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 kureru(-てくれる)」(hereinafter, “-te kureru”), one of the Japanese verbs in the category giving and receiving, has ‘irony(hiniku) usage’. The corresponding Korean, 「-a/e cwuta(-아/어주다, -テクレル)」(hereinafter, “-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 kureru(-てくれる)」(hereinafter, “-te kureru”), one of the Japanese verbs in the category giving and receiving, has ‘irony(hiniku) usage’. The corresponding Korean, 「-a/e cwuta(-아/어주다, -テクレル)」(hereinafter, “-e...
「-te kureru(-てくれる)」(hereinafter, “-te kureru”), one of the Japanese verbs in the category giving and receiving, has ‘irony(hiniku) usage’. The corresponding Korean, 「-a/e cwuta(-아/어주다, -テクレル)」(hereinafter, “-e cwuta”) is also used in the ironical sense ‘irony(hiniku) usage’. However, the ‘irony(hiniku) usage’ of 「-te kureru」 and 「-a/e cwuta」has only been discussed to a limited extent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sserts the difference in the mechanism of the ‘irony(hiniku) usage’ of both languages in connection with the ‘benefactive(onkei) usage’ of 「-te kureru」 and 「-e cwuta」. In regard to the intention of the giver in the situation, as expressed by the preceding verb, 「-te kureru」 is entirely unrelated to the intention of the giver but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e cwuta」 when the intention of the giver is not presumed.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irony(hiniku) usage’, it can be found that the intention of the giver is added to the sentence where 「-e cwuta」 is used. Given the forgoing, in ‘irony(hiniku) usage’, 「-te kureru」 gives rise to irony as the speaker uses a grateful expression for an ungrateful situation, whereas 「-e cwuta」 leads to irony by sneering at the intention and effort of the giver who is the subject of the preceding verb.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어 수수동사의 하나인 「-te kureru(〜てくれる)」에는 <역설적 용법>이 있다. 그리고 그에 대응한다고 하는 한국어 「-아/어 주다-a/e cwuta(〜テクレル)」(이하, 「-어 주다」)에도 <역...
일본어 수수동사의 하나인 「-te kureru(〜てくれる)」에는 <역설적 용법>이 있다. 그리고 그에 대응한다고 하는 한국어 「-아/어 주다-a/e cwuta(〜テクレル)」(이하, 「-어 주다」)에도 <역설적 용법>이 있으나 종래의 선행연구에서는 「-te kureru(〜てくれる)」와 「-어 주다」의 <역설적 용법>에 관해서는 그다지 논의되고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te kureru(〜てくれる)」와 「-어 주다」의 <은혜 용법>과 관련지어 양언어의 <역설적 용법>의 메커니즘에 주목해 그 차이를 주장하였다. 「-te kureru(〜てくれる)」와 「-어 주다」의 <은혜 용법>에서 선행동사가 나타내는 사태에 대한 수여자의 의도를 살펴보면 「-te kureru(〜てくれる)」는 수여자의 의도와 관련이 없으나 「-어 주다」는 수여자의 의도가 상정되지 않는 장면에서는 사용에 제약이 있다. 그리고 <역설적 용법>에서도 「-어 주다」가 사용된 문에 수여자의 의도성이 더해짐을 알 수 있다. 이 점으로 보아 <역설적 용법>의 「-te kureru(〜てくれる)」는 고맙지 않은 상황에 대하여 화자가 고마운 상황으로 나타내는 것에 의해 역설적인 뉘앙스(irony)가 발생하지만, 「-어 주다」는 선행동사의 행위를 행하는 수여자의 의도와 수고를 비꼬는 것으로 역설적인 뉘앙스(irony)가 발생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山橋幸子, "「てくれる」の意味機能—「てあげる」との対比において—" 日本語教育学会 103 : 21-30, 1999
