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개혁개방 후 조선족 문학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의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7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문학, 그 중에서도 개혁개방 후기 조선족 문학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문학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의 양상에 대해 몇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조선족 문학에 나타나는 도시와 농촌의 차이로 인한 갈등, 소외 계 층의 고뇌와 울분, 물질적 욕구와 윤리 도덕 간의 갈등 등은 중국 조선족 사회에 서만 겪는 문제가 아니라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의 보편적인 문제로서 산업화, 도시화가 급격하게 추진되고 있는 겪변기 현실 속에서 중국인들이 겪는 보편적인 고뇌와 갈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여성들의 고뇌와 갈등 및 자각의 문제는 중국 주류 사회에도 존재하는 문제이 기는 하지만 유교문화의 발생지인 중국 본토의 한족보다도 남성중심의 유교문화 를 보다 많이 보존하고 있는 조선족 사회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이다. 디아스포라의 삶과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을 구현한 소설들은 조선족들의 디아스포라적 갈등과 함께 한국과의 인적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전통적인 농경사회가 급속히 무너지고 인구의 마이너스 성장, 민족 교육의 위축 등 조선족 사회의 특수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문학, 그 중에서도 개혁개방 후기 조선족 문학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문학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의 양상에 대해 몇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조선족 문학에 ...

      본고는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문학, 그 중에서도 개혁개방 후기 조선족 문학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문학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의 양상에 대해 몇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조선족 문학에 나타나는 도시와 농촌의 차이로 인한 갈등, 소외 계 층의 고뇌와 울분, 물질적 욕구와 윤리 도덕 간의 갈등 등은 중국 조선족 사회에 서만 겪는 문제가 아니라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의 보편적인 문제로서 산업화, 도시화가 급격하게 추진되고 있는 겪변기 현실 속에서 중국인들이 겪는 보편적인 고뇌와 갈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여성들의 고뇌와 갈등 및 자각의 문제는 중국 주류 사회에도 존재하는 문제이 기는 하지만 유교문화의 발생지인 중국 본토의 한족보다도 남성중심의 유교문화 를 보다 많이 보존하고 있는 조선족 사회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이다. 디아스포라의 삶과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을 구현한 소설들은 조선족들의 디아스포라적 갈등과 함께 한국과의 인적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전통적인 농경사회가 급속히 무너지고 인구의 마이너스 성장, 민족 교육의 위축 등 조선족 사회의 특수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以改革开放后期中国朝鲜族文学中的中短篇为研究对象,对朝鲜族文学中出 现的矛盾与整合的样态进行了分析。朝鲜族文学中所反映的由于城乡差别而产生的 矛盾、底层民众所经历的困惑与苦恼、物质追求与伦理道德之间所经历的矛盾纠葛, 不仅仅是朝鲜族社会所面临的问题,而是改革开放以后社会转型期经济高速发展,工 业化与城市化进程加速过程中中国社会凸显的社会问题,因此也代表了中国人所经历 的普遍的苦恼与矛盾纠葛。 女性的苦恼与矛盾纠葛以及觉醒,也存在于中国的主流社会,但在朝鲜族社会更为 凸显。中国虽然是儒教文化的发生地,但比起中国本土的汉族,朝鲜族更多地保留着 以男性为中心的儒教文化。 表现离散民族的生活与民族认同之矛盾的小说,不仅反映了朝鲜族因离散而经历 的困惑与矛盾,还反映了随着活跃与韩国的人际交流,传统的农耕社会急剧崩溃,人员 负增长,民族教育衰退等朝鲜族社会特有的问题.
      번역하기

      本文以改革开放后期中国朝鲜族文学中的中短篇为研究对象,对朝鲜族文学中出 现的矛盾与整合的样态进行了分析。朝鲜族文学中所反映的由于城乡差别而产生的 矛盾、底层民众所经历的困...

      本文以改革开放后期中国朝鲜族文学中的中短篇为研究对象,对朝鲜族文学中出 现的矛盾与整合的样态进行了分析。朝鲜族文学中所反映的由于城乡差别而产生的 矛盾、底层民众所经历的困惑与苦恼、物质追求与伦理道德之间所经历的矛盾纠葛, 不仅仅是朝鲜族社会所面临的问题,而是改革开放以后社会转型期经济高速发展,工 业化与城市化进程加速过程中中国社会凸显的社会问题,因此也代表了中国人所经历 的普遍的苦恼与矛盾纠葛。 女性的苦恼与矛盾纠葛以及觉醒,也存在于中国的主流社会,但在朝鲜族社会更为 凸显。中国虽然是儒教文化的发生地,但比起中国本土的汉族,朝鲜族更多地保留着 以男性为中心的儒教文化。 表现离散民族的生活与民族认同之矛盾的小说,不仅反映了朝鲜族因离散而经历 的困惑与矛盾,还反映了随着活跃与韩国的人际交流,传统的农耕社会急剧崩溃,人员 负增长,民族教育衰退等朝鲜族社会特有的问题.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도시와 농촌의 차이로 인한 갈등
      • 3. 소외 계층의 고뇌와 갈등에 대한 형상화
      • 4. 여성들의 고뇌와 갈등 및 자각
      • 5. 디아스포라의 삶과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
      • 1. 머리말
      • 2. 도시와 농촌의 차이로 인한 갈등
      • 3. 소외 계층의 고뇌와 갈등에 대한 형상화
      • 4. 여성들의 고뇌와 갈등 및 자각
      • 5. 디아스포라의 삶과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
      • 6. 물질적 욕구와 윤리 도덕간의 갈등
      • 7. 맺음말
      • 참고 문헌
      • <국문초록>
      • <中文提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