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RBN의 AMPK 활성 조절기전 규명을 통한 항비만 및 항당뇨 제제의 개발 = Discovery of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drugs based on the molecular mechanism of AMPK regulation by CRBN R&D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7607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6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정신지체 발병 원인 유전자이며 대사조절의 핵심효소 AMPK의 음성적 활성조절 자로 검증된 cereblon (CRBN)의 1) 활성조절기전을 분자 및 세포수준에서 이해하고, 2) CRBN 유전자 발현 양상 및 조절인자를 확인하며, 3) 인간 CRBN 돌연변이의 분자병인을 규명하고, 4) 조직 특이적 유전자 결손 동물모델의 확보를 통해 CRBN의 AMPK 조절기전 및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CRBN과 AMPK 결합 억제물질 탐색을 통한 비만 및 당뇨 등 대사질환의 새로운 치료 후보물질 을 발굴에 기여함.
      연구개발성과
      ◦ CRBN의 AMPK 활성화 분자기전의 규명
      ․ AMPK α-소단위체가 CRBN의 N-말단 및 C-말단 도메인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고, 결합에 중요한 단백질 모티프(motif)를 규명함.
      ․ AMPK γ-소단위체가 프로테오좀(proteasome) 의존적으로 분해를 확인함.
      ․ AMPK γ-소단위체가 CRBN에 의하여 유비퀴틴화 됨을 확인함으로써, γ-소단위체가 CRBN의 새로운 기질(substrate)임을 규명함.
      ․ AMPK γ-소단위체의 유비퀴틴화 위치 확인을 위한 돌연변이 단백질을 구축함.
      ◦ 세포 외부인자에 의한 CRBN 유전자 발현조절 기전 규명
      ․ 생리학적 농도의 포도당에 의해 CRBN 유전자의 발현 및 단백질의 증가를 확인함.
      ․ CRBN의 프로모터 상류 부위(upstream)의 전사인자 결합위치를 탐색하고, CRBN
      유전자발현 후보 전사인자 표적을 도출함.
      ◦ 정신지체 발병 CRBN 돌연변이의 분자적 병인 규명
      ․ AMPK를 통한 CRBN의 하류 표적 mTOR의 활성 증가를 확인함.
      ․ 돌연변이 CRBN(mutant CRBN)’이 AMPK에 대한 강한 결합력을 상실함을 확인함.
      ․ 돌연변이 CRBN이 AMPK-mTOR 경로를 통한 새로운 단백질 합성의 조절능을 상실했음을 확인함.
      ◦ 조직 특이적 CRBN 결손생쥐 구축
      ․ 간(liver) 특이적 CRBN 결손생쥐의 확보를 위해, LoxP 생쥐와 albumin cre 생쥐를 확보, 유지함.
      ․ LoxP CRBN과 albumin-cre 생쥐의 교배를 통한 2세대 생쥐를 구축하여 확보함.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CRBN의 AMPK 활성억제 기전이 AMPK 복합체의 α-소단위체 결합 및 γ-소단위체에 대한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의존적 분해에 의한 함임을 규명함.
      ◦ CRBN과 AMPK의 결합부위를 특정함으로써, 향후 이 부위 결합의 저해를 통해 AMPK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는 항비만 및 항당료 약물개발에 기여함.
      ◦ CRBN 유전자 발현를 조절하는 외부인자 및 전사조절 인자를 도출함으로써, CRBN 발현의 인위적 조절 가능성을 제시함.
      ◦ 돌연변이 CRBN에 의해 유도되는 정신지체의 분자병인을 규명함으로써, 조기검진 및 치료법 개발 등의 향후 연구에 기여함.
