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철학자들이 정의를 정치학이나 윤리학의 중심문제로 다루었다. 현재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자유주의 이론 역시 정의의 문제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았다. 개인주의를 그 본질적 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철학자들이 정의를 정치학이나 윤리학의 중심문제로 다루었다. 현재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자유주의 이론 역시 정의의 문제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았다. 개인주의를 그 본질적 특...
많은 철학자들이 정의를 정치학이나 윤리학의 중심문제로 다루었다. 현재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자유주의 이론 역시 정의의 문제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았다. 개인주의를 그 본질적 특징으로 하는 자유주의 이론에서 정의가 논의되는 지평은 주로 ‘계약의 공정성’, 특히 ‘재화의 분배’에 집중되어 있다. 레비나스 역시 정의를 철학의 중심 문제로 삼았다. 레비나스는 정의 물음의 원천을 ‘나의 존재 권리’를 문제 삼는 데서, 다시 말해 타자에 대한 나의 책임 속에서 발견한다. 그에 따르면 “내가 존재할 권리가 있는가?”에 대한 물음, 즉 “태양 아래의 나의 자리”에 대한 물음이야말로 정의가 논의되는 근원적인 지평이다. 이렇듯 레비나스의 정의론에는 ‘나의 존재 유지 경향conauts essendi이 가지는 현실적인 (혹은 잠재적인) 폭력성에 대한 반성’이 자리 잡고 있다. 그의 정의론은 그의 타자론에 기초해 있다. 레비나스의 정의론은 ‘책임으로서의 정의’이다. 하지만 삼자의 등장 이후 레비나스의 정의론은 ‘공평으로서의 정의’로 변하는 것처럼 보인다. 삼자의 등장이 동등성과 상호성의 관계, 정치적 합리성의 관계의 수립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삼자가 레비나스의 작업 속에 공평과 평등에 대한 요구를 도입한다고 해서 ‘타자에 대한 나의 책임’이라는 종래의 발상이 포기되는 것은 아니다. 삼자는 책임의 무한성, 다시 말해 ‘정의의 아포리’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레비나스의 정의는 ‘타인의 선’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런 발상은 우리에게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조건들을 제공한다. 독특성과 차이에 대한 인정 그리고 코나투스를 거스르는 책임이 바로 그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philosophers have considered justice as the main theme of ethics and politics. Liberalism that recently dominates our society has focused on the 'fairness of contract'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when it describes the concept of justice. On ...
Many philosophers have considered justice as the main theme of ethics and politics. Liberalism that recently dominates our society has focused on the 'fairness of contract'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when it describes the concept of justice. On the contrary, while regarding justice as a core issue in his philosophy as well, Levinas turns its proposition inside out. In his philosophy, the source of justice is to call 'my right to be' into question, that is to say, my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According to him, the question of 'Have I the right to be?' and 'my place in the sun' is an original horizon in which justice is discussed. In Levinasian theory of justice, therefore, there is a reflection of real (or potential) violence that is my 'conatus essendi'. His theory of justice is based on his theory of the Other. It is 'justice as responsibility' as well. After the entry of a third party, however, 'justice as equity' is introduced, because the entry of a third party requires a parity, reciprocity and political rationality. Although the third party introduces a demand for impartiality and equality in Levinas' work, 'the responsibility of the Other' that his philosophy seeks to maintain is not given up. The third par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emphasizing the infinity of responsibility, which is 'aporia of justice'. His justice is interpreted as 'the Other's goodness'. His opinion gives us the condition for a new community. That is just the recognition of singularity and difference, the responsibility countercurrent a conatu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형, "레비나스 철학의 사회철학적 함의 ― 레비나스의 윤리와 정치" 대동철학회 (50) : 99-125, 2010
2 Drabinski, J,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politics″, in Emmanuel LevinasVolume Ⅳ ― Beyond Levinas" Routledge 2005
3 Levinas, E, "″The contemporary Criticism of the Idea of Value and the Prospects forHumanism″, in VALUE AND VALUES IN EVOLUTION"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Ltd 1979
