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과 한국교회: ChatGPT를 중심으로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orean Churches As Viewed through ChatGP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3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pen AI launched ChatGPT-3.5 on November 30, 2022, and the ChatGPT caused a worldwide sensation. Hence, many companies in Korea and the U.S. began to make efforts to develop generative AI(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and services. ChatGPT draws attention to its strong pow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humans but it doesn’t provide the source of information and yields wrong information if false data is used.
      Korean churches need to utilize ChatGP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in that it performs the common grace God has given to us and carries out responsibilities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by public discussion.
      Since ChatGPT as a tool is neutral, the ethical standard of humans, especially the ethics of faith, will judge its efficacy. ChatGPT can not only contribute to search data needed for preaching and Christian education but als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munity and mission fields. However, it is not desirable to rely entirely on ChatGPT because Christians have to discern the diverse features of ChatGPT and Korean churches should take action to reflect spirituality on it. Last but not least, Korean churches have to work hard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of AI experts.
      번역하기

      Open AI launched ChatGPT-3.5 on November 30, 2022, and the ChatGPT caused a worldwide sensation. Hence, many companies in Korea and the U.S. began to make efforts to develop generative AI(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and services. ChatGPT draws a...

      Open AI launched ChatGPT-3.5 on November 30, 2022, and the ChatGPT caused a worldwide sensation. Hence, many companies in Korea and the U.S. began to make efforts to develop generative AI(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and services. ChatGPT draws attention to its strong pow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humans but it doesn’t provide the source of information and yields wrong information if false data is used.
      Korean churches need to utilize ChatGP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in that it performs the common grace God has given to us and carries out responsibilities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by public discussion.
      Since ChatGPT as a tool is neutral, the ethical standard of humans, especially the ethics of faith, will judge its efficacy. ChatGPT can not only contribute to search data needed for preaching and Christian education but als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munity and mission fields. However, it is not desirable to rely entirely on ChatGPT because Christians have to discern the diverse features of ChatGPT and Korean churches should take action to reflect spirituality on it. Last but not least, Korean churches have to work hard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of AI exper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Open AI가 2022년 11월 30일에 공개한 ChatGPT 3.5가 엄청난 관심을 받은 것을 전후하여 국내, 외의 기업들이 그같은 생성 AI 프로그램과서비스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ChatGPT는 약한 인공지능의 한계를 넘어 인간과의 소통을 보다 자연스럽게 하며 그 가능성이 주목받고있지만, 왜곡된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정보의 오류가 있거나 답변 내용에 대한 출처를 제시하지 못하는 약점을 보이기도 한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일반은총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한국교회는 ChatGPT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는 비판적 성찰을 통해 이를 활용해야 하며, 이에 대한 공적 논의를 통해 관리와 감독의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도구로서의ChatGPT는 중립적이므로 이를 사용하는 인간, 특히 한국교회의 신앙적윤리가 ChatGPT의 효과성을 가늠할 것인데, 기본적으로 ChatGPT가 설교와 양육을 위한 자료 검색에 공헌하고, 예배의 구성 및 지역사회와 선교지의 필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전적으로 ChatGPT에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의 온전한 활용을 위해 신앙적 영성과 기독교적 가치관을 통해 조명하는 작업을 병행하며 분별력을 발휘해야 하며, 문명의 이기를 복음 안에서 순화시킬 수 있는 차세대 인재 육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Open AI가 2022년 11월 30일에 공개한 ChatGPT 3.5가 엄청난 관심을 받은 것을 전후하여 국내, 외의 기업들이 그같은 생성 AI 프로그램과서비스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ChatGPT는 약한 인공지능...

      Open AI가 2022년 11월 30일에 공개한 ChatGPT 3.5가 엄청난 관심을 받은 것을 전후하여 국내, 외의 기업들이 그같은 생성 AI 프로그램과서비스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ChatGPT는 약한 인공지능의 한계를 넘어 인간과의 소통을 보다 자연스럽게 하며 그 가능성이 주목받고있지만, 왜곡된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정보의 오류가 있거나 답변 내용에 대한 출처를 제시하지 못하는 약점을 보이기도 한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일반은총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한국교회는 ChatGPT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는 비판적 성찰을 통해 이를 활용해야 하며, 이에 대한 공적 논의를 통해 관리와 감독의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도구로서의ChatGPT는 중립적이므로 이를 사용하는 인간, 특히 한국교회의 신앙적윤리가 ChatGPT의 효과성을 가늠할 것인데, 기본적으로 ChatGPT가 설교와 양육을 위한 자료 검색에 공헌하고, 예배의 구성 및 지역사회와 선교지의 필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전적으로 ChatGPT에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의 온전한 활용을 위해 신앙적 영성과 기독교적 가치관을 통해 조명하는 작업을 병행하며 분별력을 발휘해야 하며, 문명의 이기를 복음 안에서 순화시킬 수 있는 차세대 인재 육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흡영, "휴먼에서 트랜스 휴먼으로?: 인공지능, 트랜스휴머니즘, 그리고 서구 로고스신학의 종말?" 21-31, 2023

