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은 다름의 이해와 소통을 추구한다. 통일은 단순한 체제통합이나 정치-경제적 통합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사회문화적인 통합이나 남과 북의 신체, 사회적 신체의 통합이다. 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81202
2012
Korean
00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23-251(29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통일인문학은 다름의 이해와 소통을 추구한다. 통일은 단순한 체제통합이나 정치-경제적 통합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사회문화적인 통합이나 남과 북의 신체, 사회적 신체의 통합이다. 특...
통일인문학은 다름의 이해와 소통을 추구한다. 통일은 단순한 체제통합이나 정치-경제적 통합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사회문화적인 통합이나 남과 북의 신체, 사회적 신체의 통합이다. 특히 통일은 남과 북이 소통해 가는 '과정' 으로 접근해야 한다. 문화적 영역과 접근은 남과 북의 차이와 다름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분야이고, 인문학은 남과 북의 역사적 연원을 밝히고 소통의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통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적 영역 중에서도 남북이 분단되기 전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결과인 문화유산은 남과 북이 이념과 편견을 떠나 손쉽게 교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역사적 자산이다. 남과 북이 문화유산을 매개로 소통하고, 교류하기 위해서는 먼저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과 그 변화과정, 문화유산의 관리체계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향후 남북 문화유산 분야의 교류와 소통을 위해 현재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의 특징과 보존관리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해방 후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은 노동당의 사상정책 변화에 따라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50년 전쟁시기까지의 시기로 일제잔재 청산과 민족문화 복원에 힘쓰던 시기이다. 제2기는 1950년 전쟁 때부터 1967년까지의 시기로 북한이 파괴된 문화재의 복구와 사회주의제도 정착에 따른 사회주의 문화이론이 전면에 등장한 시기이다. 제3기는 1967년부터 1980년 노동당 6차당대회까지의 시기로 북한에서 유일사상 체제 구축과 주체사상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이다. 제4기는 1980년 이후의 시기로 민족주의에 대한 재평가와 '우리민족제일주의'가 구호로 등장하면서 민족문화유산의 보존 및 발굴 이 적극적으로 추진된 시기이다. 특히 1980년대에 들어와 북한의 사상정책에서 가장 큰 변화의 하나는 자신의 체제를 규정함에 있어서 '우리식 사회주의'와 '우리민족 제일주의'로 대표되는 독자성의 강조이다. 우리민족제일주의에 따라 북한은 먼저 '민족사적 정통성'을 입증하기 위해 동명왕릉 (1993. 5)과 단군릉(1994. 11)을 발굴, 복원하고 단군→고구려→발해→고려→북한'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부각시켰다. 북한은 행정적으로 노동당 선전선동부의 지도→내각 문화성 문화보존 관리국→각 도·시·군 문화유적관리소로 계통화되어 있는 일원화된 문화유적관리체계를 갖추고 있고, 박물관과 연구기관, 문화유물보존을 위한 과학연구기관 등과 각 도·시·군 행정기관이 이를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광범한 군중을 망라하는 '사회적담당관리제' 실시에 따라 매년 4월과 11월을 '문화유물애호월간'으로 정해 이 기간 중 문화유산에 대한 보수와 정비를 전 군중적 운동 차원에서 행하고 있다. 북한은 문화유산을 역사유적과 역사유물로 구분한다. 북한은 1994년 문화유물보호법을 제정한 후 역사유적에 대한 평가와 지정체계도 바꿨다. 이 과정에서 대동문 대신 평양성이 국보 유적 제1호로 지정됐다. 북한의 문화유산 현황과 지정현황은 아직까지 제한적으로 파악되고 있고, 이는 앞으로 남북교류를 통해 확인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문화유적 보존, 공동발굴, 상호 교환전시, 공동학술대회 등 남과 북 사이에서 교류의 폭을 넓혀갈 수 있는 사업들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문화유산 관련 분야의 교류는 남북의 오랜 분단의 이질감을 극복하고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남북의 다름을 이해하고 소통하는데 역사문화유산은 가 장 좋은 분야인 동시에 통일인문학이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인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명규, "한국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성격" (여름) : 1996
2 리규린,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독창적으로 밝히신 민족개념에대한 이해, In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1986
3 강승춘, "주체적 민족관" (4) : 1991
4 김정일,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18 : 1986
5 고영환, "조선민족제일주의론" 1989
6 김정일,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 조선로동당 출판사 1989
7 김일성, "조국통일을 위한 전민족 대단결 10대강령"
8 김정일, "일심단결하여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 13 : 1992
9 김일성, "우리민족의 대단결을 이룩하자"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1
10 리규춘, "신념과 인간" 금성청년종합출판사 2001
1 박명규, "한국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성격" (여름) : 1996
2 리규린,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독창적으로 밝히신 민족개념에대한 이해, In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1986
3 강승춘, "주체적 민족관" (4) : 1991
4 김정일,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18 : 1986
5 고영환, "조선민족제일주의론" 1989
6 김정일,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 조선로동당 출판사 1989
7 김일성, "조국통일을 위한 전민족 대단결 10대강령"
8 김정일, "일심단결하여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 13 : 1992
9 김일성, "우리민족의 대단결을 이룩하자"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1
10 리규춘, "신념과 인간" 금성청년종합출판사 2001
11 국립문화재연구소, "사진으로 보는 북한 국보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12 한국법제연구원, "북한의 문화재보호관계 법제" 한국법제연구원 1995
13 국토통일원, "북한의 문화재보존 및 활용실태" 국토통일원 1992
14 이호관, "북한의 문화재는 어떻게 보존되어 있는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6 : 1995
15 정재훈, "북한의 문화유산1-2" 고려원 1990
16 전상인, "북한 민족주의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4
17 정창현, "북녘의 국보유적 기행-북녘의 문화유물, 어떻게 분류․관리되나?" 2011
18 장호수, "북녘의 고고학과 문화재관리" 백산자료원 2000
19 리순덕, "민족의 본질에 대한 주체적 리해" (3) : 1995
20 최고인민회의, "민족문화유산을 옳게 계승발전 시키기 위한 사업을 더욱 개선·강화할 데 대하여, In 북한의 「민족주의」선전 자료집" 1995
21 사혁순, "민족문화 전통의 본질에 대한 주체적 리해" (4) : 1994
22 리철, "문화유산애호가들의 벗" 조선문화보존사 2005
23 허종호, "단군 및 고조선력사 연구에서의 몇가지 기본문제들과 그 해명" (2) : 1996
24 최오주, "남북통일 대비 문화재보존관리 정책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8
25 전룡철, "개성의 옛자취를 더듬어" 문학예술출판사 200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