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부관련법의 구조와 기능을 통해 본기부자의 법적지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legal positioning of Donator contemplated by the Structure & Role of Donation relating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96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기부의 규모는 6.25전쟁이후 확장되는 추세이다. 기부행동을 통해 시민들의 사회문제해결의 참여가 활발해 지면서 기부금품 종류, 기부의 유형과 방법이 매우 다양화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따라 우리나라의 기부관련법은 인식변화 흐름과 법적 체계속에서 그들의 지위를 잘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과 탐색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기부금 관련법은 ‘ 기부금품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이법만으로 기부행동에 관련된 모든 사항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는 못하다 이에 기부관련법들의 통합적 탐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부관련법을 구조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기부의 인식변화와 기부자의 법적지위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법의 구조는 법의 제정흐름, 기부의 목적, 법의 운영주체 측면에서, 법의 기능은 적응, 목적달성, 통합, 잠재적 유형유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과 우리나라의 기부관련법은 기부보다는 모금을 주체로 하는 대상을 위주로 설명되어 있다. 또한 기부자의 권리, 권익보호, 인정, 의무에 관한 사항들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부가 발전되어온 사회적 흐름에서부터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모금과 기부의 주체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할수 있는 제도 정비, 기부행동에 대한 사회적 가치 인정제도 마련, 기부금 관련제도의 간소화 필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기부의 규모는 6.25전쟁이후 확장되는 추세이다. 기부행동을 통해 시민들의 사회문제해결의 참여가 활발해 지면서 기부금품 종류, 기부의 유형과 방법이 매우 다양화되어 지고 ...

      우리나라의 기부의 규모는 6.25전쟁이후 확장되는 추세이다. 기부행동을 통해 시민들의 사회문제해결의 참여가 활발해 지면서 기부금품 종류, 기부의 유형과 방법이 매우 다양화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따라 우리나라의 기부관련법은 인식변화 흐름과 법적 체계속에서 그들의 지위를 잘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과 탐색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기부금 관련법은 ‘ 기부금품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이법만으로 기부행동에 관련된 모든 사항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는 못하다 이에 기부관련법들의 통합적 탐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부관련법을 구조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기부의 인식변화와 기부자의 법적지위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법의 구조는 법의 제정흐름, 기부의 목적, 법의 운영주체 측면에서, 법의 기능은 적응, 목적달성, 통합, 잠재적 유형유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과 우리나라의 기부관련법은 기부보다는 모금을 주체로 하는 대상을 위주로 설명되어 있다. 또한 기부자의 권리, 권익보호, 인정, 의무에 관한 사항들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부가 발전되어온 사회적 흐름에서부터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모금과 기부의 주체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할수 있는 제도 정비, 기부행동에 대한 사회적 가치 인정제도 마련, 기부금 관련제도의 간소화 필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cale of donation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Korean war. As engagements of citizens on social issues have been active by the conduct of donation, the kinds of donation goods and the method and style of donation have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is social changes, it is required to study and to contemplate whether our country's donation relating law explains well their positioning under the trend of cognizance-changes and the legal system. Even though our country's donation relating law are composed of laws regarding the usage and collection of donation goods. It is not enough to explain comprehensively all situations on the conduct of donation only by this law. So, Comprehensive study on donation relating law is required. This research has studied donation relating law with the view of structural-functionalism on cognizance changes of donation and legal positioning of donator. The structure of law has been examined with the view of enactment of law and the purpose of donation and operating parts of law. The function of law has been examined with the view of adaptation, goal-attainment, integration, latent pattern-main-tenance. Our country's donation relating law shows that explanation has been focused on collection rather than donation and this also shows that the rights of donator and the conservation of the rights and recognition and duties lack. It is derived from the social trend which donation has developed. To make conception on collection and principal part of donation clear, the correction of institution and the acknowledgement of social value on donation and the plainness of donation relating institution have been suggested.
      번역하기

      The scale of donation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Korean war. As engagements of citizens on social issues have been active by the conduct of donation, the kinds of donation goods and the method and style of donation have been diversified. A...

      The scale of donation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Korean war. As engagements of citizens on social issues have been active by the conduct of donation, the kinds of donation goods and the method and style of donation have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is social changes, it is required to study and to contemplate whether our country's donation relating law explains well their positioning under the trend of cognizance-changes and the legal system. Even though our country's donation relating law are composed of laws regarding the usage and collection of donation goods. It is not enough to explain comprehensively all situations on the conduct of donation only by this law. So, Comprehensive study on donation relating law is required. This research has studied donation relating law with the view of structural-functionalism on cognizance changes of donation and legal positioning of donator. The structure of law has been examined with the view of enactment of law and the purpose of donation and operating parts of law. The function of law has been examined with the view of adaptation, goal-attainment, integration, latent pattern-main-tenance. Our country's donation relating law shows that explanation has been focused on collection rather than donation and this also shows that the rights of donator and the conservation of the rights and recognition and duties lack. It is derived from the social trend which donation has developed. To make conception on collection and principal part of donation clear, the correction of institution and the acknowledgement of social value on donation and the plainness of donation relating institution have been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기부현황
      • 2. 기부관련법의 분석틀
      • Ⅲ. 기부관련법의 분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기부현황
      • 2. 기부관련법의 분석틀
      • Ⅲ. 기부관련법의 분석
      • 1. 기부관련법이 구조
      • 2. 기부관련법의 기능
      • Ⅳ. 결과 및 제언
      • 1. 결과
      • 2.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 강철희, "한국인의 나눔노력에 관한 연구: Heckman Selection Model 과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활용한 분석" 아름다운재단 2006

