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 <과학과 신학의 학제간 대화>는 2단계의 연구 절차를 밟아서 다음의 내용을 주요하게 다루고자 한다. (1) 신학과 과학이 문명 가운데 어떻게 발생되었으며 형성되었는지 그 궤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5994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과학과 신학의 학제간 대화>는 2단계의 연구 절차를 밟아서 다음의 내용을 주요하게 다루고자 한다. (1) 신학과 과학이 문명 가운데 어떻게 발생되었으며 형성되었는지 그 궤적...
본 연구 <과학과 신학의 학제간 대화>는 2단계의 연구 절차를 밟아서 다음의 내용을 주요하게 다루고자 한다. (1) 신학과 과학이 문명 가운데 어떻게 발생되었으며 형성되었는지 그 궤적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신학, 형이상학, 과학이라는 학문이 어떠한 문명의 맥락과 전략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각각 범주가 어떻게 진화해 나아갔는지를 역사적인 추적을 통하여 검토할 것이다(2014.5.1-2015.4.30.). (2) 과학과 신학의 통섭 가능성에 대한 동아시아적 관점의 대안적 구상과 담론 설정을 다차원적으로 조명할 것이다. 특히 과학적 반성과 신학적 성찰이 서로 첨예하게 충돌되는 쟁점에 대한 대안적 담론을 구상할 것이다. 과학적 진술 속에서 등장하는 창조론과 진화론, 마음과 물질, 태초와 종말, 생태계의 문제, 과학과 종교의 대립의 문제들은 오늘날 현실적으로 많은 갈등과 논쟁점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과학과 신학의 두 학문과 사유방식이 어떻게 통섭되고 만날 수 있는지를 동아시아의 전통과 사유의 관점 속에서 심도 깊게 조명할 것이다. 그리고 이 양자가 진정 상호 통섭할 수 있는 확고한 근거와 가능성을 대안적으로 구성할 것이다(2015.5.1-2016.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