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Focusing on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0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16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from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Ⅱ(2016). The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re divided into six variabl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career activities during creative activities,’ ‘career psychology tests,’ ‘career counseling,’ ‘career club,’ and ‘career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areer education activiti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psychology tes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oreove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erience’ activit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other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o not hav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mproving ways of multicultura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strengthening self-efficacy program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and expanding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high school.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16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from Korea Education and Em...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16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from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Ⅱ(2016). The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re divided into six variabl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career activities during creative activities,’ ‘career psychology tests,’ ‘career counseling,’ ‘career club,’ and ‘career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areer education activiti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psychology tes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oreove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erience’ activit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other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o not hav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mproving ways of multicultura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strengthening self-efficacy program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and expanding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high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 1차년도 데이터의 다문화가정 고등학생 21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학교 진로교육활동은 ‘진로와 직업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동아리’, ‘진로체험’의 6가지 활동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와 직업 수업’ 활동과 ‘진로심리검사’ 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체험’ 활동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체험 활동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진로체험을 제외한 기타 학교 진로교육활동 변수들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을 연계한 진로교육의 제공,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등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 1차년도 데이터의 다문화가정 고등학생 21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학교 진로교육활동은 ‘진로와 직업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동아리’, ‘진로체험’의 6가지 활동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와 직업 수업’ 활동과 ‘진로심리검사’ 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체험’ 활동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체험 활동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진로체험을 제외한 기타 학교 진로교육활동 변수들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을 연계한 진로교육의 제공,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등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식, "한국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학교진로교육의 효과 -한국교육고용패널(KEEP)과 한국청소년패널(KYPS) 분석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1079-1103, 2012

      2 최인재,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Ⅳ: 청소년 진로, 직업 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3 유비,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5-29, 2015

      4 이연실, "학업성취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평생교육 이용대상자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97-323, 2015

      5 배상훈, "학교유형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마이스터고 집단과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의 비교"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525-548, 2012

      6 주현준, "학교 진로교육의 효과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2 (12): 157-180, 2014

      7 장현진, "학교 진로교육 활동 참여와 만족도가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31 (31): 21-42, 2018

      8 금지헌,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애착, 진로성숙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5-26, 2012

      9 임경희, "초등학생의 다문화 여부와 성별에 따른 직업포부와 진로흥미 및 진로인식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67-89, 2013

      10 김남경,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일반가정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비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7 (7): 27-48, 2018

      1 김경식, "한국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학교진로교육의 효과 -한국교육고용패널(KEEP)과 한국청소년패널(KYPS) 분석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1079-1103, 2012

      2 최인재,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Ⅳ: 청소년 진로, 직업 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3 유비,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5-29, 2015

      4 이연실, "학업성취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지역사회 평생교육 이용대상자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97-323, 2015

      5 배상훈, "학교유형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마이스터고 집단과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의 비교"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525-548, 2012

      6 주현준, "학교 진로교육의 효과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2 (12): 157-180, 2014

      7 장현진, "학교 진로교육 활동 참여와 만족도가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31 (31): 21-42, 2018

      8 금지헌,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애착, 진로성숙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5-26, 2012

      9 임경희, "초등학생의 다문화 여부와 성별에 따른 직업포부와 진로흥미 및 진로인식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67-89, 2013

      10 김남경,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일반가정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비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7 (7): 27-48, 2018

      11 정은진, "초, 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8)"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12 조성희, "청소년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605-613, 2017

      13 신선아,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11-136, 2015

      14 진성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95-220, 2015

      15 진성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67-90, 2017

      16 정미나,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65-84, 2013

      17 김신영, "진로체험학습에서 학생·교사의 주도성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71-93, 2014

      18 김기헌, "진로체험의 효과: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9-36, 2014

      19 최현주,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진로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71-91, 2017

      20 김민경, "진로역량강화프로그램이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아동복지학회 13 (13): 147-171, 2015

