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해의 섬광 속에서": 발터 벤야민의 『비애극서』와 관련 속에서 읽은 토마스 만의 『파우스트 박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파우스트 박사』를 『비애극서』와 관련지어 읽는 것이 가능하며 다층적인 차원에서 양자 사이에 친화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텍스트는 각기 당대의 위기상황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을 맺고 있으며, 파국으로서의 역사는 양자의 공통된 중심 주제이다. 그것들은 또한 시대의 위기에 조응하는 예술의 위기에 대한 반응이기도 하다. 양자에서는 “가상적 유희 scheinhaftes Spiel”에 기반을 둔 예술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예술의 “교정” 혹은 새로운 “돌파”가 필요하다는 예술철학적 관점이 확인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볼 때 벤야민과 토마스 만이 각각 바로크 드라마와 레버퀸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유희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들이 단순히 유희성을 예술의 본질로 보고 있다는 점을 넘어 조화로운 가상의 예술 이후의 새로운 예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준다. 레버퀸의 음악구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두 가지 개념인 마방진과 성좌는 『비애극서』의 주제인 멜랑콜리와 이념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핵심적인 개념이다. 『비애극서』와 레버퀸의 음악세계에서 마방진은 신비한 반전을 가능하게 하는 마술적인 힘을 지닌 체계로서 서술된다. 불연속성과 상호조응을 특징으로 하는 성좌의 관점 하에서 볼 때 레버퀸의 음악세계는 벤야민의 이념론뿐만 아니라 『비애극서』 전체와 유사관계에 들어선다. 『파우스트 박사』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반복과 엮임은 벤야민의 텍스트에서도 그대로 확인되며, 토마스 만의 고유한 몽타주 작업이 지니는 보이지 않는 실험성과 비록 잠재적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작업으로 인해 지적인 독자가 타게 될 독서의 “단속적인 리듬”은 간접적으로 벤야민의 텍스트의 리듬과 친화성을 갖는다. 두 작가는 공통적으로 근본적으로 사라지고, 잊히고, 몰락하는 것을 구제하려는 종교적 혹은 신학적 관심을 보인다. 이 경우 믿음과 “보증된 구원의 전체질서”를 넘어서는, 희망에 근거한 역동적인 관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파우스트 박사』를 『비애극서』와 관련지어 읽는 것이 가능하며 다층적인 차원에서 양자 사이에 친화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텍스트는 각기 당대의 위기상황과 직간접...

