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와 DNA의 손상 억제력을 조사하였다. 줄날도래 에탄올 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62513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37(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와 DNA의 손상 억제력을 조사하였다. 줄날도래 에탄올 추...
본 연구는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와 DNA의 손상 억제력을 조사하였다. 줄날도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유리 라디칼과 수산화 라디칼 제거능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60.4%, 60.0%로 나타났으며, Fe²?-chelating 효과는 37.5%로 조사되었다. 줄날도래 추출물이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손상에 미치는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지질과산화의 상대적 수준과 p21 단백질의 발현율을 해보면 줄날도래 추출물은 라디칼 처리군에 비해 지질과산화를 거의 완벽하게 억제하고 있으며, p21 단백질의 발현은 대조군의 92.2%로 회복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줄날도래 추출물의 DNA 분절화 억제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74.1%로 나타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DNA 분절화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있으며, H2AX 단백질의 인산화비는 라디칼 처리군의 16.7%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어 줄날도래 추출물은 히스톤 단백질의 인산화를 83.3%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줄날도래 추출물은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세포와 DNA의 손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Hydropsyche kozhantschikovion cell and DNA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In a radical scavenging assay, compared with ascorbic acid used as a control, the level of DPPH (1,1-...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Hydropsyche kozhantschikovion cell and DNA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In a radical scavenging assay, compared with ascorbic acid used as a control, the level of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that of hydroxyl radicals in H. kozhantschikoviextracts were 60.0% and 43.7%, respectively. The ferrous iron chelating level was 37.5% compared to the chelating value of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at the same concentration. To verify inhibitory effects of oxidative cell damag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 relativ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expression level of the p21 protein were compared in extracts-treated and untreated groups. Lipid peroxidation was completely inhibited in the extracts-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radical-only treated group. The level of p21 protein expression was restored to 92.2% of p21 protein expression in the control sample. In addition, DNA cleavage inhibition in the H. kozhantschikoviextracts was 74.1%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suggesting that H. kozhantschikoviextracts repress DNA cleavage induced by ROS. Moreover, the phosphorylation ratio of the H2AX protein was 16.7% in the radical-treated group, indicating that the ethanol extracts inhibited 83.3% of DNA damage. Our finding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from H. kozhantschikovi are effective not only in repressing the oxidation of free radicals and highly toxic hydroxyl radicals, but also in decreasing cell and DNA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미, "팥(Phaseolus angularis) 열수 추출물의 산화적 DNA와 세포 손상 억제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130-138, 2011
2 박수영, "청동풍뎅이(Anomala albopilosa)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생리기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670-677, 2007
3 이상한, "약용곤충추출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의 초고속 검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482-488, 2005
4 이상한, "약용곤충 무당벌레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Cyclooxygenase-2 Promoter 억제활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513-518, 2006
5 박미현, "스트레스로 인한 뇌조직의 산화적 손상에서 vitamin E의 방어 효과" 한국영양학회 36 (36): 570-576, 2003
6 박선영, "복분자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항산화 활성평가" 한국축산식품학회 27 (27): 432-439, 2007
7 정일윤, "백작약 열수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유효성분 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739-744, 2003
8 이상한, "메뚜기류 추출물의 염증 조절작용 및 세포사멸보호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796-802, 2006
9 김경미, "동충하초 열수 추출물에 의한 인체 간암세포 성장억제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18 (18): 804-813, 2008
10 김진우,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으로부터 분리한 diketopiperazine계 화합물의 화학구조 및 항산화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93-97, 2005
1 박영미, "팥(Phaseolus angularis) 열수 추출물의 산화적 DNA와 세포 손상 억제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130-138, 2011
2 박수영, "청동풍뎅이(Anomala albopilosa)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생리기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670-677, 2007
3 이상한, "약용곤충추출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의 초고속 검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482-488, 2005
4 이상한, "약용곤충 무당벌레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Cyclooxygenase-2 Promoter 억제활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513-518, 2006
5 박미현, "스트레스로 인한 뇌조직의 산화적 손상에서 vitamin E의 방어 효과" 한국영양학회 36 (36): 570-576, 2003
6 박선영, "복분자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항산화 활성평가" 한국축산식품학회 27 (27): 432-439, 2007
7 정일윤, "백작약 열수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유효성분 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739-744, 2003
8 이상한, "메뚜기류 추출물의 염증 조절작용 및 세포사멸보호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796-802, 2006
9 김경미, "동충하초 열수 추출물에 의한 인체 간암세포 성장억제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18 (18): 804-813, 2008
10 김진우,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으로부터 분리한 diketopiperazine계 화합물의 화학구조 및 항산화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93-97, 2005
11 박영미, "국화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와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1 (21): 1698-1704, 2011
12 Thannickal, V. J.,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279 : 1005-1029, 2000
13 Jeong, J. B., "Protectiv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Cnidium officinale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via antioxidant effect" 47 : 525-529, 2009
14 You, H. J., "Protective effect of metallothionein-III on DNA damage in response to reactive oxygen species" 1573 : 33-38, 2002
15 Kang, K. A., "Protective effect of irisolidone, a metabolite of kakkalide, against hydrogen peroxide induced cell damage via antioxidant effect" 16 : 1133-1141, 2008
16 Lightfoot, T., "Polymorphisms in the oxidative stress genes,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nd risk of non-Hodgkin’s lymphoma" 91 : 1222-1227, 2006
17 Looi, M. L., "Oxidative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in patients wit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carcinoma of the cervix" 17 : 555-560, 2008
18 Martinez, G. R., "Oxidative and alkylating damage in DNA" 544 : 115-127, 2003
19 Smirnoff, N.,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mpatible solutes" 28 : 1057-1060, 1989
20 Valko, M.,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39 : 44-84, 2007
21 박영미,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on Oxidative Damage" 대한의생명과학회 17 (17): 69-77, 2011
22 홍세철, "Buddleja officinalis prevents the normal cells from oxidative damage via antioxidant activity"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449-456, 2008
23 McKee, T., "Biochemistry: the molecular basis of life" McGraw-Hill 2002
24 Hsu, B.,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fruit of the doum palm, Hyphaene thebaica" 98 : 317-328, 2006
25 Punchard, N. A., "A practical approach, In Free radicals" Oxford University Press 1-8, 1996
26 Jeong, J. B., "3, 4-Dihydroxybenzaldehyde purified from the barley seeds(Hordeum vulgare)inhibits oxidative DNA damage and apoptosis via its antioxidant activity" 16 : 85-94, 2009
Enhancement of the Thermostability of a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CH51
mtDNA cytochrome b에 기초한 한국흑우의 계통유전학적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7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