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북방언의 핵억양 특징 연구-구술 발화 자료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Nuclear Tones in Jeonbuk Dialect-focusing on Narr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7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sis the nuclear tones in Jeonbuk Dialect via adopting a method of experimental phonetics. In order to identify a more spontaneous utterance, we focus on the Narratives in this dialect. Our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Jeonbuk Dialect shows twelve kind of nuclear tons that is added three more to Lee(1997) that classified into nine of nuclear tones in Seoul Dialect, that is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a nuclear tones patterns of declarative sentence shows (X)Fall, (X)Rise Fall. a nuclear tones patterns of yes-no question is realized (X)Rise mainly. rhetorical question is similar to Seoul Dialect's patterns. confirmative question shows Rise Fall. As a result, the typical pattern in this dialect is (X)Rise Fall.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analysis the nuclear tones in Jeonbuk Dialect via adopting a method of experimental phonetics. In order to identify a more spontaneous utterance, we focus on the Narratives in this dialect. Our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is paper aims to analysis the nuclear tones in Jeonbuk Dialect via adopting a method of experimental phonetics. In order to identify a more spontaneous utterance, we focus on the Narratives in this dialect. Our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Jeonbuk Dialect shows twelve kind of nuclear tons that is added three more to Lee(1997) that classified into nine of nuclear tones in Seoul Dialect, that is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a nuclear tones patterns of declarative sentence shows (X)Fall, (X)Rise Fall. a nuclear tones patterns of yes-no question is realized (X)Rise mainly. rhetorical question is similar to Seoul Dialect's patterns. confirmative question shows Rise Fall. As a result, the typical pattern in this dialect is (X)Rise Fa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섭, "휴지(pause)의 역할에 대한 반성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28) : 67-87, 2007

      2 이현복, "현대 한국어의 악센트" 19 : 113-128, 1973

      3 신지영, "한국어의 운율 단위와 경음화 현상" 한국어학회 10 : 27-45, 1999

      4 김선희, "한국어 자유 발화 음성의 억양 패턴" 한국음성학회 1 (1): 85-94, 2009

      5 안병섭, "한국어 운율과 음운론" 월인 2010

      6 한선희, "한국어 억양구의 경계톤" 한국음성과학회 5 (5): 109-129, 1999

      7 이호영, "한국어 말토막 억양 패턴의 인지" 한글학회 (277) : 5-45, 2007

      8 성철재, "한국어 대화체 음성의 운율 분석" 한글학회 239 : 75-94, 1998

      9 양병곤, "프라트(Praat)를 이용한 음성분석의 이론과 실제" 만수출판사 2010

      10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85

      1 안병섭, "휴지(pause)의 역할에 대한 반성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28) : 67-87, 2007

      2 이현복, "현대 한국어의 악센트" 19 : 113-128, 1973

      3 신지영, "한국어의 운율 단위와 경음화 현상" 한국어학회 10 : 27-45, 1999

      4 김선희, "한국어 자유 발화 음성의 억양 패턴" 한국음성학회 1 (1): 85-94, 2009

      5 안병섭, "한국어 운율과 음운론" 월인 2010

      6 한선희, "한국어 억양구의 경계톤" 한국음성과학회 5 (5): 109-129, 1999

      7 이호영, "한국어 말토막 억양 패턴의 인지" 한글학회 (277) : 5-45, 2007

      8 성철재, "한국어 대화체 음성의 운율 분석" 한글학회 239 : 75-94, 1998

      9 양병곤, "프라트(Praat)를 이용한 음성분석의 이론과 실제" 만수출판사 2010

      10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85

      11 김미란, "초점과 관련된 의문문 억양 패턴 실험" 한국음성과학회 7 (7): 203-217, 2000

      12 고미숙, "제주방언의 억양구 경계성조 연구" 언어과학회 34 (34): 1-16, 2005

      13 이숙향, "제주방언 억양패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우리말학회 18 (18): 369-372, 1999

      14 이승재, "전북방언의 연구와 특징에 대하여" 국어연구소 8 : 80-88, 1987

      15 장은주, "전북 익산 방언의 문미 억양 연구 : 의문문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5

      16 임성규, "전북 방언의 음조와 강세" 국어국문학회 100 : 253-263, 1988

      17 신지영,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2003

      18 이현복, "서울말의 리듬과 억양"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15-25, 1974

      19 이호영, "서울말과 경상도 방언의 운율유형론" 한국언어학회 15 : 353-380, 1993

      20 김선철, "서울말 억양의 음운론적 기술을 위한 시고" 한글학회 239 : 53-73, 1998

      21 이익섭, "방언학" 민음사 1984

      22 임석규, "방언조사방법론의 어제와 오늘" 국어학회 (54) : 325-353, 2009

      23 이병운, "방언의 월 끝 억양의 유형" 한국음성과학회 9 (9): 49-58, 2002

      24 박지혜, "대화체와 낭독체의 운율에 관한 연구" 대한음성학회 (44) : 11-24, 2002

      25 한선희, "대화체 억양구말 형태소의 경계성조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7 (7): 219-234, 2000

      26 김선희, "대구방언의 억양구조의 변이요인:음향음성학적 분석 연구" 대한음성학회 35 : 49-61, 1998

      27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1996

      28 이호영, "국어운율론" 한국연구원 1997

      29 이호영, "국어 핵억양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대한음성학회 38 : 25-39, 1999

      30 오재혁, "국어 종결 억양의 문법적 기능과 음성적 특징에 대한 지각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31 김선철, "국어 억양의 음운론" 경진문화사 2005

      32 임홍빈, "국어 억양의 기본 성격과 특징" 국립국어연구원 3 (3): 58-90, 1993

      33 이기갑, "국어 방언 연구의 새로운 길, 구술 발화" 한국문학언어학회 (49) : 1-21, 2008

      34 박경래, "구술 발화의 조사와 정리" 한국방언학회 6 : 73-116, 2007

      35 최명옥, "구술 발화 자료와 개별 방언론" 한국방언학회 6 : 7-48, 2007

      36 이병운, "경남방언의 억양 연구" 우리말학회 7 : 79-103, 1997

      37 Lee, H.Y., "The structure of Korean prosody" University of London 1990

      38 Jun, Sun-Ah,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Ohio State University 1993

      39 Lehiste, I., "Suprasegmentals" M.I.T Press 1970

      40 Jun, Sun-Ah, "K-ToBI labelling conventions(version3.1)" UCLA 149-173,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