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플래시백의 1990년대: 반기억의 역사와 이미지 = Flash-Back in the 1990s:Historical narratives and image as anti-mem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2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에 이르며 감성을 자율화하며 이를 역사적 시간을 분별하고 재현하는 원리로서 자리 잡도록 하는 전환이 나타난다. 물론 그것은 더 이상 전통적인 예술의 몫이 아니었다. 이를 떠맡은 것은 외려 대중문화를 비롯한 소비문화 자체였다. 그런 연유로 1980년대를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의 쟁점이야말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1980년대를 1990년대와 다르지 않았던 감각적인 질서로 흡수함으로써 1980년대의 이례성을 삭제하는 것, 1990년대에 이르게 된 감성적 형식의 자율성 속에서 1980년대를 아무런 형식을 갖지 않는 미적 재현의 소재로서 환원하는 것, 아마 이것이 2000년대에 제작된 한국영화가 고통스럽게 이뤄낸 성과일 것이다. 이 글에서 나는 이런 가정을 떠올리며 2000년대의 몇몇 한국 영화를 검토한다. 그리고 시간성, 영화적 재현 그리고 정치의 관계를 탐색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1990년대는 문화적 단절의 시기, 풍요로운 감각적 전환으로 가득찬 시기였다는 회상-환상이 1980년대가 산출한 역사-정치적인 감각을 억압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반)기억의 문화적 실천의 효과임을 드러내고자 할 것이다. 또한 1990년대의 감성혁명, 주체의 발견 따위의 신화는 감각적인 것을 정치적인 것과 유리시키는 기획의 시작을 알리는 증후이자, 감각적인 것을 주체화할 수 없게 되었음을 말해주는 표지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1990년대에 이르며 감성을 자율화하며 이를 역사적 시간을 분별하고 재현하는 원리로서 자리 잡도록 하는 전환이 나타난다. 물론 그것은 더 이상 전통적인 예술의 몫이 아니었다. 이를 떠맡...

      1990년대에 이르며 감성을 자율화하며 이를 역사적 시간을 분별하고 재현하는 원리로서 자리 잡도록 하는 전환이 나타난다. 물론 그것은 더 이상 전통적인 예술의 몫이 아니었다. 이를 떠맡은 것은 외려 대중문화를 비롯한 소비문화 자체였다. 그런 연유로 1980년대를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의 쟁점이야말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1980년대를 1990년대와 다르지 않았던 감각적인 질서로 흡수함으로써 1980년대의 이례성을 삭제하는 것, 1990년대에 이르게 된 감성적 형식의 자율성 속에서 1980년대를 아무런 형식을 갖지 않는 미적 재현의 소재로서 환원하는 것, 아마 이것이 2000년대에 제작된 한국영화가 고통스럽게 이뤄낸 성과일 것이다. 이 글에서 나는 이런 가정을 떠올리며 2000년대의 몇몇 한국 영화를 검토한다. 그리고 시간성, 영화적 재현 그리고 정치의 관계를 탐색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1990년대는 문화적 단절의 시기, 풍요로운 감각적 전환으로 가득찬 시기였다는 회상-환상이 1980년대가 산출한 역사-정치적인 감각을 억압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반)기억의 문화적 실천의 효과임을 드러내고자 할 것이다. 또한 1990년대의 감성혁명, 주체의 발견 따위의 신화는 감각적인 것을 정치적인 것과 유리시키는 기획의 시작을 알리는 증후이자, 감각적인 것을 주체화할 수 없게 되었음을 말해주는 표지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효덕,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 2002

      2 오타베 다네히사, "예술의 조건-근대 미학의 경계" 돌베개 2012

      3 에티엔 발리바르, "역사유물론의 전화" 민맥 1993

      4 프리드리히 실러, "미학 편지" 휴먼아트 2012

      5 박유하, "만엔원년의 풋볼" 웅진씽크빅 2007

      6 루이 알튀세르, "마르크스를 위하여" 백의 1990

      7 F. Jameson,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ke University Press 1991

      8 Kenneth Clark, "Landscape into art" Penguin Books 1956

      9 J. Rancière, "Communities of Sense: Rethinking Aesthetics and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9

      10 F. Jameson, "Archaeologies of the future: the desire called utopia and other science fictions" Verso 2005

      1 이효덕,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 2002

      2 오타베 다네히사, "예술의 조건-근대 미학의 경계" 돌베개 2012

      3 에티엔 발리바르, "역사유물론의 전화" 민맥 1993

      4 프리드리히 실러, "미학 편지" 휴먼아트 2012

      5 박유하, "만엔원년의 풋볼" 웅진씽크빅 2007

      6 루이 알튀세르, "마르크스를 위하여" 백의 1990

      7 F. Jameson,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ke University Press 1991

      8 Kenneth Clark, "Landscape into art" Penguin Books 1956

      9 J. Rancière, "Communities of Sense: Rethinking Aesthetics and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9

      10 F. Jameson, "Archaeologies of the future: the desire called utopia and other science fictions" Verso 2005

      11 무라카미 하루키, "1973년의 핀볼" 열림원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후보1차)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Visual Art Society -> Association of Image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29 0.8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