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시기 현토본 중국소설 간행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91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中国古典小说从朝鲜王朝初期正式传入韩国后广泛传播。 朝鲜时期(1392至1910年)与中国明清两代(1368年至1911年)在时间...

      中国古典小说从朝鲜王朝初期正式传入韩国后广泛传播。 朝鲜时期(1392至1910年)与中国明清两代(1368年至1911年)在时间上大致重合, 在中国这一时期正是中国古典小说, 尤其是通俗小说的繁荣时期。 在壬辰倭乱(1592‐1598)前后, 中国通俗小说大量传入朝鲜, 读者层也随之扩大。 在朝鲜时期, 读者阅读中国小说主要是汉文原本和韩文译本。 朝鲜在1445年世宗大王创造训民正音后, 大量的中国小说翻译成韩文, 但朝鲜王朝的文人士大夫大部分长期以来以汉文作为表达工具, 他们阅读文言小说的历史由来已久。 因此他们阅读中国小说主要是汉文原本 , 或者为阅读时正确理解汉文句子的意思在汉文句子中加悬吐。 韩国在汉文翻译的方式中, 具有代表性的是口诀与悬吐, 所以中国小说翻译也采用了这种方式。 口诀是从韩国三国时代口头流传下来的, 但现在能看到的口诀资料, 无论是汉文口诀还是韩文口诀, 都是15世纪以后所创造的。 有关使用口诀和吐等词汇的最早纪录在15世纪的世宗实录及初期谚解本记录中能看到。 口诀指在汉文句子中当停顿的地方, 加一个韩文的助词或终结性语尾词, 其作用是帮助韩国人阅读时断句和理解文意, 这是一种汉文及韩文的特征相联接的韩国独有的翻译方式。 口诀种类可分为三种, 有汉字口诀、 助记号口诀、 韩字口诀等。 在朝鲜谚解书中, 有的是由口诀文和韩文译文构成, 这种译本体例是首先根据汉文原本的文意在所有汉文句子中加悬吐, 然后参考悬吐把汉文翻译成韩文的, 其中口诀对正确理解汉文句子的意思发挥关键性作用。 在朝鲜时期的小说大体可分为汉文小说和韩文小说。 其中在汉文句子中加悬吐的悬吐本汉文小说是从朝鲜时期开始出现, 但其数量不多。 悬吐本汉文小说到近代才集中出现。 在悬吐本汉文小说中还有中国古典小说, 包括《諺吐三國志》、 《懸吐三國志》、 《註解西廂記》、 《懸吐註解西廂記》、 《諺文懸吐剪燈新話》等, 这些作品都是当时备受读者欢迎。 本论文先从书志学方面对近代韩国(朝鲜末期至日本殖民统治时期)刊行的悬吐本汉文小说进行考证, 还对悬吐本中国小说的版本、 悬吐方式和特征等进行考证。 笔者相信这一定有助于研究中国古典小说在韩国的传入、 接受、 传播及翻译的历史。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현토의 정의와 유래
      • 3. 근대 현토본 한문소설의 유행
      • 4. 현토본 중국소설의 간행
      • 5. 결론
      • 1. 서론
      • 2. 현토의 정의와 유래
      • 3. 근대 현토본 한문소설의 유행
      • 4. 현토본 중국소설의 간행
      • 5. 결론
      • 〈參考文獻〉
      • 〈中文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起, "李朝時代小說論" 仁友출판사 1974

      2 "龍飛御天歌"

      3 "老乞大" 韓國學中央硏究院

      4 車溶柱, "한국한문학사" 아세아문화사 2008

      5 金相大, "중세국어구결문의 국어학적 연구(2)-불경언해를 중심으로" 성곡학술문화재단 18 : 1987

      6 한국중국희곡연구회, "중국희곡선집" 학고방 1995

      7 閔寬東,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아세아문화사 2007

      8 朴在淵, "조선시대 삼국지연의 한글번역 필사본의 연구" 14 : 2000

      9 趙東, "조동일소장 국문학연구자료" 博而精 1999

      10 鄭煥局, "애국계몽기 한문현토소설의 존재방식-신문연재소설의 경우-" 한국고전문학회 24 : 7-208, 2003

      1 金起, "李朝時代小說論" 仁友출판사 1974

      2 "龍飛御天歌"