      2 최성훈, "호모 데우스(Homo Deus )와 이마고 데이(Imago Dei ):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론에 대한 신학적 비판" 영산신학연구소 63 : 77-99, 2023

      3 소형근,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인간과 인공지능 이해하기: ‘강한 인공지능’의 등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한국구약학회 28 (28): 247-273, 2022

      4 남성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타문화권 교육 선교의 방향 연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5 (55): 141-171, 2023

      5 정단호, "초거대 인공지능 생성 모델 동향 연구" 40 : 22-28, 2023

      6 손화철, "첨단기술과 한국교회 :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83) : 545-569, 2023

      7 구본권, "챗GPT 시대의 필수역량 ‘AI 리터러시’" 50 : 36-39, 2023

      8 최성훈, "인종주의에 대한 공공신학적 조명" 영산신학연구소 64 : 75-102, 2023

      9 김진형,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11-20, 2023

      10 이승우, "인공지능의 설교 활용에 관한 연구: 챗GPT를 중심으로" 개혁신학회 64 : 233-257, 2023

      1 김흡영, "휴먼에서 트랜스 휴먼으로?: 인공지능, 트랜스휴머니즘, 그리고 서구 로고스신학의 종말?" 21-31, 2023

      2 최성훈, "호모 데우스(Homo Deus )와 이마고 데이(Imago Dei ):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론에 대한 신학적 비판" 영산신학연구소 63 : 77-99, 2023

      3 소형근,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인간과 인공지능 이해하기: ‘강한 인공지능’의 등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한국구약학회 28 (28): 247-273, 2022

      4 남성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타문화권 교육 선교의 방향 연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5 (55): 141-171, 2023

      5 정단호, "초거대 인공지능 생성 모델 동향 연구" 40 : 22-28, 2023

      6 손화철, "첨단기술과 한국교회 :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83) : 545-569, 2023

      7 구본권, "챗GPT 시대의 필수역량 ‘AI 리터러시’" 50 : 36-39, 2023

      8 최성훈, "인종주의에 대한 공공신학적 조명" 영산신학연구소 64 : 75-102, 2023

      9 김진형,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11-20, 2023

      10 이승우, "인공지능의 설교 활용에 관한 연구: 챗GPT를 중심으로" 개혁신학회 64 : 233-257, 2023

      11 최은택, "인공지능시대 융복합교육을 활용한 성서교육의 가능성 연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100 : 223-251, 2020

      12 송윤희, "인공지능 시대의 기독교교육 방향성 제고" 68 : 92-130, 2021

      13 최성훈, "이중직 목회에 대한 신학적 조명 : 해로 밴 브러멜른의 3대 명령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71) : 479-502, 2020

      14 이창호, "유발 하라리의 인간종의 진보론에 관한 신학적 윤리적 비평‐몰트만과 슈바이커를 중심으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179-213, 2021

      15 남보라 ; 심창용 ; 김혜련 ; 최희경, "연구를 위한 ChatGPT 및 확장의 활용: AI 기반 연구 기술의 새로운 전망"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16 (16): 139-154, 2023

      16 최성훈, "소그룹 운영의 리더십: 수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ACTS 신학연구소 56 : 159-188, 2023

      17 황요한, "미래 교육을 위한 기술의 융합: ChatGPT의 등장, 그리고 메타버스는 어디로 가는가?" 한국현대언어학회 39 (39): 41-54, 2023

      18 김기석, "기회인가? 도전인가? 양날의 검인 AI(cf. 챗GPT)" 46-57, 2023

      19 최성훈, "가상화폐에 대한 신학적 분석: 비트코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131-153, 2021

      20 Peters, Ted, "The Voice of Public Theology: Addressing Politics, Science, and Technolog" ATF Press 2023

      21 김다니엘, "Missional Spirituality in the 21st Century Post-Pandemic Era" ACTS 신학연구소 53 : 246-290, 2022

      22 Harari, Yuval N, "Homo Deus: A Brief History of Tomorrow" Harper 2017

      23 Harris, Maria, "Fashion Me a People: Curriculum in the Church" John Knox Press 1989

      24 정훈, "Church’s Public Engagement from Abraham Kuyper’s Ecclesiological Perspective and Its Implication in Korean Context" ACTS 신학연구소 53 : 328-358, 2022

      25 지상훈, "ChatGPT가 활용될 수 있는 직업에 대한 탐색적 분석" 75-92, 2023

      26 김태원, "ChatGPT가 촉발한 생성형 AI 시대, 미래 모습과 대응 방안" 55 : 2-9, 2023

      27 최성훈, "21세기 공공신학" 박영사 202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