      본 연구는 『파우스트 박사』를 『비애극서』와 관련지어 읽는 것이 가능하며 다층적인 차원에서 양자 사이에 친화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텍스트는 각기 당대의 위기상황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을 맺고 있으며, 파국으로서의 역사는 양자의 공통된 중심 주제이다. 그것들은 또한 시대의 위기에 조응하는 예술의 위기에 대한 반응이기도 하다. 양자에서는 “가상적 유희 scheinhaftes Spiel”에 기반을 둔 예술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예술의 “교정” 혹은 새로운 “돌파”가 필요하다는 예술철학적 관점이 확인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볼 때 벤야민과 토마스 만이 각각 바로크 드라마와 레버퀸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유희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들이 단순히 유희성을 예술의 본질로 보고 있다는 점을 넘어 조화로운 가상의 예술 이후의 새로운 예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준다. 레버퀸의 음악구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두 가지 개념인 마방진과 성좌는 『비애극서』의 주제인 멜랑콜리와 이념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핵심적인 개념이다. 『비애극서』와 레버퀸의 음악세계에서 마방진은 신비한 반전을 가능하게 하는 마술적인 힘을 지닌 체계로서 서술된다. 불연속성과 상호조응을 특징으로 하는 성좌의 관점 하에서 볼 때 레버퀸의 음악세계는 벤야민의 이념론뿐만 아니라 『비애극서』 전체와 유사관계에 들어선다. 『파우스트 박사』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반복과 엮임은 벤야민의 텍스트에서도 그대로 확인되며, 토마스 만의 고유한 몽타주 작업이 지니는 보이지 않는 실험성과 비록 잠재적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작업으로 인해 지적인 독자가 타게 될 독서의 “단속적인 리듬”은 간접적으로 벤야민의 텍스트의 리듬과 친화성을 갖는다. 두 작가는 공통적으로 근본적으로 사라지고, 잊히고, 몰락하는 것을 구제하려는 종교적 혹은 신학적 관심을 보인다. 이 경우 믿음과 “보증된 구원의 전체질서”를 넘어서는, 희망에 근거한 역동적인 관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Arbeit zeigt, dass Thomas Manns Doktor Faustus(1947) in Bezug auf das Benjaminische Trauerspielbuch(1925) lesbar ist und dass eine Affinität zwischen den beiden Texten in mehrfacher Hinsicht zu bestätigen ist. Sie stehen in ihrer Entstehung in Zusammenhang mit den zeitgenössischen Krisen, und die Geschichte als Katastrophe ist eins von ihren zentralen Themen. Außerdem sind sie eine Reaktion auf die Krise der Kunst, die der der Wirklichkeit entspricht. Gemeinsam liegt ihnen die kunstphilosophische Idee zu Grunde, dass das Ideal des harmonischen Scheins in der Kunst nicht mehr gelte und dass die Kunst demnach eine “Korrektur” bzw. einen “Durchbruch” brauche. Die beiden Begriffe ‘Magisches Quadrat’ und ‘Konstellation’, die für die Auffassung der musikalischen Welt Leverkühns zentrale Bedeutung haben, sind auch jeweils Schlüsselkonzepte für das Verständnis der Melancholie-Lehre und der Ideenlehre im Trauerspielbuch. Die beiden Texte machen auf die Zauberkraft des magischen Quadrats aufmerksam, die eine Transformation ermöglicht ― d.h. im Fall des Trauerspielbuchs nach der Tradition humanistischer Melancholie-Diskurse die Wandlung schädlicher Melancholie in segensreiche und im Fall der Musikwelt Leverkühns im musikphilosophischen Sinne die Geburt des freien Ausdrucks aus der stren
      번역하기

      Die Arbeit zeigt, dass Thomas Manns Doktor Faustus(1947) in Bezug auf das Benjaminische Trauerspielbuch(1925) lesbar ist und dass eine Affinität zwischen den beiden Texten in mehrfacher Hinsicht zu bestätigen ist. Sie stehen in ihrer Entstehung in Z...

      Die Arbeit zeigt, dass Thomas Manns Doktor Faustus(1947) in Bezug auf das Benjaminische Trauerspielbuch(1925) lesbar ist und dass eine Affinität zwischen den beiden Texten in mehrfacher Hinsicht zu bestätigen ist. Sie stehen in ihrer Entstehung in Zusammenhang mit den zeitgenössischen Krisen, und die Geschichte als Katastrophe ist eins von ihren zentralen Themen. Außerdem sind sie eine Reaktion auf die Krise der Kunst, die der der Wirklichkeit entspricht. Gemeinsam liegt ihnen die kunstphilosophische Idee zu Grunde, dass das Ideal des harmonischen Scheins in der Kunst nicht mehr gelte und dass die Kunst demnach eine “Korrektur” bzw. einen “Durchbruch” brauche. Die beiden Begriffe ‘Magisches Quadrat’ und ‘Konstellation’, die für die Auffassung der musikalischen Welt Leverkühns zentrale Bedeutung haben, sind auch jeweils Schlüsselkonzepte für das Verständnis der Melancholie-Lehre und der Ideenlehre im Trauerspielbuch. Die beiden Texte machen auf die Zauberkraft des magischen Quadrats aufmerksam, die eine Transformation ermöglicht ― d.h. im Fall des Trauerspielbuchs nach der Tradition humanistischer Melancholie-Diskurse die Wandlung schädlicher Melancholie in segensreiche und im Fall der Musikwelt Leverkühns im musikphilosophischen Sinne die Geburt des freien Ausdrucks aus der str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