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직사회에서 고위직 여성공무원의 ‘유리절벽’ 경험에 대하여 개인의경험과 구술방식을 통해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유리절벽(Glass Cliff)’은 고위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28143
우양호 (한국해양대학교)
2021
Korean
유리절벽 ; 유리천장 ; 여성 ; 고위공무원 ; 퇴직 ; Glass Cliff ; Glass-Ceiling ; Female Public Officials ; High-Ranking Posts ; Retirement
KCI등재
학술저널
5-38(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직사회에서 고위직 여성공무원의 ‘유리절벽’ 경험에 대하여 개인의경험과 구술방식을 통해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유리절벽(Glass Cliff)’은 고위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직사회에서 고위직 여성공무원의 ‘유리절벽’ 경험에 대하여 개인의경험과 구술방식을 통해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유리절벽(Glass Cliff)’은 고위직 여성에게만나타나는 미묘하면서 보이지 않는 차별의 기제로서, 여성들이 고위직에서 오래 버티지 못하고 사직하거나 퇴직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존에는 승진의 ‘유리천장’을 없애면 공공과 민간에서 성공한 여성이 많아지고, 양성이 평등한 직장사회가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공직사회의 경우, 고위직 여성비율은 오랜 세월동안 거의 제자리걸음이다. 본 연구는 여성공무원 고위직의 ‘유리절벽’ 현상을 우리나라 공직사회에 시론적으로 소개하고, 이 개념을 중앙부처 고위공무원단의 경우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고위공무원단의 전・현직 여성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하였고, 유리절벽의 존재 가능성과 그 기제들을 탐색적으로 추론해 보았다. 유리절벽 발생의 주요기제로는 고위직의 불균등한 성비구조, 성과계약 및 신분의 불안정성, 직무과중과 업무 스트레스, 조직의 편견과 고정관념 등이 이론적으로 논증되었다. 이러한 틀로써 연구를 진행한 결과, 고위공직에서 여성의 ‘유리절벽’ 가설이 새롭게 인식하고 개선해야 할 부정적 개념임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
현 단계에서 일반화에는 조심스러웠지만, 유리절벽의 개념과 관련 기제들이 우리나라 공직 현실에서 완전히 없다고 단언키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공직의 인사와 성평등 문화연구전반에 있어서 ‘유리절벽’이 앞으로 ‘유리천장’과 함께 중요한 주제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천오, "한국 정부조직의 여성친화성 실태 및 강화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무원의 인식과 선호를 중심으로" 10 (10): 190-212, 2001
2 박천오,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9 (19): 177-200, 2010
3 홍미영,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에 대한 승진과 보직차별의 성차 분석" 대한지방자치학회 8 (8): 65-87, 2007
4 홍미영, "지방공무원의 여성관리자에 대한 차별원인과 태도및 행태의 구조적관계" 한국정부학회 17 (17): 1207-1230, 2005
5 원숙연, "조직의 문화적 특성이 여성관리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44 (44): 63-84, 2010
6 인사혁신처, "인사혁신통계연보"
7 우양호, "우리나라 공직사회의양성평등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양가적 성차별 이론(ambivalent sexism theory)”의 규명" 한국행정연구소 52 (52): 271-301, 2014
8 홍미영, "여성관련 연구수요와 전망에 관한 델파이 연구" 서울행정학회 19 (19): 235-259, 2008
9 행정자치부, "국가공무원인사통계(2016년~각 연도)"
10 권경득, "공직내 여성의 대표성과 조직문화, 직무행태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795-819, 2009
1 박천오, "한국 정부조직의 여성친화성 실태 및 강화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무원의 인식과 선호를 중심으로" 10 (10): 190-212, 2001
2 박천오,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9 (19): 177-200, 2010
3 홍미영,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에 대한 승진과 보직차별의 성차 분석" 대한지방자치학회 8 (8): 65-87, 2007
4 홍미영, "지방공무원의 여성관리자에 대한 차별원인과 태도및 행태의 구조적관계" 한국정부학회 17 (17): 1207-1230, 2005
5 원숙연, "조직의 문화적 특성이 여성관리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44 (44): 63-84, 2010
6 인사혁신처, "인사혁신통계연보"
7 우양호, "우리나라 공직사회의양성평등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양가적 성차별 이론(ambivalent sexism theory)”의 규명" 한국행정연구소 52 (52): 271-301, 2014
8 홍미영, "여성관련 연구수요와 전망에 관한 델파이 연구" 서울행정학회 19 (19): 235-259, 2008
9 행정자치부, "국가공무원인사통계(2016년~각 연도)"
10 권경득, "공직내 여성의 대표성과 조직문화, 직무행태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795-819, 2009
11 원숙연, "공직 내 여성관리자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의 역학 : 성차(性差)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한국여성학회 25 (25): 73-101, 2009
12 공무원연금공단, "공무원연금공단 퇴직통계(2016년~각 연도)"
13 우양호, "공공부문 고위직 여성의 공적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 토큰여성(tokens)과 여왕벌신드롬(queen bee syndrome)"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61-85, 2011
14 우양호, "고위직 여성의 ‘유리절벽(Glass Cliff)’ 현상 : 공공 및 민간부문의 실태규명과 비교" 한국행정연구소 58 (58): 271-301, 2020
15 Ryan, M. K., "Think Crisis-Think Female : The Glass Cliff and Contextual Variation in the Think Manager-Think Male Stereotype" 96 (96): 470-484, 2011
16 Kulich, C., "The Political Glass Cliff : Understanding How Seat Selection Contributes to the Under Performance of Ethnic Minority Candidates" 67 (67): 84-95, 2014
