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국방혁신 4.0’에 주는 함의 =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of China based on Asymmetry : Implications for ‘Revolution in Defense Affairs 4.0’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how China, as a relative underdog in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nstructs and operates its military power to counter the military capabilities of the superpower United States. It focuses on four key factors that create asymmetry to analyze the reality of China's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asymmetry, which targets the vulnerabilities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asymmetry of means and subjects, China focuses on developing means and capabilities that exploit the relative weaknesses of the United States, such as satellite interception systems and deep-sea operational capabilities, and actively utilizes paramilitary organizations. In terms of cognitive asymmetry, China conducts cognitive warfare systematically by utilizing the Department of Cyber Systems at the national and Communist Party levels. In terms of strategic and tactical asymmetry, China employs an asymmetric strategy that maximizes the advantages of being a latecomer while utilizing all military and non-military means to target the weak points of the United States. Additionally, in terms of asymmetry of time and space, China concentrates on shortening the OODA (observe, orient, decide, act) cycle through military intelligence and seeks to maximize combat efficiency by actively utilizing all domains, including space, cyber warfare, electromagnetic spectrum, and cognitive domai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war games, China's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this asymmetry has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military pursue Revolution in Defense Affairs 4.0 in the form of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asymmetry.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how China, as a relative underdog in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nstructs and operates its military power to counter the military capabilities of the superpower United States. It focuses on four...

      This paper analyzes how China, as a relative underdog in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nstructs and operates its military power to counter the military capabilities of the superpower United States. It focuses on four key factors that create asymmetry to analyze the reality of China's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asymmetry, which targets the vulnerabilities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asymmetry of means and subjects, China focuses on developing means and capabilities that exploit the relative weaknesses of the United States, such as satellite interception systems and deep-sea operational capabilities, and actively utilizes paramilitary organizations. In terms of cognitive asymmetry, China conducts cognitive warfare systematically by utilizing the Department of Cyber Systems at the national and Communist Party levels. In terms of strategic and tactical asymmetry, China employs an asymmetric strategy that maximizes the advantages of being a latecomer while utilizing all military and non-military means to target the weak points of the United States. Additionally, in terms of asymmetry of time and space, China concentrates on shortening the OODA (observe, orient, decide, act) cycle through military intelligence and seeks to maximize combat efficiency by actively utilizing all domains, including space, cyber warfare, electromagnetic spectrum, and cognitive domai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war games, China's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this asymmetry has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military pursue Revolution in Defense Affairs 4.0 in the form of military innovation based on asymme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미・중의 전략적 경쟁 속에서 초강대국 미국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 상대적 약자인 G2 중국이 어떻게 군사력을 건설・운용하고 있는지를 비대칭성 창출의 4대 핵심 요인으로 분석하여 미국의 급소(急所)를 찌르는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실체를 분석한다.
      중국은 수단・주체의 비대칭성 측면에서 위성요격체계, 심해작전능력 등 미국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수단 개발 및 능력 확보에 집중하고, 준군사 조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지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국가 및 중국 공산당 차원에서 사이버시스템부를 활용하여 조직적으로 인지전을 수행 중이다. 전략·전술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큰 틀에서 후발주자의 이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하면서, 점혈전 전략으로 군사적 또는 비군사적 모든 수단을 활용하여 미국의 핵심 취약점인 급소를 찌르는 비대칭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시·공간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군사 지능화를 통한 OODA 주기 단축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우주·사이버전자기스펙트럼·인지 영역 등 전 영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투 효율성의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성과는 다양한 워게임 결과에 따르면 상당히 큰 성과가 있는 바, 한국군이 ‘국방혁신 4.0’을 비대칭성 기반의 군사혁신 형태로 추진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미・중의 전략적 경쟁 속에서 초강대국 미국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 상대적 약자인 G2 중국이 어떻게 군사력을 건설・운용하고 있는지를 비대칭성 창출의 4대 핵심 요인으...

