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업단의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미시, 중범위, 거시 수준으로 나눌 수 있지만, 실제 연구는 이러한 다수준 단계에를 넘다들며 사회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정신의학, 예방의학, 치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4693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업단의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미시, 중범위, 거시 수준으로 나눌 수 있지만, 실제 연구는 이러한 다수준 단계에를 넘다들며 사회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정신의학, 예방의학, 치의...
우리 사업단의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미시, 중범위, 거시 수준으로 나눌 수 있지만, 실제 연구는 이러한 다수준 단계에를 넘다들며 사회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정신의학, 예방의학, 치의학이 함께 시너지효과를 내며 융복합 연구. 예를 들어 Nature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에 출간된 논문은 치매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믿어지는 미시수준의 뇌연결성이, 중범위수준의 사회연결망과 어떻게 체계적으로 연관이 있는 지를, 한 마을 전체의 사회연결망과 그 중 80명의 brain fMRI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
1. 미시수준
미시수준에서는 DNA을 통한 genotyping과 brain fMRI를 자료에 바탕을 둔 뇌연구를 통해, 매우 미시적이고 생의학적 과정이라고 간주되는 인간의 gene과 brain이 어떻게 중범위수준의 사회연결망이나 거시수준의 마을공동체와 상호작용하면서 인지능력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토
2. 중범위 수준
마을 전체의 사회연결망과 또한 채혈을 포함한 건강검진을 통한 bio-markers를 통하여 본격적으로 어떻게 사회연결망과 여러 bio-markers들이 상호작용를 하는지 연구
3. 거시 수준
강화도의 두 면과 서울 강남구의 마을 공동체의 특성과 고령친화정도 index를 개발하고 이를 분석
4. 구체적인 사회문제 해결 프로그램 시행과 분석
4.1 강화도 한 면과 강남에 [건강장수클럽]을 발족, 운영
4.2 구강건강프로그램
4.3 수면클리닉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