      ◦ 간 특이적 CRBN 결손생쥐를 구축함으로써, 생체 에너지 대사 조절 시 간 내 CRBN의 기능 규명이 가능하게 함.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정신지체 발병 원인 유전자이며 대사조절의 핵심효소 AMPK의 음성적 활성조절 자로 검증된 cereblon (CRBN)의 1) 활성조절기전을 분자 및 세포수준에서 이해하고, 2) CRBN 유전...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정신지체 발병 원인 유전자이며 대사조절의 핵심효소 AMPK의 음성적 활성조절 자로 검증된 cereblon (CRBN)의 1) 활성조절기전을 분자 및 세포수준에서 이해하고, 2) CRBN 유전자 발현 양상 및 조절인자를 확인하며, 3) 인간 CRBN 돌연변이의 분자병인을 규명하고, 4) 조직 특이적 유전자 결손 동물모델의 확보를 통해 CRBN의 AMPK 조절기전 및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CRBN과 AMPK 결합 억제물질 탐색을 통한 비만 및 당뇨 등 대사질환의 새로운 치료 후보물질 을 발굴에 기여함.
      연구개발성과
      ◦ CRBN의 AMPK 활성화 분자기전의 규명
      ․ AMPK α-소단위체가 CRBN의 N-말단 및 C-말단 도메인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고, 결합에 중요한 단백질 모티프(motif)를 규명함.
      ․ AMPK γ-소단위체가 프로테오좀(proteasome) 의존적으로 분해를 확인함.
      ․ AMPK γ-소단위체가 CRBN에 의하여 유비퀴틴화 됨을 확인함으로써, γ-소단위체가 CRBN의 새로운 기질(substrate)임을 규명함.
      ․ AMPK γ-소단위체의 유비퀴틴화 위치 확인을 위한 돌연변이 단백질을 구축함.
      ◦ 세포 외부인자에 의한 CRBN 유전자 발현조절 기전 규명
      ․ 생리학적 농도의 포도당에 의해 CRBN 유전자의 발현 및 단백질의 증가를 확인함.
      ․ CRBN의 프로모터 상류 부위(upstream)의 전사인자 결합위치를 탐색하고, CRBN
      유전자발현 후보 전사인자 표적을 도출함.
      ◦ 정신지체 발병 CRBN 돌연변이의 분자적 병인 규명
      ․ AMPK를 통한 CRBN의 하류 표적 mTOR의 활성 증가를 확인함.
      ․ 돌연변이 CRBN(mutant CRBN)’이 AMPK에 대한 강한 결합력을 상실함을 확인함.
      ․ 돌연변이 CRBN이 AMPK-mTOR 경로를 통한 새로운 단백질 합성의 조절능을 상실했음을 확인함.
      ◦ 조직 특이적 CRBN 결손생쥐 구축
      ․ 간(liver) 특이적 CRBN 결손생쥐의 확보를 위해, LoxP 생쥐와 albumin cre 생쥐를 확보, 유지함.
      ․ LoxP CRBN과 albumin-cre 생쥐의 교배를 통한 2세대 생쥐를 구축하여 확보함.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CRBN의 AMPK 활성억제 기전이 AMPK 복합체의 α-소단위체 결합 및 γ-소단위체에 대한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의존적 분해에 의한 함임을 규명함.
      ◦ CRBN과 AMPK의 결합부위를 특정함으로써, 향후 이 부위 결합의 저해를 통해 AMPK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는 항비만 및 항당료 약물개발에 기여함.
      ◦ CRBN 유전자 발현를 조절하는 외부인자 및 전사조절 인자를 도출함으로써, CRBN 발현의 인위적 조절 가능성을 제시함.
      ◦ 돌연변이 CRBN에 의해 유도되는 정신지체의 분자병인을 규명함으로써, 조기검진 및 치료법 개발 등의 향후 연구에 기여함.
      ◦ 간 특이적 CRBN 결손생쥐를 구축함으로써, 생체 에너지 대사 조절 시 간 내 CRBN의 기능 규명이 가능하게 함.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Contents
      Elucidating the mechanism of the AMPK, which is the master regulator of energy homeostasis and metabolism, regulation by CRBN. To clarify the effect of CRBN-dependent AMPK regulation using tissue-specific knockout strategy in mice. Moreover, deducing materials for metabolic syndromes such as diabetes and obesity would be performed.