17 Hewlett, S. A., "The Glass Cliff: Are Women Leaders Often Set Up to Fail. Harvard Business Review" (18) : 1-12, 2014
18 Bechtoldt, M. N., "The Glass Cliff Myth? : Evidence from Germany and the UK" 30 (30): 273-297, 2019
19 Bruckmuller, S., "The Glass Cliff : When and Why Women are Selected as Leaders in Crisis Contexts" 49 (49): 433-451, 2010
20 Ryan, M. K., "The Glass Cliff : Exploring the Dynamics Surrounding the Appointment of Women to Precarious Leadership Positions" 32 (32): 549-572, 2007
21 Ryan, M. K., "The Glass Cliff : Evidence that Women are Over-Represented in Precarious Leadership Positions" 16 (16): 81-90, 2005
22 Powell, G. N., "The Glass Ceiling : What have We Learned 20 Years On?" 2 (2): 306-326, 2015
23 Powell, G. N., "The Gender and Leadership Wars" 40 (40): 1-9, 2011
24 Buckalew, E., "The Future of Female CEOs and Their Glass Ceiling" 3 (3): 145-153, 2012
25 D’gostino, M. J., "The Difference That Women Make : Government Performance and Women-Led Agencies" 46 (46): 212-233, 2014
26 Main, B. G, "Symbolic Management and the Glass Cliff : Evidence from the Boardroom Careers of Female and Male Directors" 28 (28): 1-20, 2017
27 Powell, G. N., "Sex, Gender and Aspirations to Top Management : Who’s Opting Out? Who’s Opting In?" 82 (82): 30-36, 2013
28 Eagly, A. H., "Role Congruity Theory of Prejudice toward Female Leaders" 109 (109): 573-598, 2002
29 Ryan, M. K., "Reactions to the Glass Cliff : Gender Differences in the Explanations for the Precariousness of Women’s Leadership Positions" 20 (20): 182-197, 2007
30 David, E., "Purple-Collar Labor Transgender Workers and Queer Value at Global Call Centers in the Philippines" 29 (29): 169-194, 2015
31 Hall, L. J, "Nice Girls Don’t Carry Knives : Constructions of Ambition in Media Coverage of Australia’s First Female Prime Minister" 52 (52): 631-647, 2013
32 Ashby, J. S., "Legal Work and the Glass Cliff : Evidence that Women Are Preferentially Selected to Lead Problematic Cases" 13 (13): 775-793, 2007
33 Carroll, W., "Is There a Glass Cliff?: Examining the Phenomenon Using Board of Director Appointments in Canada" 18 (18): 9-13, 2013
34 Hennessey, S. M., "Is There A Glass Cliff or a Solid Ledge for Female Appointees to the Board of Directors?" 18 (18): 125-135, 2014
35 Rink, F., "Influence in Times of Crisis : How Social and Financial Resources Affect Men’s and Women’s Evaluations of Glass-Cliff Positions" 23 (23): 1306-1313, 2012
36 Smith, R., "Images, Forms and Presence Outside and Beyond the Pink Ghetto" 29 (29): 466-486, 2014
37 Nutley, S, "Has the Glass Cliff Replaced the Glass Ceiling for Women Employed in the Public Sector?" 25 (25): 3-4, 2005
38 Kurt, D. A., "Glass Cliff in Relation to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11
39 Bruckmueller, S., "Gender Stereotypes and the Glass Cliff:Reduced Importance of Male Attributes Results in More Frequent Selection of Female Leaders in Times of Crisis" University of Kansas 2007
40 Macarie, F. A., "Gender Discrimination in Management :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35 (35): 153-172, 2012
41 Hunt-Earle, K., "Falling Over a Glass Cliff : A Study of the Recruitment of Women to Leadership Roles in Troubled Enterprises" 31 (31): 44-53, 2012
42 Bowling, C., "Cracked Ceilings, Firmer Floors, and Weakening Walls : Trends and Patterns in Gender Representation Among Executives Leading American State Agencies, 1970~2000" 66 (66): 823-836, 2006
43 Bremner, J. B., "Black Pink Collar Workers : Arduous Journey from Field and Kitchen to Office" 19 (19): 7-27, 2015
44 Bruckmuller, S., "Beyond the Glass Ceiling : The Glass Cliff and Its Lessons for Organizational Policy" 8 (8): 202-232, 2014
45 Cook, A, "Above the Glass Ceiling : When are Women and Racial/Ethnic Minorities Promoted to CEO?" 35 (35): 1080-1089, 2014
46 Schein, V. E., "A Global Look at Psychological Barriers to Women’s Progress in Management" 57 (57): 675-688, 2001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조적 요인을 중심으로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 잠재계층 및 영향요인 분석
유연근무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8-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42 | 1.559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