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석배, "「노계선생문집」(권지1·2) 판본에 대한 재고" 배달말학회 217-235, 2016
2 이은상, "蘆溪硏究의 正誤-蘆溪는 忠武公의 사위가 아니다- (2회)"
3 김창규, "蘆溪歌辭 新攷" 경북대 문리대 국어국문학회 6 : 64-82, 1958
4 "蘆溪先生文集"
5 이은상, "시인 노계와 그 예술 (11회)"
6 강전섭, "노계집의 형성" 62-63 : 11-22, 1973
7 김문기, "노계집 고사본의 고찰" 경북대 동양문화연구소 7 : 1-30, 1982
8 김창규, "노계시의 재조명" 박이정 2012
9 김창규, "노계시문학원전자료집성" 박이정 2006
10 김창규, "노계시문학논고" 박이정 2006
1 김석배, "「노계선생문집」(권지1·2) 판본에 대한 재고" 배달말학회 217-235, 2016
2 이은상, "蘆溪硏究의 正誤-蘆溪는 忠武公의 사위가 아니다- (2회)"
3 김창규, "蘆溪歌辭 新攷" 경북대 문리대 국어국문학회 6 : 64-82, 1958
4 "蘆溪先生文集"
5 이은상, "시인 노계와 그 예술 (11회)"
6 강전섭, "노계집의 형성" 62-63 : 11-22, 1973
7 김문기, "노계집 고사본의 고찰" 경북대 동양문화연구소 7 : 1-30, 1982
8 김창규, "노계시의 재조명" 박이정 2012
9 김창규, "노계시문학원전자료집성" 박이정 2006
10 김창규, "노계시문학논고" 박이정 2006
11 이상보, "노계시가연구" 이우출판사 1980
12 황충기, "노계가사의 문제점 고찰" 국어국문학회 (58-60) : 203-215, 1972
13 김창규, "노계가사에 대한 제문제" 청계김사엽박사송수기념논총간행위원회 445-460, 1973
14 황충기, "노계 박인로 연구" 국학자료원 1994
15 문화공보실, "내 고장 전통문화" 청도군 1982
16 최동희, "근암집" 창커뮤니케이션 2005
17 김문기, "국역 노계집" 역락 1999
18 김석배, "경오본 <노계가집>" 구미문화원 2006
19 "雲窩文集"
20 "近庵遺稿"
21 이병홍, "益陽誌(天)" 중앙인서관 1935
22 "琴坡先生文集"
23 "永川全誌"
24 김문기, "松江·蘆溪·孤山의 歌集 板本 및 冊板 硏究" 경북대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회 29 : 1-49, 1989
25 李相寶, "朴蘆溪硏究" 동국대학교 1957
26 "承政院日記" 국사편찬위원회
27 김석배, "庚午本 <蘆溪歌集> 硏究" 한국어문학회 (91) : 219-239, 2006
28 "嶠南誌"
29 朴秀鎔, "密陽朴氏密直府院君派大同譜" 回想社 1986
30 朴東俊, "密陽朴氏密直府院君派大同譜" 大譜社 2013
31 심재완, "孤山 蘆溪 松江全集" 청구대학출판부 1961
32 "增補文獻備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