2 瀧口恵子, "「-어 주다」と「~てやる/くれる」の意味機能対照考察" 1-18, 2010
3 루이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돋을새김 2004
4 빨강우체통, "오랑아 오랑아" 시크릿e북 2015
5 위기철, "아홉살인생" 청년사 2001
6 김신회, "아무것도 안 해도 아무렇지 않구나" 다산북스 2018
7 김선영, "보조동사 「-てくれる」의 한국어 대응연구" 일본어문학회 (82) : 63-86, 2018
8 小川洋子, "박사가 사랑한 수식" 이레 2004
9 絲山秋子, "바다의 선인" 두드림 2006
10 辻仁成, "냉정과 열정사이" 소담출판사 2000
1 山橋幸子, "「てくれる」の意味機能—「てあげる」との対比において—" 日本語教育学会 103 : 21-30, 1999
2 瀧口恵子, "「-어 주다」と「~てやる/くれる」の意味機能対照考察" 1-18, 2010
3 루이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돋을새김 2004
4 빨강우체통, "오랑아 오랑아" 시크릿e북 2015
5 위기철, "아홉살인생" 청년사 2001
6 김신회, "아무것도 안 해도 아무렇지 않구나" 다산북스 2018
7 김선영, "보조동사 「-てくれる」의 한국어 대응연구" 일본어문학회 (82) : 63-86, 2018
8 小川洋子, "박사가 사랑한 수식" 이레 2004
9 絲山秋子, "바다의 선인" 두드림 2006
10 辻仁成, "냉정과 열정사이" 소담출판사 2000
11 江國香織, "냉정과 열정사이" 소담출판사
12 金瑞賢, "韓・日両言語における補助動詞としての授受動詞の用法" 한국일본어학회 71-74, 2007
13 豊田豊子, "補助動詞「やる・くれる・もらう」について" 東京外国語大学外国語学部付属日本語学校 1 : 77-96, 1974
14 絲山秋子, "海の仙人" 新潮文庫 2004
15 牟恩英, "日韓両語の授受表現の語用論的考察" 大正大学大学院研究論集 26 : 217-228, 2002
16 林八龍, "日本語・韓国語の受給表現の対照研究" 日本語教育学会 40 : 113-120, 1980
17 韓京娥, "日本語の「~てあげる・くれる」と韓国語の「-아/어 주다-a/e cwuta」の意味機能" 日本語教育学会 136 : 78-87, 2008
18 黄順花, "日本語のシテヤル・シテクレル 日本語と韓国語" 至文堂 61 (61): 86-93, 1996
19 益岡隆志, "日本語における授受動詞と恩恵性" 大修館 30 (30): 26-32, 2001
20 韓京娥, "方向性を持った補助動詞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ていく/くる」 「てやる/くれる」と「e kata/ota」 「e cwuta」について—" 東京大学 2013
21 한경아, "文化と日韓対照研究 -「~てくれる」文の<恩恵>と「-아/어 주다(~テクレル)」文を中心に-" 대한일어일문학회 (64) : 147-160, 2014
22 高見健一, "受益表現の新展開" 大修館 32 (32): 2003
23 小川洋子, "博士の愛した数式" 新潮文庫 2005
24 辻仁成, "冷静と情熱のあいだ" 角川文庫 2001
25 江國香織, "冷静と情熱のあいだ" 角川文庫 2001
26 ルイス・キャロル, "不思議の国のアリス" 新潮文庫 1994
27 金井孝利, "『美しき日々』で始める韓国語 シナリオ対訳集" キネマ旬報社 2004
28 安岡明子, "『冬のソナタ』で始める韓国語 シナリオ対訳集" キネマ旬報社 2003
29 송혜선, "「てくれる」動詞の評価と原因の構文について" 일본연구소 (74) : 559-574, 2017
30 위기철, "9歳の人生" 河出書房新社 1999
마이너리티 간의 교섭은 가능한가? ― 한센병소설 속 주변인과 고이즈미 다카유키 ―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反切下字 考察 - 遇摂・流摂을 中心으로 -
『尋常小学読本』『高等小学読本』の同時代的位置づけ― 『新訂尋常小学』『国民小学読本』との関連を検討するための基礎的研究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4-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4 | 0.725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