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COVID-19 팬데믹 대응에서의 공중보건의료윤리: 관계적 자율성, 연대성과 돌봄윤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9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Coronavirus 19 infectious disease(이후 ‘COVID-19’) 팬데믹의 지속 상황, 공중보건의료 임상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윤리원칙으로 여성주의 관계적 자율성, 연대성, 돌봄윤리를 검토하...

      본 연구에서는 Coronavirus 19 infectious disease(이후 ‘COVID-19’) 팬데믹의 지속 상황, 공중보건의료 임상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윤리원칙으로 여성주의 관계적 자율성, 연대성, 돌봄윤리를 검토하였다. 한국의 상황에 대한 복기는 곳곳의 돌봄 실패 현상들을 드러내었고, 보건의료 종사자들에게 큰 돌봄 부담을 떠안겼지만, 노동이 저평가되기 쉬움을 알려준다. 관계적 자율성과 피해자이면서 매개체인 환자의 관점에서 볼 때 감염병에 이환되어 격리되는 시민은 사회적, 역사적 맥락 안에 배태되어 있고, 감염병의 생태학적 그물망 안의 연결고리로서 완화된 책임을 진 환자로 적절한 보호와 지원을 요청할 권리를 갖는다. 팬데믹 보건의료체계 안에서 의료종사자들이 함께 환자의 치료를 위해 확대된 의무를 수용하고 대응하는 연대가 필요하였다. 인간의 상호의존성과 취약성에 근거한 연대성은 목소리를 가질 수 없는 환자들의 배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돌봄윤리의 가치를 재검토하게 한다. 인간은 누구나 불가피한 의존의 보편적 경험이 있어 사회에서 의존 현실은 기본값이다. 보건의료종사자는 환자의 감염병 이환이라는 취약성에 대한 응답으로 돌봄 관계를 다시 형성하게 된다. 환자의 안녕과 회복을 위한 돌봄 관계의 지원이 필요하고, 돌봄 노동자로서 보건의료종사자가 취약해지지 않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둘리아의 원칙을 통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feministic relational autonomy, solidarity, and care ethics were reviewed as a likely alternative that is an applicable ethical principle during the COVID-19 (coronavirus) pandemic in clinical public health settings. Reconstructin...

      In this article, the feministic relational autonomy, solidarity, and care ethics were reviewed as a likely alternative that is an applicable ethical principle during the COVID-19 (coronavirus) pandemic in clinical public health settings. Reconstructing the COVID-19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evealed the phenomena of the failure to provide care everywhere and a huge burden of care for healthcare workers, which could be undervalued. A quarantined citizen who contracted the infectious disease is an agent who is also embedded in a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as well as a patient who has a reduced responsibility in the web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ecological relationships with others from the viewpoint of relational autonomy and the patient as a victim and vector. The citizen is entitled to ask for due protection and support. During the pandemic, health care personnel in the public health system needed to extend their solidarity in treating patients and responding to the pandemic. However, solidarity based on interdependence and vulnerability hardly solves the exclusion of the voiceless and require us to reconsider the value of care ethics. Everyone experiences universally inevitable dependencies, and so human dependency is the default value. Health care personnel build care relationships with patients in response to their vulnerability in contracting infectious diseases. Public support for the patient’s well-being and restoration is to be provided. However, I argue that support for public health personnel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they are not thrown into the vulnerable statu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Doul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한국사회 COVID-19 사태에 대한 복기
      • III. 관계적 자율성, 연대성, 돌봄윤리의 함의
      • IV. 결론
      • 요약
      • I. 서론
      • II. 한국사회 COVID-19 사태에 대한 복기
      • III. 관계적 자율성, 연대성, 돌봄윤리의 함의
      • I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시, "코로나19대응주요소식 268호"

      2 질병관리청, "코로나19감염증 발생현황"

      3 연합뉴스, "코로나19 의료진 10명 중 4명은 우울 … 국가트라우마센터 조사"

      4 국가인권위원회 보도자료, "코로나19 위기 상황 속 노인의 취약성 선명하게 부각"

      5 BBC News Korea, "코로나19 사망자 집중된 청도대남병원에 관해 알려진 사실 4가지"

      6 한국경제, "코로나 파견 간호사에 월급 3배라니 vs 위험 무릅쓰고 자원"

      7 메디컬타임즈, "코로나 전담 ‘서울의료원’ 구멍 난 전공의 수련 도마 위"

      8 질병관리청, "코로나 19 발생현황"

      9 N. Fraser, "지구화시대의 정의. 정치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 그린비 2010

      10 이데일리, "정총리, 코로나19 완치자 불이익 없도록 지원방안 마련"

      1 서울시, "코로나19대응주요소식 268호"

      2 질병관리청, "코로나19감염증 발생현황"

      3 연합뉴스, "코로나19 의료진 10명 중 4명은 우울 … 국가트라우마센터 조사"

      4 국가인권위원회 보도자료, "코로나19 위기 상황 속 노인의 취약성 선명하게 부각"

      5 BBC News Korea, "코로나19 사망자 집중된 청도대남병원에 관해 알려진 사실 4가지"

      6 한국경제, "코로나 파견 간호사에 월급 3배라니 vs 위험 무릅쓰고 자원"

      7 메디컬타임즈, "코로나 전담 ‘서울의료원’ 구멍 난 전공의 수련 도마 위"

      8 질병관리청, "코로나 19 발생현황"

      9 N. Fraser, "지구화시대의 정의. 정치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 그린비 2010

      10 이데일리, "정총리, 코로나19 완치자 불이익 없도록 지원방안 마련"