      21 장석민, "진로교육의 기본개념과 철학 및 실천방향 탐색" 27 (27): 29-56, 2014

      22 장현진, "진로교육 현황조사"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23 박완성,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수도권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85-108, 2009

      24 송인발, "중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40-149, 2016

      25 곽미정,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적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51-174, 2014

      26 임효신,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107-137, 2015

      27 이수진,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05-235, 2016

      28 류방란,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기회와 적응 실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29-50, 2012

      29 박완성,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87-101, 2007

      30 교육부,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안)(2016-2020)"

      31 고재성,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19, 2010

      32 이명진, "저소득층과 중산층 청소년의 진로포부 예측변인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23-447, 2010

      33 민현홍, "자기주도적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105-125, 2014

      34 김정숙,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35 조성심,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멘토링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51-82, 2014

      36 박은정, "부모의 소득계층별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37-263, 2016

      37 이유경, "부모의 긍정적 진로관여가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29-154, 2012

      38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393-407, 2007

      39 신은경, "동아리활동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133-154, 2016

      40 유성창, "다문화학생의 진로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교육연구소 22 (22): 451-481, 2016

      41 교육부, "다문화학생을 위한 학교진로상담(지도) 운영 매뉴얼"

      42 장임숙,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 지원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0) : 50-67, 2014

      43 조혜영, "다문화청소년 진로 지원 개선 방안 모색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89-699, 2017

      44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Ⅳ"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45 김민경,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개인문화적 요인, 부모 및 가족요인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대한아동복지학회 12 (12): 35-53, 2014

      46 조붕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와 진로인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1 (11): 171-192, 2012

      47 김민정,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 비교 연구 - 경기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265-291, 2014

      48 조붕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9 (9): 235-250, 2010

      49 남부현,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17-137, 2012

      50 선혜연,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 연구 동향" 22 : 15-30, 2015

      51 조붕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습흥미와 진로발달"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219-245, 2011

      52 구향숙,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0 (0): 83-112, 2013

      53 전종미, "다문화가정 중학생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한가정학회 51 (51): 333-340, 2013

      54 최문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덕교육의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19) : 91-118, 2009

      55 이재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8

      56 박하나,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21-50, 2013

      57 조혜영,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 동아리활동 참여 경험과 의미: 학교생활 적응을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4) : 261-296, 2018

      58 김현영,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85-100, 2017

      59 류성창, "다문화 청소년 진로지도 실태와 과제" 95-136, 2015

      60 김영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직업인식, 진로대안영역 및 직업포부"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69-194, 2012

      61 조영달,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62 최윤희,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0 (30): 743-762, 2011

      63 이지연,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구축 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64 이지연, "공부가 참 재미있는 초등 교과통합 진로교육"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6, 2009

      65 김재희, "고등학생의 창업교육활동 참여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 13 (13): 218-242, 2018

      66 김미란, "고등학생의 개인적·사회적요인, 학교진로교육 경험과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9 (9): 399-405, 2018

      67 김소라, "고등학생 진로개발역량에 있어서의 부모의 역할"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27-48, 2017

      68 한정현,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21): 1-38, 2018

      69 서종남, "결혼이민자 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03-126, 2010

      70 Kuijpers, 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career competencies of students in vocational education" 78 (78): 21-30, 2011

      7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72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73 Sue, D. W., "Racial microaggressions and difficult dialogues on race in the classroom" 15 (15): 183-190, 2009

      74 Nadal, K. L., "Microaggressions and latina/o Americans : An analysis of nativity, gender, and ethnicity" 2 (2): 67-78, 2014

      75 Bonifacio, L., "Microaggressions and ethnic identity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latina college students" 46 (46): 505-529, 2018

      76 Kuijpers, M., "Learning for now or later? Career competencies among students i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37 (37): 449-467, 2012

      77 Lent, R. W.,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255-311, 2002

      78 교육통계서비스, "2017년 교육기본통계 보도자료"

      79 정해숙,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80 교육부,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교육부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