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출농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가들의 경영위험관리 실태를 조사한 후 경영위험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파프리카 수출가격과 국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45733
2015
Korean
학술저널
129-151(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출농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가들의 경영위험관리 실태를 조사한 후 경영위험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파프리카 수출가격과 국내...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출농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가들의 경영위험관리 실태를 조사한 후 경영위험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파프리카 수출가격과 국내도매가격 분석 결과 국내가격보다 수출가격이 낮음에도 파프리카 수출량이 증가하는데, 이는 수출가격이 국내가격에 비해 변동성이 낮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수출가격과 국내가격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하여 파프리카 농가의 위험회피계수를 추정한 결과 다른 품목의 재배농가에 비해 낮았다. 이는 파프리카 농가가 타 농가에 비해 위험을 회피하려는 성향이 강함을 의미한다. 주요 수출대상국인 일본시장에서의 원산지별 가격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산의 가격 변동성이 다른 원산지의 파프리카 가격 변동성보다 높게 나타나 가격위험 관리가 중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한국산과 일본산, 뉴질랜드산, 네덜란드산 파프리카 시장 사이의 일물일가 및 인과성 검정 결과 한국산은 다른 원산지의 상품과 동일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가운데 주출하시기가유사한 뉴질랜드산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수출농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수출농가는 신용위험 헤지 차원에서 신뢰할 수 있는 지역농협이나 수출업체를 통해 수출을 하고 있었다. 직접 일본 바이어에게 수출하는 일부 농가의 경우 수출보험을 이용하여 신용위험을 관리하고 있으나, 농가 현실을 고려하여 수출보험 이용절차를 간소화할 필요성이 있다. 대부분의 농가가 수출가격 위험을 헤징할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고 응답했고, 일부 농가는 가격위험 헤지를 위해 출하시기를 조정하거나 출하처 다변화를 시도했지만, 효과가 미미하다고 평가하였다. 환율위험의 경우 모든 농가가 헤징할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고 응답한 가운데 보험료가 비싸기 때문에 환보험 가입을 꺼린다고 하였다. 자연재해에 의한 생산위험 헤징을 위해 농작물재해보험과 풍수해보험을 이용하는 농가는 소수에 불과했다. 환보험과 작물보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험료의 적정성 등을 검토하고, 헤지 비용에 대한 농가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농가들은 사전방제를 통해 병해충으로 인한 생산위험에 대응하고 있었다. 최근 기후변화와 시장개방 확대로 병해충의 확산 및 외래 병해충 유입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병해충 방제를 위한 기술 개발과 보급을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에서는 농가의 경영위험 관리 향상을 위한 대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