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3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성별, 학업중단 유형 등에 따른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성별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을 내재화하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청소년 ...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성별, 학업중단 유형 등에 따른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성별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을 내재화하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청소년 정책지원에서 여성과 남성이 겪는 위기 경험에서의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제를 개발해야 하며, 이를 지역사회의 지원체계를 통해 충분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한 개괄적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집단의 차이를 확인한 후 학교 밖으로 나온 위기 여성청소년들의 생활 경험과 심리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중에서도 더 많이 소외되고 취약한 여성 청소년의 실태를 질적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위기 여성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학업중단 학생 현황 중 성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2차 자료 분석으로서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중 성별차이에 초점을 두고 재분석하였다. 셋째, 학교 밖 여성 청소년 8명 및 이들 중 일부가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쉼터 관계자 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화상 방식을 통한 심층면접조사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과 정책 제언에 대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학교 밖 여성 청소년 현황을 분석하였고, 학교밖 위기 여성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과 지원 요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정서적 지원체계의 강화, 노동시장의 사회적 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직업 · 진로 멘토링 사업, 다양한 지역지원체계의 접근성 제고 및 직업탐색 공간의 다양화, 심리 정서적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 제공, 여성청소년의 성 ·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 제고 등의 여러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respect to out-of-school youths, a detailed approach based on gender and reasons for dropping out is necessary. In particular, since youths tend to internalize what is unfolding socio-culturally before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policy...

      With respect to out-of-school youths, a detailed approach based on gender and reasons for dropping out is necessary. In particular, since youths tend to internalize what is unfolding socio-culturally before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policy tasks that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risis experience of male and female youths must be establishe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se tasks through the support system of the local community.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out-of-school youth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der groups, and then attempted to grasp the lif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tates of the female youths in crisis who have dropped out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tatus of female youths who are more marginalized and vulnerable, and to propose support plan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For this purpose, we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emale youths in crisis and out-of-school youths, and examined the gender of students dropping out of school. Second,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2018 out-of-school youth survey were re-analyzed to focus on gender differences. Third, in-depth video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two field workers from the youth shelter where some of the interviewees reside. Finally, an expert advisory meeting was held to thoroughly analyze the results and put forward policy recommendation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extracted their dropout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olicy tasks such as reinforcing the emotional support system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in the labor market, starting vocational and career mentoring programs in the local communit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various local support systems, diversifying job search channels, examining the psycho-emotional situation, providing custom-tailored counseling services, and enhancing accessibility to sexual and health counseling of female youths were propo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 2. 연구방법
      • [표지]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 2. 연구방법
      • 3. 주요결과
      • 4. 연구결과 및 정책과제
      • [차례]
      • 표목차
      • 그림목차
      • [제1장 서론]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2. 연구내용 및 방법
      • [제2장 학교 밖 여성 청소년 현황 및 실태]
      • 1. 학교 밖 여성 청소년 관련 연구 동향
      • 2. 성별 학업중단 현황
      • 3.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의 성별 분석 결과
      • 4. 소결
      • [제3장 학교 밖 위기 여성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과 지원요구]
      • 1. 학교 밖 위기 여성 청소년 심층면접조사 개요
      • 2. 학교 밖 위기 여성 청소년의 정의와 분석틀
      • 3. 유형별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의 학업중단 이후 생활경험
      • 4. 유형별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의 지원요구
      • 5. 소결
      • [제4장 학교 밖 여성 청소년 대상 지역사회 지원방안]
      • 1. 요약
      • 2. 정책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 [202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