      11 민중의 소리, "정부, 코로나 중증환자 치료병상 확보 행정명령 … 상급종합병원 대상"

      12 한겨레신문, "열나는데 사장님이 그냥 약 먹으래요. 방역 사각 내몰린 미등록 이주노동자"

      13 연합뉴스, "서울의료원, 기존환자 내보내고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전환"

      14 경향신문, "서울동부병원장 코로나19로 막다른 곳 몰린 최빈계층 환자 돌볼 기반 마련해야"

      15 석재은, "돌봄정의(Caring Justice) 개념구성과 한국 장기요양정책의 평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57-91, 2018

      16 김희강, "돌봄의 공공윤리 : 에바 키테이(Eva F. Kittay) 이론과‘장애아가족 양육지원사업’" 한국정치학회 44 (44): 45-72, 2010

      17 김희강, "돌봄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넘어" 한국여성학회 36 (36): 59-93, 2020

      18 이데일리, "돌봄노동자 110만명 … 돌봄노동자 보호 법적근거 마련해야"

      19 김희강, "돌봄과 돌봄 없는 정치이론" 한국정치학회 52 (52): 203-224, 2018

      20 E.F. Kittay, "돌봄: 사랑의 노동. 여성, 평등, 그리고 의존에 관한 에세이" 박영사 2016

      21 V. Held, "돌봄, 돌봄윤리: 개인적, 정치적, 지구적" 박영사 2017

      22 참여와 혁신, "돌봄 노동자, 코로나 감염 위험에도 ‘셀프 방역’이 현실"

      23 연합뉴스, "국내 체류 외국인도 코로나 백신 맞는다"

      24 허라금, "관계적 자율성에 대한 철학적 연구 - 절차적 자율성과 실질적 자율성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회 (120) : 103-129, 2014

      25 황신우,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의료인의 돌봄의 의무" 한국생명윤리학회 20 (20): 29-43, 2019

      26 최은경, "공중보건 비상사태와 윤리적 대응: 2015년 한국 메르스 유행을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19 (19): 358-374, 2016

      27 이준원, "공동체주의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 ‘공동체’와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8 이세경,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한국의료법학회 24 (24): 7-31, 2016

      29 목광수, "감염병 시대의 생명의료윤리 -역량 접근법의 연대 개념을 중심으로-" 동서사상연구소 (35) : 19-42, 2021

      30 C. -E. A. Winslow, "The Untitled Fields of Public Health" 51 (51): 1920

      31 A. Dawson, "The Place of Solidarity in Public Health Ethics" 34 : 2012

      32 M. P. Battin, "The Patient as Victim and Vector: ethics and infectious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3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The Canadian Pandemic Influenza Plan for the Health Sector"

      34 University of Toronto Joint Center for Bioethics Pandemic Influenza Working group, "Stand on Guard for the Ethical considerations in preparedness planning for pandemic influenza"

      35 B. Prainsack, "Solidarity: reflections on an emerging concept in bioethics" Nuffield Council on Bioethics

      36 B. Jennings, "Solidarity and care as relational practices" 32 (32): 2018

      37 B. Jennings, "Relational liberty revisited : Membership, solidarity and a public health ethics of place" 8 (8): 2015

      38 D.I. Jeffrey, "Relational ethical approaches to the COVID-19 pandemic" 46 : 2020

      39 C. Mackenzie, "Relational autonomy. Feminist perspectives on autonomy, agency, and the social self"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0 B. Jennings, "Relational Liberty Revisited: Membership, Solidarity and a Public Health Ethics of Place" 8 (8): 2015

      41 J. Kotalik, "Preparing for an influenza pandemic : ethical issues" 19 (19): 2005

      42 A. Nalbandian, "Post acute COVID 19 syndrome" Nature medicine

      43 C. Ruderman, "On pandemics and the duty to care: whose duty? who cares?" 7 (7): 2006

      44 Ministry of Health, New Zealand Government, "New Zealand Influenza Pandemic Plan: A framework for action"

      45 H. Brody, "Medicine’s duty to treat Pandemic Illness solidarity and vulnerability" 39 (39): 2009

      46 M. Gary, "Interdependent Citizens : The Ethics of care in pandemic recovery" 50 (50): 2020

      47 C. L. Cox, "Healthcare Heroes': problems with media focus on heroism from healthcare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46 (46): 2020

      48 M. J. Selgelid, "Ethics and infectious disease" 19 (19): 2005

      49 R. E. G. Upshur, "Ethical considerations in preparedness planning for pandemic influenza" 16 (16): 2007

      50 WHO, "Ethical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a public health response to pandemic influenza, Technical report 2007"

      51 WHO, "Ethical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a public health response to pandemic influenza"

      52 The Swedish Council on Medical Ethics, "Ethical choices in a pandemic"

      53 Robert Reich, "Covid-19 pandemic shines a light on a new kind of class divide and its inequalities" The Guardian

      54 "Coronavirus disease (COVID-19) Situation dashboard"

      55 J.C. Tronto, "Caring Democracy: Markets, Equality, and Justic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3

      56 L. J. Branicki, "COVID-19, ethics of care and feminist crisis management" 27 : 2020

      57 R. J. Blendon, "Attitudes toward the use of quarantine in a public health emergency in four countries" 25 (25): 2006

      58 F. Baylis, "A relational account of public health ethics" 1 (1): 2008

      59 배종면, "2015년 메르스 유행에서 감염병 유행 통제를 위한 정보공개와 관련한 공중보건 윤리 원칙들 정립"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1 (41): 15-2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