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한국어 교육의 오늘 : 중국의 한국어 학습사전 표제어 분석 -≪外硏社 正編 韓漢漢韓詞典≫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entry of Korean learner’s dictionary in China: Focusing on ≪外硏社 正編 韓漢漢韓詞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95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ses the headwords of Chinese-Korean and Korean-Chinese Dictionary(≪外硏社 正編 韓漢漢韓詞典≫) which compiled in China, through which the paper aims at contribution to the localization of Korean learning an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e dictionary includes entries of about 19,250 which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confirmed that the vocabularies are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For the review of the adequacy, the entries are compared with ‘vocabulary list for Korean education’. The paper suggests that the vocabularies must be added to the dictionary that ‘the list’ selected primary and middle grade vocabularies. The article proposes the list of proper and general nouns that reflected the change of lifestyle and cultural information including a word of foreign origin. The adding lists are divided in [education], [venue], [food], [person], [economy], [health], [transportation], [clothes] and [time]. Given that the objective of primary and intermediate education is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these categories of vocabularies must be added to the entries of dictionary. Although listed in dictionary, entries that are not used in Korea are proposed to delete and the lists are presented. Lastly, the paper types the errors of entries of dictionary and suggests the modification depending on the error type as well.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ses the headwords of Chinese-Korean and Korean-Chinese Dictionary(≪外硏社 正編 韓漢漢韓詞典≫) which compiled in China, through which the paper aims at contribution to the localization of Korean learning and education i...

      This article analyses the headwords of Chinese-Korean and Korean-Chinese Dictionary(≪外硏社 正編 韓漢漢韓詞典≫) which compiled in China, through which the paper aims at contribution to the localization of Korean learning an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e dictionary includes entries of about 19,250 which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confirmed that the vocabularies are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For the review of the adequacy, the entries are compared with ‘vocabulary list for Korean education’. The paper suggests that the vocabularies must be added to the dictionary that ‘the list’ selected primary and middle grade vocabularies. The article proposes the list of proper and general nouns that reflected the change of lifestyle and cultural information including a word of foreign origin. The adding lists are divided in [education], [venue], [food], [person], [economy], [health], [transportation], [clothes] and [time]. Given that the objective of primary and intermediate education is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these categories of vocabularies must be added to the entries of dictionary. Although listed in dictionary, entries that are not used in Korea are proposed to delete and the lists are presented. Lastly, the paper types the errors of entries of dictionary and suggests the modification depending on the error type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현경, "한국어사전 편찬학 개론" 역락 2009

      2 유현경,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한국사전학회 (17) : 186-208, 2011

      3 김중섭,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 김중섭,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5 박은하, "한국어-베트남어 사전에 나타난 한국어 오류 조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37-263, 2008

      6 임형재, "한국어 학습사전의 미시구조와 풀이말 구성의 실제: 중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외국어교육연구소 26 (26): 109-130, 2012

      7 신현숙, "한국어 어휘 교육과 의미 사전" 9 (9): 85-103, 1998

      8 전미순, "한국어 문화어휘에 관한 일고찰 -문화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91-210, 2011

      9 김일환, "한국어 교재의 어휘 사용 양상" 우리어문학회 (48) : 187-218, 2014

      10 고석주,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의 개발" 1 : 328-355, 1998

      1 유현경, "한국어사전 편찬학 개론" 역락 2009

      2 유현경,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한국사전학회 (17) : 186-208, 2011

      3 김중섭,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 김중섭,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5 박은하, "한국어-베트남어 사전에 나타난 한국어 오류 조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37-263, 2008

      6 임형재, "한국어 학습사전의 미시구조와 풀이말 구성의 실제: 중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외국어교육연구소 26 (26): 109-130, 2012

      7 신현숙, "한국어 어휘 교육과 의미 사전" 9 (9): 85-103, 1998

      8 전미순, "한국어 문화어휘에 관한 일고찰 -문화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91-210, 2011

      9 김일환, "한국어 교재의 어휘 사용 양상" 우리어문학회 (48) : 187-218, 2014

      10 고석주,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의 개발" 1 : 328-355, 1998

      11 박문자, "한국어 교육과 학습사전 연구" 13 : 143-164, 2009

      12 백봉자, "한국어 교육과 학습사전 연구" 13 : 143-164, 2009

      13 강현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 국립국어원 2013

      14 강현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국립국어원 2012

      15 국립국어원, "한국 문화 기초 용어" 국립국어원 2000

      16 왕단,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의 의미 기술에 대하여" 599-618, 2004

      17 왕단,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12 : 33-71, 2009

      18 임형재, "중국어권 화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239-257, 2010

      19 강현화, "외국인을 위한 교육용 한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고찰" 70 : 1-21, 2000

      20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1

      21 이화숙, "국외 한국어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세계화 시대 국외 한국어 교육의 성격 탐색과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하여-" 이중언어학회 (51) : 217-246, 2013

      22 강현화, "21세기 한국어 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 0.71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