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백초 추출물의 3T3-L1 세포에 대한 지방축적 억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21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esity increases the risk of many adult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diabetes, hypertension, ischemic heart disease and breast cancer. Inhibition of adipogenesis is an effective way in the anti-obesity management. Because of main components of ...

      Obesity increases the risk of many adult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diabetes, hypertension, ischemic heart disease and breast cancer. Inhibition of adipogenesis is an effective way in the anti-obesity management. Because of main components of Saururus chinensis is flavonoid, it has been showed some improvement by its antioxidant effects on the atherosclerosis, heart disease and diabetic hyperlipidemia. But mechanism of anti-obesity effect of S. chinensis is not clea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S. chinensis on adipogenesis in the 3T3-L1 pre-adipocyte. The 3T3-L1 cell line is commonly used to study adipogenesis in vitro. In this study, ethanol extracts of S. chinensis significantly decrease the lipid accumulation in the 3T3-L1 cells proved by measuring triglyceride contents and Oil red O staining. The proposed mechanism of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the 3T3-L1 cells with ethanol extracts of S. chinensis is down-regulation of transcriptional factors and adipocytespecific genes such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 in concentration dependent patter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S. chinensis inhibits adipognesis in the 3T3-L1 cells and can be used as a safe and efficient natural substance to manage anti-obes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휘승, "항비만에 대한 생약복합물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32-38, 2009

      2 이시림, "포도 추출물로부터 C/EBP 전사인자 활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119-123, 2011

      3 강성례, "치자와 삼백초 열수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콜라겐 합성능" 대한미용학회 7 (7): 165-171, 2011

      4 김대중, "천년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366-373, 2011

      5 윤보라, "쓴메밀 및 단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123-130, 2012

      6 이지원, "비타민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활성 관련 Flavonol Glycoside 분리"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251-256, 2011

      7 김민자, "건조방법에 따른 삼백초의 유효성분 함량, 항산화능 및 색도"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8-13, 2006

      8 Bradford, B. L, "Towards a molecular understanding of adaptive thermogenesis" 404 : 652-660, 2000

      9 Rosen, E. D, "The transcriptional basis of adipocyte development" 73 : 31-34, 2005

      10 김한수, "Streptozotocin 유도 당뇨성 흰쥐의 혈당, 전해질 및 지질대사에 삼백초 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6 (16): 911-918, 2006

      1 진휘승, "항비만에 대한 생약복합물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32-38, 2009

      2 이시림, "포도 추출물로부터 C/EBP 전사인자 활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119-123, 2011

      3 강성례, "치자와 삼백초 열수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콜라겐 합성능" 대한미용학회 7 (7): 165-171, 2011

      4 김대중, "천년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366-373, 2011

      5 윤보라, "쓴메밀 및 단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123-130, 2012

      6 이지원, "비타민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활성 관련 Flavonol Glycoside 분리"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251-256, 2011

      7 김민자, "건조방법에 따른 삼백초의 유효성분 함량, 항산화능 및 색도"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8-13, 2006

      8 Bradford, B. L, "Towards a molecular understanding of adaptive thermogenesis" 404 : 652-660, 2000

      9 Rosen, E. D, "The transcriptional basis of adipocyte development" 73 : 31-34, 2005

      10 김한수, "Streptozotocin 유도 당뇨성 흰쥐의 혈당, 전해질 및 지질대사에 삼백초 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6 (16): 911-918, 2006

      11 최하늘, "Ren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in rats fed a high-fructose diet" 한국영양학회 5 (5): 365-369, 2011

      12 Rayalam, S, "Phytochemicals and regulation of the adipocyte life cycle" 19 : 717-726, 2008

      13 Raylama S, "Phytochemicals and regulation of the adipocyte life cycle" 19 : 717-726, 2008

      14 Evans, R. M, "PPARs and the complex journey to obesity" 10 : 355-361, 2004

      15 Seo, C. S, "Manassantin A and B from Saururus chinensis inhibiting cellular melanin production" 23 : 1531-1536, 2009

      16 Kim, T. J, "Korean Esource Pla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6-67, 1996

      17 Dave, S, "Inhibition of adipogenesis and induction of apoptosis and lipolysis by stem bromelanin in 3T3-L1 adipocytes" 7 : e30831-, 2012

      18 Hwang, J. Y,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Sarurus chinensis bail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2 : 100-104, 2007

      19 Yahagi, Tadahiro, "Flavonol acylglycoside from flower of Albizia julibrissin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60 : 129-136, 2012

      20 Lee, M. S, "Effects of capsaicin on lipid catabolism in 3T3-L1 adipocytes" 25 : 935-939, 2011

      21 박미영, "Effects of Panicum miliaceum L. extract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한국영양학회 5 (5): 192-197, 2011

      22 Desai, A, "Cytotoxicity and apoptosis enhancement in brain tumor cells upon coadministration of paclitaxel and ceramide in nanoemulsion formulations" 97 : 2745-2756, 2008

      23 Spiegelman, B. M, "Adipogenesis and obesity: rounding out the big picture" 87 : 377-389, 1996

      24 최명진, "2,4-Dinitrochlorobenzene으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비파엽 및 삼백초 추출발효물의 항아토피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611-161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공학회지 -> KSBB Journal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662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