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자원 순환시스템으로서 사람들의 소비패턴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유하고 동시에 소비하는 협력적 소비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은 만들어진 형태 그대로 고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4421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15-225(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자원 순환시스템으로서 사람들의 소비패턴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유하고 동시에 소비하는 협력적 소비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은 만들어진 형태 그대로 고정...
새로운 자원 순환시스템으로서 사람들의 소비패턴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유하고 동시에 소비하는 협력적 소비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은 만들어진 형태 그대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적 소비 플랫폼의 사례를 분석하여 공유되는 다양한 정보들의 형태를 고찰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목적에 따라 협력적 소비 플랫폼을 분류하고 (1)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유되는 정보의 변화와 협력적 소비의 개념을 정리하고, (2)현재 협력적 소비 플랫폼에서 공유되는 다양한 정보의 유형을 파악한다. (3)이를 통해 플랫폼의 목적과 소비의 성격에 따라 공유되는 정보의 특성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적 성격의 플랫폼에서는 주로 유형의 자원이 공유되고, 재분배 성격의 플랫폼에서는 무형의 자원 위주로 공유되는 경향이 강하다. 둘째, 재분배성격을 가지면서 커뮤니티를 지향하는 플랫폼에서는 공유되는 정보의 수준이 거의 전문적인 수준에 이르고 있고, 실제 전문가의 참여도 빈번하다. 셋째, 재화의 창출은 거래 지향적이면서 상호적 성격의 플랫폼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넷째, 거래지향이 목적이었던 플랫폼이 점차 커뮤니티 지향의 플랫폼으로 활성화되는 모습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네트워크 시장과 온라인 플랫폼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masses is appearing as the form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of sharing and consuming based on a platform as a new resource circulation system. Also, this platform is going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evolving ...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masses is appearing as the form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of sharing and consuming based on a platform as a new resource circulation system. Also, this platform is going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evolving into various forms by members rather than getting fixed into the form mad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various shared information by analyzing cas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platform.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classify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platfor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mmunity users, (1)organizing concepts of changes of shared information and collaborative consumptio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2)identifying various types of shared information on collaborative consumption platform. (3)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that gets shar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platform and nature of consumption.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resource get shared mostly on reciprocal platform and there is a strong tendency that intangible resources get shared on redistribution platform.
Secondly, the level of shared information on community-oriented platform with redistribution character has almost reached a professional level and there is frequent participation of real professionals.
Thirdly, goods get created mainly on trade oriented and reciprocal platform.
Fourthly, platforms aimed at trading are gradually getting vitalized as community-oriented platform.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twork market and online platform that will be more activated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https://www.ted.com/talks/rachel_botsman_the_case_for_collaborative_consumption#t-379899"
2 "https://www.shareable.net/blog/european-research-explores-impact-of-collaborative-consumption-on-society"
3 "https://rachelbotsman.com/thinking/"
4 Belk, R, "You are what you can access : Sharing and collaborative consumption online" 67 (67): 2014
5 Botsman, R, "What’s mine is yours: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HarperCollins 2010
6 Alex, Stephany, "The Business of Sharing : Making it in the New Sharing Economy" Business & Economics 2015
7 Choi, Young, "Shared and Collaborate, Social Media Network Paradigm" Communication Books 2013
8 Kim, Daeho, "Shared Economy" Communication Books 2018
9 Arnould, E. J., "Mutuality : Critique and substitute for Belk’s sharing" 16 (16): 75-99, 2016
10 Gu, Kyotae, "Internet and communication" Han Kyungsa 2012
1 "https://www.ted.com/talks/rachel_botsman_the_case_for_collaborative_consumption#t-379899"
2 "https://www.shareable.net/blog/european-research-explores-impact-of-collaborative-consumption-on-society"
3 "https://rachelbotsman.com/thinking/"
4 Belk, R, "You are what you can access : Sharing and collaborative consumption online" 67 (67): 2014
5 Botsman, R, "What’s mine is yours: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HarperCollins 2010
6 Alex, Stephany, "The Business of Sharing : Making it in the New Sharing Economy" Business & Economics 2015
7 Choi, Young, "Shared and Collaborate, Social Media Network Paradigm" Communication Books 2013
8 Kim, Daeho, "Shared Economy" Communication Books 2018
9 Arnould, E. J., "Mutuality : Critique and substitute for Belk’s sharing" 16 (16): 75-99, 2016
10 Gu, Kyotae, "Internet and communication" Han Kyungsa 2012
11 Kling, R., "Group behavior and learning in electronic forum : A sociotechnical approach" 19 : 221-235, 2003
12 Kim, Jumsan., "Future of shared economy and success condition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4
13 Taeihagh, A, "Crowdsourcing, Sharing Economies, and Development" 33 (33): 2017
14 Ertz, M., "Collaborative Consumption or the Rise of the Two-Sided Consumer" 4 (4): 2016
15 Shirky, C, "Cognitive surplus : Creativity and Generosity in a Connected Age" Penguin Press 2010
16 Crowd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Shared Economy of Korean companies" G-World Publisher Corp 2013
철근 콘크리트 부재별 구성 철근별 작업 난이도와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메이커스(Makers)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디자인 진단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디자이너의 인지심리 기반 창의성 유형에 따른 앱 UX/UI 디자인 분석
지역엑스포 개최에 대한 지역민들의 기대효과가 협력의사 및 참가의사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