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진택, "해뜨는 땅 동해" 21 (21): 88-97, 1986
2 이 찬, "한국의 고지도에서 본 동해" 27 (27): 263-267, 1992
3 김경성, "중학교 사회 I" 법문사 1966
4 이상태, "조선시대의 동해 인식에 관한 연구" 32 : 497-526, 2007
5 이승수, "조선시대의 ‘동해’에 대한 지리인식과 문학적 형상"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441-456, 2010
6 이영춘,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인들 생활 속의 東海" 역사실학회 (45) : 65-89, 2011
7 이상태,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東海 표기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157-164, 2004
8 심정보,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 밥북 2019
9 심정보, "문부성과 조선총독부의 국민학교 국민과 지리에 특설된 「향토의 관찰」과 「환경의 관찰」의 비교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89-107, 2009
10 심정보, "동해와 일본해 표기를 둘러싼 한일 대학생들의 인식" 한국지도학회 20 (20): 99-111, 2020
1 최진택, "해뜨는 땅 동해" 21 (21): 88-97, 1986
2 이 찬, "한국의 고지도에서 본 동해" 27 (27): 263-267, 1992
3 김경성, "중학교 사회 I" 법문사 1966
4 이상태, "조선시대의 동해 인식에 관한 연구" 32 : 497-526, 2007
5 이승수, "조선시대의 ‘동해’에 대한 지리인식과 문학적 형상" 한국지역지리학회 16 (16): 441-456, 2010
6 이영춘,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인들 생활 속의 東海" 역사실학회 (45) : 65-89, 2011
7 이상태,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東海 표기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157-164, 2004
8 심정보,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 밥북 2019
9 심정보, "문부성과 조선총독부의 국민학교 국민과 지리에 특설된 「향토의 관찰」과 「환경의 관찰」의 비교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89-107, 2009
10 심정보, "동해와 일본해 표기를 둘러싼 한일 대학생들의 인식" 한국지도학회 20 (20): 99-111, 2020
11 심정보, "근대 일본과 한국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동해 해역의 지명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5 (25): 37-55, 2013
12 임덕순, "音樂地理學의 구상: 음악-지리 관계에 주목하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161-169, 2009
13 月原敏博, "校歌で何を歌うか?" 1 : 167-180, 2010
14 浅見雅子, "校歌-心の原風景-" 学文社 1996
15 양보경, "朝鮮時代 古地圖에 표현된 東海 地名"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89-111, 2004
16 滝沢由美子, "日本海呼稱の起源と現狀" 4 (4): 123-133, 2009
17 朝倉隆太郞, "山と校歌" 二宮書店 1999
18 山口幸南, "地理教育と音教材" 51 (51): 20-27, 2003
19 帝京大学地名研究会, "地名の発生と機能-日本海地名の研究-" 帝京大学地名研究会 2010
20 Dove, J., "Teaching geography through music and sound" 16 (16): 3-6, 1991
21 Pocock, D., "Humanistic Approaches in Geography, Occasional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