      3 "老乞大" 韓國學中央硏究院

      4 車溶柱, "한국한문학사" 아세아문화사 2008

      5 金相大, "중세국어구결문의 국어학적 연구(2)-불경언해를 중심으로" 성곡학술문화재단 18 : 1987

      6 한국중국희곡연구회, "중국희곡선집" 학고방 1995

      7 閔寬東,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아세아문화사 2007

      8 朴在淵, "조선시대 삼국지연의 한글번역 필사본의 연구" 14 : 2000

      9 趙東, "조동일소장 국문학연구자료" 博而精 1999

      10 鄭煥局, "애국계몽기 한문현토소설의 존재방식-신문연재소설의 경우-" 한국고전문학회 24 : 7-208, 2003

      11 河炅心, "국내 중국고전희곡의 번역 현황과 실제" 중국어문학논총 2004

      12 權容善, "구활자본 삼국지의 유통과 변이"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14 : 2005

      13 李在銑, "韓末의 新聞小說"

      14 宋敏鎬, "韓國開化期小說의 史的硏究" 一志社 1975

      15 林明德, "韓國漢文小說全集 1~9권" 국학자료실 1999

      16 金衡中, "韓國愛國啓蒙期 新聞連載小說 硏究" 翰林大學校大學院 1999

      17 金起, "韓國古典小說硏究" 교학사 1981

      18 李基文, "開化期의 국문사용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韓國文化硏究所 1984

      19 洪性大, "開化期漢文小說考"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3

      20 洪惠淑, "諺解의 史的 硏究-15.16세기 表記法을 중심으로" 淸州大學校大學院 1989

      21 瞿佑, "諺文懸吐剪燈新話 卷上下" 朝鮮圖書株式會社 1920

      22 王實甫, "註解西廂記" 朴文書館 1906

      23 민관동, "西廂記의 국내 유입과 판본 연구" 한국중국소설학회 31 (31): 137-162, 2010

      24 金聖歎, "西廂記"

      25 王實甫, "西廂記" 도서출판 1996

      26 禹快濟, "舊活字本古小說全集 In 仁川大學民族文化資料叢書" 은하출판사 1984

      27 신상필, "異本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한국고소설학회 29 (29): 511-536, 2010

      28 張孝鉉, "玉樓夢의 文獻學的 硏究" 高麗大學校大學院 1981

      29 "燕山君日記"

      30 羅貫中, "永豊書館" 永豊書館 1941

      31 "梅月堂詩集 卷六四 張17" 啓明文化社 1987

      32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東아시아文學 속에서의 韓國漢文小說 硏究" 2002

      33 朴在淵, "朝鮮時代 中國通俗小說 飜譯本 硏究" 外國語大學大學院 1992

      34 李敬菴, "懸吐註解西廂記" 朝鮮圖書株式會社 1922

      35 羅貫中, "懸吐三國志" 朴文書館 1935

      36 羅貫中, "四大奇書第一種三國志"

      37 金起東, "古典漢文小說選" 敎學硏究社 1995

      38 南豊鉉, "古代韓國語硏究" 시간의 물레 2009

      39 南豊鉉, "口訣硏究" 太學社 2002

      40 瞿佑, "剪燈新話句解 卷上下"

      41 鹽谷溫, "剪燈新話, 剪燈餘話, 宣和遺事" 國譯漢文大成 文學部 13 : 1920

      42 崔溶澈, "剪燈新話" 중한번역문헌연구소, 學古房 2008

      43 구우, "剪燈三種" 소명출판 2005

      44 安秉禧, "中世國語 口訣의 硏究" 一志社 1977

      45 李崇寧, "中世國語 口訣文의 國語學的 硏究-佛經諺解를 中心으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46 安秉禧, "世祖의 經書口決에 대하여" 서울대학교도서관 7 : 1983

      47 "世宗實錄 卷40"

      48 羅貫中, "三國演義 上冊 下冊" 中華書局 2009

      49 김도환, "『三國志演義』의 舊活字本 古典小說로의 改作 樣相" 한국중국소설학회 20 (20): 193-217, 2004

      50 이기대, "19세기 조선의 소설가와 한문장편소설" 집문당 2010

      51 李炳赫, "19世紀 漢文長篇小說 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2001

      52 權純肯, "1910년대 活字本 古小說 硏究" 成均館大學校大學院 1990

      53 柳鐸一, "15.6世紀 中國小說의 韓國流入과 受容" 10 :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9 0.68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