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문희, "현몽쌍룡기 1∼3" 소명출판 2010
2 정창권,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110-112, 2002
3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총서" 태학사 1983
4 김문희, "조씨삼대록 1∼5" 소명출판 2010
5 김미란,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생애와 풍속" 평민사 269-273, 2016
6 정선희, "장편가문소설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기능" 한민족문화학회 (36) : 181-209, 2011
7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8 구현정, "유머 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한글학회 (248) : 159-184, 2000
9 "유머"
10 앙리베르그송, "웃음" 세계사 10-120, 2007
1 김문희, "현몽쌍룡기 1∼3" 소명출판 2010
2 정창권,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110-112, 2002
3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총서" 태학사 1983
4 김문희, "조씨삼대록 1∼5" 소명출판 2010
5 김미란,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생애와 풍속" 평민사 269-273, 2016
6 정선희, "장편가문소설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기능" 한민족문화학회 (36) : 181-209, 2011
7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8 구현정, "유머 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한글학회 (248) : 159-184, 2000
9 "유머"
10 앙리베르그송, "웃음" 세계사 10-120, 2007
11 조혜란, "소현성록 1∼4" 소명출판 2010
12 한용환, "소설학사전" 고려원 324-, 1992
13 김문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한담적 대화양상과 기능"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27-159, 2007
14 류정월, "문헌설화에서 ‘투기하는 부인[妬婦]’의 형상화와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43-79, 2012
15 이칠영, "담화분석의 특성" 한국현대언어학회 2 : 163-172, 1985
16 임규홍,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학회 (20) : 111-145, 2007
17 정혜경, "<현씨양웅쌍린기>의 서사적 힘; 웃음" 한민족문화학회 (37) : 33-63, 2011
18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戱談) 연구 -남성 희담꾼 ‘정염’과 여성 희담꾼 ‘상부인’ 간의 희담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273-310, 2012
19 이주영, "<소현성록>의 농담 기제와 그 의의" 개신어문학회 (32) : 63-95, 2010
20 서경희, "<소현성록>의 ‘석파’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69-9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