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전시 초등학교 학교숲 조성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생명의숲 조성 사례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7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생명의숲에서 조성한 대전시 초등학교의 학교숲 조성면적, 식재현황과 유형별 특성 비교·분석 및 조성 후 관리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학교숲 조성의 기초...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생명의숲에서 조성한 대전시 초등학교의 학교숲 조성면적, 식재현황과 유형별 특성 비교·분석 및 조성 후 관리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학교숲 조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전시 학교숲 조성에 참여한 학교는 2015년 기준 총 37개교이고, 초등학교 21개교(56.8%), 중학교 8개교(21.6%), 고등학교 6개교(16.2%), 특수학교 2개교(5.4%)이다. 이번 조사대상은 초등학교 21개교를 선정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조성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총 18,736m²를 조성하였고, 학교별 평균 892.2m²로 조사되었으며, 조성 후 학생 1인당 녹지면적은 조성 이전 1인당 평균 8.8m²에서 12.5m²로 약 3.7m²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현황은 교목 2,665본(3.8%), 관목 47,479본(66.9%), 초본 20,788본(29.3%)으로 총 70,932본을 심었고, 평균 식재량은 교목 127본, 관목 2,261본, 초본 990본을 심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숲 조성유형은 운동장 일부 공간이 9개교(42.9%)로 가장 많았고, 교사 주변 공간 5개교(23.8%), 학교 경계 공간 4개교(19.0%), 중정원 공간 2개교(9.5%), 기타 공간 1개교(4.8%)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교숲 조성 후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학교숲의 관리체계 마련, 학교숲 유형의 다양성 개발, 인수인계 미비, 학교숲 소실 대안 마련, 학교숲을 활용한 환경교육프로그램 결여 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와 개선방안을 통하여 학교숲의 지속적인 조성과 질적 향상을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rea of school forests, planting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City, which was created by Forest for Life from 2001 to 2015, and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schoo...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rea of school forests, planting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City, which was created by Forest for Life from 2001 to 2015, and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school forests. As of 2015, a total of 37 schools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school forest in Daejeon, with 21 elementary schools (56.8%), 8 middle schools (21.6%), 6 high schools (16.2%), and 2 special schools (5.4%). 21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and monitored for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osition area, a total of 18,736m² was created and the average green area of 892.2m², and after the construction, the average green area per student increased by 3.7m² from 8.8m² to 12.5m². The planting status was 2,665 trees (3.8%), 47,479 shrubs (66.9%), and 20,788 plants (29.3%), total of 70,932 trees were planted. The average planting amount was 127 trees, 2,261 shrubs, and 990 herbs planted was analyzed. Among the types of school forest construction, 9 schools (42.9%) had the largest number of spaces in the playground, followed by 5 schools (23.8%), 4 schools (19.0%), 2 middle garden spaces (9.5%), and 1 other space (4.8%). Some of the things that need to be improved after the creation of school forest were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ystem, developing diversity of school forest types, lack of succession, establishing alternatives to the disappearance of school forests, and lack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chool forest will be continuously created and qualitatively impro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재료 및 방법
      • III.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재료 및 방법
      • III. 결과 및 고찰
      • IV.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영,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90-100, 2005

      2 김송, "학교 숲 만족이 고등학생들의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8 (18): 49-62, 2014

      3 박봉주, "청주시 초등학교 학교숲 식재현황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6 (16): 119-124, 2012

      4 Kim, S. A, "The effect of the school forest program on the change of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1-106, 2012

      5 Jeon, Y. W., "School with forests" 24-26, 1999

      6 Kim, I. H, "School Fores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hat is school forest movement?" 12-13, 2003

      7 Shim, Y. K, "School Fores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10 Job Training in Special Field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rest for Life 109-111, 2010

      8 Kim, I. H., "Improvement Plans of School Forest for Eco-School – Focused on the School Forest Project Led by the Government" 14 (14): 124-128, 2007

      9 Forest for Life, "Forest Fly to Hope : A Decade of Life shared with Forest, 1998-2007" 71-73, 2008

      10 Kim, I. H., "Development School Forest for Carbon(CO₂)Decrease in Climate Change Age" 16 (16): 9-12, 2009

      1 이재영,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90-100, 2005

      2 김송, "학교 숲 만족이 고등학생들의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8 (18): 49-62, 2014

      3 박봉주, "청주시 초등학교 학교숲 식재현황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6 (16): 119-124, 2012

      4 Kim, S. A, "The effect of the school forest program on the change of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1-106, 2012

      5 Jeon, Y. W., "School with forests" 24-26, 1999

      6 Kim, I. H, "School Fores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hat is school forest movement?" 12-13, 2003

      7 Shim, Y. K, "School Fores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10 Job Training in Special Field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rest for Life 109-111, 2010

      8 Kim, I. H., "Improvement Plans of School Forest for Eco-School – Focused on the School Forest Project Led by the Government" 14 (14): 124-128, 2007

      9 Forest for Life, "Forest Fly to Hope : A Decade of Life shared with Forest, 1998-2007" 71-73, 2008

      10 Kim, I. H., "Development School Forest for Carbon(CO₂)Decrease in Climate Change Age" 16 (16): 9-12, 2009

      11 Daejeon Chungnam Forest for Life, "Daejeon Chungnam School Forest Status Diagnosis and Vision Establishment Research" 157-169, 2009

      12 Kim, I. H., "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y and State of School Forest Movement,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3 (13): 111-121, 2000

      13 Cho, B. W., "A Study on School Forest Recognition of the School Community and a Proper Formation of the School Fores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림휴양학회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9 0.9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