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의 쓰기 지도를 위해 제공되어야 할 매체텍스트 중 전략적으로 내용 생성을 극대화 하고,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매체텍스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0774
-
2014년
Korean
다중매체텍스트 ; 창의적 사고력 ; Teaching Method ; Writing ; Reading ; Multimedia-Texts ; media ; General education ; college writing ; academic writing ; practical writing ; creative thinking ; multicultural society ; discussion ; literature ; education ; teaching materials ; print media ; digital ; 비판적 사고력 ; 논리적 사고력 ; 소통 ; 합의 ; 감정 ; 글쓰기 교수법 ; 장르 ; 형식 ; 주제 ; 사회인지구성주의 ; 다중매체텍스트 목록 ; 자율성 ; 능동성 ; 흥미 ; 구성력 ; 전략적 교수법 ; 성찰적 글쓰기 ; 학술적 글쓰기 ; 실용적 글쓰기 ; 대학 교양교육 ; 수업집중 ; 흥미유발 ; 수업모형 ; 수업설계 ; 사회적 맥락 ; 분열 ; 반발 ; 통합 ; 의사소통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의 쓰기 지도를 위해 제공되어야 할 매체텍스트 중 전략적으로 내용 생성을 극대화 하고,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매체텍스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
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의 쓰기 지도를 위해 제공되어야 할 매체텍스트 중 전략적으로 내용 생성을 극대화 하고,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매체텍스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에서 진행되는 수업 중 학습자가 느끼는 글쓰기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쇄매체텍스트는 물론, 영상매체텍스트, 디지털매체텍스트 등 다중매체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법을 모색하였다.
선택된 다중매체텍스트는 개인의 표현 능력 발현의 측면에서 성찰적이며 자아를 탐색하고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된 텍스트를 읽거나 듣고, 보면서 학습자 본인 글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언어사용의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언어사용의 능숙함을 익히고 적절한 표현방법 터득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방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맞추어 수업 모형을 설계한 후 수업 주제 관련 텍스트를 목록화 하고,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의 글쓰기 자료를 수집, 분류, 분석하여 교육적 효과를 점검하고 목록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 생산자와 학습자, 교수자, 텍스트가 통용되는 사회적 맥락, 동료 사이에서 합의, 충돌, 대립, 동의 등 다양한 반응이 생겨났고, 긍정적 반응은 물론부정적인 부분에서도 서로 영향을 받았다. 이때 학습자는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되고 거짓 판단과 옳은 판단을 구별하고 올바른 판단을 선택할 수 있는 분별력을 기를 수 있었다. 학습자에게 사고능력과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는 글쓰기 내용 생성과 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처음 쓴 글보다 완성적이었다.
다중매체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 지도 과정에서 교수자가 선택한 자료는 정보제공의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주제에 대한 가치와 세계관, 태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고 비교육적이거나 반교육적이어서는 안 된다. 대학교육 중 글쓰기교육은 점점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교수·학습 이론 연구와 더불어 확대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gropes for the practical use of the multimedia-texts that maximize the production of the contents for the learners who want to write and develop their abilities to think among media texts. This study searches for the teaching me...
The goal of this study gropes for the practical use of the multimedia-texts that maximize the production of the contents for the learners who want to write and develop their abilities to think among media texts. This study searches for the teaching methods of using the multimedia-texts as well as the printed to improve the matter of writing that may happen in class.
The main standard to select the multimedia texts is to help the learners to examine themselves and investigate their identities when they manifest their own thoughts. Also, they can change the contents and use the language that makes them feel the aesthetic sense, through reading, watching, and listening to the various texts. In the process, they learn how to use the language and present their own ideas in public.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we planned the pattern of teaching, made a list of the texts, and amended it again, using it in class. The process makes a text-maker, a learner, a teacher,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text is used, and a variety of reactions, such as an agreement and a conflict between them, who affected each other negatively as well as positively.
The learners improve the ability to think and to understand the social context, trying to organize the contents and get to 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