      3 손원익, "한국의 민간기부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8

      4 박수범, "한국에서의 개인기부에 대한 요인분석-설문조사자료를 중심으로" 5 : 2006

      5 양용희, "한국사회의 개인기부의 결정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간학연구소 (30) : 37-64, 2015

      6 박태규, "한국 비영리 단체의 산출물 측정과 경제적 의미에 관한 연구" 4 : 2006

      7 손원익, "주택에 대한 취득세의 합리적 과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8 김진수, "주요국의 기부관련 세제지원제도와 시사점"

      9 서보국, "조세법상 법관의 법발견과 법형성" 법학연구소 26 (26): 11-37, 2015

      10 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

      1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 강철희, "한국인의 나눔노력에 관한 연구: Heckman Selection Model 과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활용한 분석" 아름다운재단 2006

      3 손원익, "한국의 민간기부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8

      4 박수범, "한국에서의 개인기부에 대한 요인분석-설문조사자료를 중심으로" 5 : 2006

      5 양용희, "한국사회의 개인기부의 결정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간학연구소 (30) : 37-64, 2015

      6 박태규, "한국 비영리 단체의 산출물 측정과 경제적 의미에 관한 연구" 4 : 2006

      7 손원익, "주택에 대한 취득세의 합리적 과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8 김진수, "주요국의 기부관련 세제지원제도와 시사점"

      9 서보국, "조세법상 법관의 법발견과 법형성" 법학연구소 26 (26): 11-37, 2015

      10 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

      11 김주원, "자선단체기부자의 기부동기와 기부행동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학회 37 (37): 629-658, 2008

      12 국세청, "연도별 국세통계 연보"

      13 통계청, "연 한국의 사회지표"

      14 강철희, "시민의 복지의식과 기부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113-139, 2016

      15 김진석, "소득세법상 기부금 공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개인사업자의 기부금 공제를 중심으로 ―" 한국세법학회 21 (21): 223-257, 2015

      16 강철희, "사회자본과 나눔 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뢰, 호혜, 규범의 영향력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32, 2015

      17 황성철, "사회복지행정론" 정민사 2015

      18 정무성, "사회복지시설의 신뢰와 몰입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 : 2006

      19 이태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122) : 2008

      2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2015

      21 노연희, "비영리조직 모금활동의 성공과 실패요인 분석: 모금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65-99, 2015

      22 권오균, "비영리기관 재정에서 개인기부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23 이상신, "부동산 기부채납의 법적 쟁점과 과세 문제" 한국부동산학회 (65) : 50-64, 2016

      24 강철희, "복지 비영리 조직의 이사회 기능 효과성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44 (44): 2001

      25 "법률용어사전"

      26 김문현, "법과 사회정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27 정기원, "민간복지자원 총량파악체계 구축방안"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00

      28 오일환, "디지털시대의 정치과정의 변화와 참여민주주의의 발전방향 모색"

      29 안경희, "독일 소득세법상 기부자의 신뢰보호와 기부책임" 법학연구소 25 (25): 119-163, 2012

      30 김정훈,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돈 태도 유형이 기부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0 (20): 819-829, 2011

      31 "뉴욕타임즈"

      32 강철희,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한국형 계획기부 모델 개발"

      33 아름다운 재단, "기빙코리아 2014(Giving Korea 2014)"

      34 박태규, "기부횟수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재정학회 1 (1): 79-100, 2008

      35 정정호, "기부중단자의 특성 및 기부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241-266, 2008

      36 이용규,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계획된 행동이론과 동기이론 결합모형을 토대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189-211, 2012

      37 김수성,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세제지원 방안" 한국세무학회 16 (16): 63-93, 2015

      38 서희열, "기부금 활성화를 위한 투명성 홍보방안" 한국세무학회 25 (25): 9-35, 2008

      39 박하연, "기부 설득에서 수혜자 특성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4 (14): 24-45, 2013

      40 박장원, "기부 관여도, 메시지 소구방식, 자아효능감의 기부 의사 제고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PR학회 11 (11): 107-140, 2007

      41 김현동, "기부 관련 현행 세제의 타당성 고찰" 한국세법학회 20 (20): 121-162, 2014

      42 국민권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자료"

      43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44 법제처, "공익신탁법 입법자료"

      45 조영탁, "공익법인 활성화를 위한 과세체계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7

      46 조흥식, "공동모금제도와 민간복지부문의 역할정립" 1999

      47 이상신, "계획기부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2015

      48 문진주, "개인기부에서 조세와 비조세의 영향" 한국세무학회 17 (17): 199-220, 2016

      49 박훈, "개인 기부 활성화를 위한 세법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아름다운 재단 기부문화연구소 2009

      50 Sargeant, A., "The role of perceptions in predicting donorvalue" 17 : 407-428, 2001

      51 박미라, "T. Parsons의 구조․기능주의와 N.Luhmann의 기능․구조주의 체계이론의 비교" 3 : 1986

      52 Barrett, R. D., "Planned giving essentials: A step-by-step guide to success" Jones & Bartlett Learning 2002

      53 Lohmann, R.A., "New perspective on Nonprofit Organization" Voluntary Action and Philanthropy 1992

      54 Merchant, A., "Charitable organizations' storytelling influence on donors' emotions and intentions" 63 (63): 754-76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5-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복지법제학회 -> 사회복지법제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