4 Bernasconi, R, "″The Third Party ― Levinas on the intersection of the ethical andthe political″, in Emmanuel Levinas Volume Ⅰ ― Levinas,Phenomenology and His Critics" Routledge 2005
5 Levinas,E, "″The Paradox of Morality: an Interview with Emmanuel Levinas″,in The Provocation of Levinas: Rethinking the Other" Routledge 1988
6 Alford, C.F, "″Levinas and the limits of political theory″, in Levinas, Law,Politics" Routledge-Cavendish 2007
7 Ciaramelli, F., "″Le refus de l'immédiat. Remarques sur Levinas et la questionde la justice″, in Revue internationale de philosophie ― EmmanuelLevinas"
8 Critchley, S, "″Five problems in Levinas's view of politics and a sketch of a solutionto them″, in Levinas, Law, Politics" Routledge-Cavendish 2007
9 Derrida, J, "″Derrida avec Lévinas ― entre lui et moi dans l'affection et laconfiance partagée″, in Magazine littéraire ― LÉVINAS, Éthique,religion"
10 Lévinas,E, "Éthique comme philosophie première" Rivages Poche 1998
1 김도형, "레비나스 철학의 사회철학적 함의 ― 레비나스의 윤리와 정치" 대동철학회 (50) : 99-125, 2010
2 Drabinski, J,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politics″, in Emmanuel LevinasVolume Ⅳ ― Beyond Levinas" Routledge 2005
3 Levinas, E, "″The contemporary Criticism of the Idea of Value and the Prospects forHumanism″, in VALUE AND VALUES IN EVOLUTION"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Ltd 1979
4 Bernasconi, R, "″The Third Party ― Levinas on the intersection of the ethical andthe political″, in Emmanuel Levinas Volume Ⅰ ― Levinas,Phenomenology and His Critics" Routledge 2005
5 Levinas,E, "″The Paradox of Morality: an Interview with Emmanuel Levinas″,in The Provocation of Levinas: Rethinking the Other" Routledge 1988
6 Alford, C.F, "″Levinas and the limits of political theory″, in Levinas, Law,Politics" Routledge-Cavendish 2007
7 Ciaramelli, F., "″Le refus de l'immédiat. Remarques sur Levinas et la questionde la justice″, in Revue internationale de philosophie ― EmmanuelLevinas"
8 Critchley, S, "″Five problems in Levinas's view of politics and a sketch of a solutionto them″, in Levinas, Law, Politics" Routledge-Cavendish 2007
9 Derrida, J, "″Derrida avec Lévinas ― entre lui et moi dans l'affection et laconfiance partagée″, in Magazine littéraire ― LÉVINAS, Éthique,religion"
10 Lévinas,E, "Éthique comme philosophie première" Rivages Poche 1998
11 Hayat,P, "dividualisme éthique et philosophie chez Levinas" Kimé 1997
12 Simmons, W.P, "Why Tell this Long Story about the Face? ― Levinas and LiberalPolitical Thought″, in An-Archy and Justice ― An Introduction toEmmanuel Levinas's Political Thought" Lexington Books 2003
13 Lévinas,E, "Totalité et Infini" Martinus Nijhoff 1974
14 Simmons, W.P, "The Third ― Leivnas' theoretical move from an-archicalethics to the realm of justice and politics″" SAGE Publication 1999
15 Critchley, S, "The Ethics of Deconstruction ― Derrida and Levinas" PurdueUniversity Press 1992
16 Kant, I, "Observations on the Feeling of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0
17 Lévinas,E, "Liberté et commandement" Livre de Poche 1994
18 Caygill,H, "LEVINAS AND THE POLITICAL" Routledge 2002
19 Levinas, E, "Is it Righteous to be? ― Interviews with Emmanuel Levina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20 Lévinas,E, "Humanisme de l'autre homme" Livre de Poche 1972
21 Lévinas,E, "Hors Sujet" Livre de Poche 1987
22 Lévinas,E, "Entre Nous" Livre de Poche 1991
23 Lévinas,E, "Difficile liberté" Livre de Poche 2006
24 Lévinas, E, "Dieu, la mort et le temps" Livre de Poche 1993
25 Lévinas,E, "De Dieu Qui Vient à L'idée" Librairie Philosophique J. Vrin 1998
26 Lévinas, E, "Autrement qu'être ou au-delà de l'essence" Martinus Nijhoff 1974
27 Delhom, P, "Apories du tiers: les deux niveaux de la justice″, in Les CahierPhilosophiques de Strasbourg ― Lévinas et la Politique" Vrin 2003
28 Lévinas,E, "Altérité et transcendance" Livre de Poche 1995
중국 화론에 나타난 동양미학 사상 연구 ― 神과 氣韻 개념을 중심으로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그 극복과 방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