017

      5 권순긍, "제주 오페라 <拏: 애랑 & 배비장>과 <배비장전>의 문화콘텐츠 방안" 영주어문학회 31 : 5-36, 2015

      6 "인간문화재 박동진 판소리 대전집: 배비장 타령 (CD)"

      7 서유석, "옹고집전·배비장전의 작품세계" 보고사 2013

      8 "배비장전 (릴 테이프)"

      9 이문성, "박동진 창본 <배비장타령>의 면모와 지향" 한국학연구소 (56) : 173-189, 2016

      10 "동아일보"

      1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 (릴 테이프)"

      2 이국자, "판소리 연구" 정음사 1990

      3 김현주, "판소리 담화 분석" 한국학술정보 2008

      4 이진주, "창극 <배비장전>의 공연사와 무대화 양상" 한국극예술학회 (55) : 13-50, 2017

      5 권순긍, "제주 오페라 <拏: 애랑 & 배비장>과 <배비장전>의 문화콘텐츠 방안" 영주어문학회 31 : 5-36, 2015

      6 "인간문화재 박동진 판소리 대전집: 배비장 타령 (CD)"

      7 서유석, "옹고집전·배비장전의 작품세계" 보고사 2013

      8 "배비장전 (릴 테이프)"

      9 이문성, "박동진 창본 <배비장타령>의 면모와 지향" 한국학연구소 (56) : 173-189, 2016

      10 "동아일보"

      11 이유진, "동아방송(DBS) 판소리드라마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46) : 263-292, 2017

      12 권두환, "裵裨將傳硏究" 일지사 17 : 107-125, 1979

      13 정노식, "朝鮮唱劇史"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14 정충권, "<배비장타령> 재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7) : 211-234, 2004

      15 김영주, "<배비장전>의 풍자구조와 그 의미망" 판소리학회 (25) : 111-136, 2008

      16 권순긍, "<배비장전>의 變改와 문화콘텐츠 양상" 반교어문학회 (40) : 17-61, 2015

      17 이상일, "<배비장전> 작품 세계의 재조명" 판소리학회 (39) : 231-260, 2015

      18 이유경, "<배비장전> 서사의 현대적 수용 양상 연구 -판소리 <배비장전>과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6) : 169-203, 2017

      19 권순긍, "<裵裨將傳>의 풍자층위와 역사적 성격" 반교어문학회 7 : 227-244,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