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고전장편소설 속 여성들의 유머 담화와 웃음의 성격 = Women’s Humorous Discourse and Features of Laughter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women's humorous discourse and the way of creating laughter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and explore the world of laughter and the nature of laughter in women who lived during Joseon Dynasty. The humorous discourse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is characterized into several kinds according to the ways of creating laughter: laughter based on self-exaggeration and rationalization, laughter based on the revealing of inside couple relationship, laughter based on the downgraded superiority and nobility, and laughter based 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cessive and unfairness. Among them, the laughter based on self-exaggeration and rationalization are made from the realistic self-awareness of the women of the noble birth and they have the character of a win-win laughter. The laughter based on the exposure of couple’s inside story and the laughter based on the lowering of the value of the superiority and the nobility are made from the balanced sense of life and the flexible attitude of women's life in noble society, and they have the character of solidarity communicating with the surroundings. The laughter based 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cessive and unfairness is made from a critical awareness that criticizes the patriarch who treats his wife and children unjustly and criticizes the injustice imposed by the masculinity of Confucian society, and it has the character of resistive laughter.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women's humorous discourse and the way of creating laughter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and explore the world of laughter and the nature of laughter in women who lived during Joseon Dynasty. The humorous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women's humorous discourse and the way of creating laughter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and explore the world of laughter and the nature of laughter in women who lived during Joseon Dynasty. The humorous discourse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is characterized into several kinds according to the ways of creating laughter: laughter based on self-exaggeration and rationalization, laughter based on the revealing of inside couple relationship, laughter based on the downgraded superiority and nobility, and laughter based 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cessive and unfairness. Among them, the laughter based on self-exaggeration and rationalization are made from the realistic self-awareness of the women of the noble birth and they have the character of a win-win laughter. The laughter based on the exposure of couple’s inside story and the laughter based on the lowering of the value of the superiority and the nobility are made from the balanced sense of life and the flexible attitude of women's life in noble society, and they have the character of solidarity communicating with the surroundings. The laughter based 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cessive and unfairness is made from a critical awareness that criticizes the patriarch who treats his wife and children unjustly and criticizes the injustice imposed by the masculinity of Confucian society, and it has the character of resistive laugh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장편소설 속에 나타나는 여성들의 유머 담화의 양상과 웃음을 창출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의 웃음의 세계와 웃음의 성격을 탐구하는 것이다. 고전장편소설의 유머 담화는 그 내용과 웃음을 창출하는 방식에 따라 자기 과시와 합리화에 기반한 웃음, 이면적 부부관계 폭로에 기반한 웃음, 우월함과 고상함의 가치 격하에 기반한 웃음, 과도함과 부당함의 저항에 기반한 웃음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중 자기 과시와 합리화에 기반한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현실 자족적 인식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상생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계층적 특수성에서 만들어지는 웃음의 세계이다. 이면적 부부관계 폭로에 기반한 웃음과 우월함과 고상함의 가치 격하에 기반한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삶에 대한 균형 감각과 유연한 태도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주변과 소통하는 연대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당위와 현실을 직시하는 삶의 태도가 만들어내는 웃음의 세계이다. 과도함과 부당함의 저항에 기반한 웃음은 아내와 자녀를 부당하게 대하는 가부장을 비판하고 유교 사회의 남성 중심주의가 강제하는 부당성을 비판하는 비판적 인식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저항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여성의 젠더적 차원의 인식이 작동하여 만들어내는 웃음의 세계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장편소설 속에 나타나는 여성들의 유머 담화의 양상과 웃음을 창출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의 웃음의 세계와 웃음의 성격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장편소설 속에 나타나는 여성들의 유머 담화의 양상과 웃음을 창출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의 웃음의 세계와 웃음의 성격을 탐구하는 것이다. 고전장편소설의 유머 담화는 그 내용과 웃음을 창출하는 방식에 따라 자기 과시와 합리화에 기반한 웃음, 이면적 부부관계 폭로에 기반한 웃음, 우월함과 고상함의 가치 격하에 기반한 웃음, 과도함과 부당함의 저항에 기반한 웃음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중 자기 과시와 합리화에 기반한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현실 자족적 인식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상생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계층적 특수성에서 만들어지는 웃음의 세계이다. 이면적 부부관계 폭로에 기반한 웃음과 우월함과 고상함의 가치 격하에 기반한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삶에 대한 균형 감각과 유연한 태도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주변과 소통하는 연대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당위와 현실을 직시하는 삶의 태도가 만들어내는 웃음의 세계이다. 과도함과 부당함의 저항에 기반한 웃음은 아내와 자녀를 부당하게 대하는 가부장을 비판하고 유교 사회의 남성 중심주의가 강제하는 부당성을 비판하는 비판적 인식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저항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여성의 젠더적 차원의 인식이 작동하여 만들어내는 웃음의 세계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희, "현몽쌍룡기 1∼3" 소명출판 2010

      2 정창권,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110-112, 2002

      3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총서" 태학사 1983

      4 김문희, "조씨삼대록 1∼5" 소명출판 2010

      5 김미란,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생애와 풍속" 평민사 269-273, 2016

      6 정선희, "장편가문소설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기능" 한민족문화학회 (36) : 181-209, 2011

      7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8 구현정, "유머 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한글학회 (248) : 159-184, 2000

      9 "유머"

      10 앙리베르그송, "웃음" 세계사 10-120, 2007

      1 김문희, "현몽쌍룡기 1∼3" 소명출판 2010

      2 정창권,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110-112, 2002

      3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총서" 태학사 1983

      4 김문희, "조씨삼대록 1∼5" 소명출판 2010

      5 김미란,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생애와 풍속" 평민사 269-273, 2016

      6 정선희, "장편가문소설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기능" 한민족문화학회 (36) : 181-209, 2011

      7 한길연,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

      8 구현정, "유머 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한글학회 (248) : 159-184, 2000

      9 "유머"

      10 앙리베르그송, "웃음" 세계사 10-120, 2007

      11 조혜란, "소현성록 1∼4" 소명출판 2010

      12 한용환, "소설학사전" 고려원 324-, 1992

      13 김문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한담적 대화양상과 기능"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27-159, 2007

      14 류정월, "문헌설화에서 ‘투기하는 부인[妬婦]’의 형상화와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43-79, 2012

      15 이칠영, "담화분석의 특성" 한국현대언어학회 2 : 163-172, 1985

      16 임규홍,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학회 (20) : 111-145, 2007

      17 정혜경, "<현씨양웅쌍린기>의 서사적 힘; 웃음" 한민족문화학회 (37) : 33-63, 2011

      18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戱談) 연구 -남성 희담꾼 ‘정염’과 여성 희담꾼 ‘상부인’ 간의 희담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273-310, 2012

      19 이주영, "<소현성록>의 농담 기제와 그 의의" 개신어문학회 (32) : 63-95, 2010

      20 서경희, "<소현성록>의 ‘석파’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69-98,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