      Results
      ◦ Mechanism of CRBN dependent AMPK regulation
      ․ Confirm the CRBN-AMPK interaction domain using CRBN domain mutants.
      - AMPK α binds to N-terminal and C-terminal domain of CRBN
      ․ Effect of thalidomide on AMPK regulation by CRBN.
      - Thalidomide does not affect to AMPK-CRBN interaction
      ․ Elucidating AMPKγ-Subunit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by CRBN.
      ․ Set up the Lys-mutant of AMPKγ to investigate the ubiquitination residue
      ◦ Elucidat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CRBN for autosomal recessive nonsyndromic mental retardation
      ․ The mutant form of CRBN effects to CRBN-AMPK-mTOR cascade : Dysregulation of the protein synthesis
      ◦ Generation of the Tissue-specific CRBN Knockout mice ․ Setting up wholebody CRBN LoxP-Floxed mice.
      ․ Generating liver specific knockout mice using AlbCre-LoxP system
      ․ Half-deleted level of the CRBN in liver was confirmed in hetero and mating for homo generation
      ◦ Derive the factors for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CRBN.
      ․ Elevated protein level of CRBN by treating relevant concentration of glucose.
      ․ Investigate the transcription factor for CRBN promoter region.
      Expected Contribution
      ◦ Elucidating the regulation mechanism of AMPK activation through CRBN-dependent ubiquitination and proteasomal degradation of AMPKγ
      ◦ Synthesis of the peptide to inhibit the interaction between CRBN N-terminal and AMPKα. And confirm the AMPK activation level.
      ◦ Investigate the transcription factor for regulation CRBN
      ◦ Liver-specific CRBN knockout mice genaration and high-fat diet experiment.
      번역하기

      Purpose&Contents Elucidating the mechanism of the AMPK, which is the master regulator of energy homeostasis and metabolism, regulation by CRBN. To clarify the effect of CRBN-dependent AMPK regulation using tissue-specific knockout strategy in mice...

      Purpose&Contents
      Elucidating the mechanism of the AMPK, which is the master regulator of energy homeostasis and metabolism, regulation by CRBN. To clarify the effect of CRBN-dependent AMPK regulation using tissue-specific knockout strategy in mice. Moreover, deducing materials for metabolic syndromes such as diabetes and obesity would be performed.
      Results
      ◦ Mechanism of CRBN dependent AMPK regulation
      ․ Confirm the CRBN-AMPK interaction domain using CRBN domain mutants.
      - AMPK α binds to N-terminal and C-terminal domain of CRBN
      ․ Effect of thalidomide on AMPK regulation by CRBN.
      - Thalidomide does not affect to AMPK-CRBN interaction
      ․ Elucidating AMPKγ-Subunit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by CRBN.
      ․ Set up the Lys-mutant of AMPKγ to investigate the ubiquitination residue
      ◦ Elucidat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CRBN for autosomal recessive nonsyndromic mental retardation
      ․ The mutant form of CRBN effects to CRBN-AMPK-mTOR cascade : Dysregulation of the protein synthesis
      ◦ Generation of the Tissue-specific CRBN Knockout mice ․ Setting up wholebody CRBN LoxP-Floxed mice.
      ․ Generating liver specific knockout mice using AlbCre-LoxP system
      ․ Half-deleted level of the CRBN in liver was confirmed in hetero and mating for homo generation
      ◦ Derive the factors for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CRBN.
      ․ Elevated protein level of CRBN by treating relevant concentration of glucose.
      ․ Investigate the transcription factor for CRBN promoter region.
      Expected Contribution
      ◦ Elucidating the regulation mechanism of AMPK activation through CRBN-dependent ubiquitination and proteasomal degradation of AMPKγ
      ◦ Synthesis of the peptide to inhibit the interaction between CRBN N-terminal and AMPKα. And confirm the AMPK activation level.
      ◦ Investigate the transcription factor for regulation CRBN
      ◦ Liver-specific CRBN knockout mice genaration and high-fat diet experi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