      본 논문에서는 미・중의 전략적 경쟁 속에서 초강대국 미국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 상대적 약자인 G2 중국이 어떻게 군사력을 건설・운용하고 있는지를 비대칭성 창출의 4대 핵심 요인으로 분석하여 미국의 급소(急所)를 찌르는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실체를 분석한다.
      중국은 수단・주체의 비대칭성 측면에서 위성요격체계, 심해작전능력 등 미국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수단 개발 및 능력 확보에 집중하고, 준군사 조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지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국가 및 중국 공산당 차원에서 사이버시스템부를 활용하여 조직적으로 인지전을 수행 중이다. 전략·전술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큰 틀에서 후발주자의 이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하면서, 점혈전 전략으로 군사적 또는 비군사적 모든 수단을 활용하여 미국의 핵심 취약점인 급소를 찌르는 비대칭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시·공간의 비대칭성 측면에서는, 군사 지능화를 통한 OODA 주기 단축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우주·사이버전자기스펙트럼·인지 영역 등 전 영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투 효율성의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비대칭성 기반 중국의 군사혁신 성과는 다양한 워게임 결과에 따르면 상당히 큰 성과가 있는 바, 한국군이 ‘국방혁신 4.0’을 비대칭성 기반의 군사혁신 형태로 추진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수, "후진타오의 이노베이터 시진핑 리더십" 석탑출판 2012

      2 박창희, "한국의 군사사상-전통의 단절과 근대성의 왜곡" 도서출판 플래닛미디어 2020

      3 권태영, "한국군의 비대칭전략 개념과 접근 방책(국방정책연구보고서(06-01))"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6

      4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3 - 기정학(技政學)의 시대, 누가 21세기 기술 패권을 차지할 것인가?" 김영사 2022

      5 차오량(喬良), "초한전(超限戰)" 교우미디어 2021

      6 박창희, "중국인민해방군의 군사혁신(RMA)과 군현대화"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0 (50): 81-109, 2007

      7 이상국, "중국의 지능화 전쟁 대비 실태와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2019

      8 케리 거샤넥, "중국은 지금도 전쟁을 하고 있다" GDC 미디어 2021

      9 박병광, "중국 인민해방군 현대화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10 이창형, "중국 인민해방군" GDC Media 2021

      1 김기수, "후진타오의 이노베이터 시진핑 리더십" 석탑출판 2012

      2 박창희, "한국의 군사사상-전통의 단절과 근대성의 왜곡" 도서출판 플래닛미디어 2020

      3 권태영, "한국군의 비대칭전략 개념과 접근 방책(국방정책연구보고서(06-01))"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6

      4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3 - 기정학(技政學)의 시대, 누가 21세기 기술 패권을 차지할 것인가?" 김영사 2022

      5 차오량(喬良), "초한전(超限戰)" 교우미디어 2021

      6 박창희, "중국인민해방군의 군사혁신(RMA)과 군현대화"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0 (50): 81-109, 2007

      7 이상국, "중국의 지능화 전쟁 대비 실태와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2019

      8 케리 거샤넥, "중국은 지금도 전쟁을 하고 있다" GDC 미디어 2021

      9 박병광, "중국 인민해방군 현대화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10 이창형, "중국 인민해방군" GDC Media 2021

      11 김호성, "중국 국방 혁신" 매경출판(주) 2022

      12 이흥석, "중국 강군몽(夢) 추진 동향과 전략" 아태지역연구센터 44 (44): 45-79, 2020

      13 앤드루 크레피네비치, "제국의 전략가" 살림출판사 2019

      14 맥스 부트, "전쟁이 만든 신세계" 플래닛 미디어 2008

      15 합동군사대학교, "전략의 원천" 국군인쇄창 2020

      16 나호영 ; 최근대, "인공지능에 기반한 중국의 군사혁신: 지능화군 건설을 중심으로" 화랑대연구소 76 (76): 91-118, 2020

      17 육군본부, "육군비전 2050 수정1호" 국방출판지원단 2022

      18 차정미, "시진핑 시대 중국의 군사혁신 연구: 육군의 군사혁신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61 (61): 75-109, 2021

      19 노병천, "세종처럼 이순신처럼" 밥북 2022

      20 김성우, "비대칭전 주요사례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6 (16): 25-32, 2016

      21 신치범, "비대칭성 창출 기반의 군사력 건설 관점에서 본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 1단계 작전(개전~D+40일)을 중심으로 -" 미래군사학회 11 (11): 105-127, 2022

      22 박창희, "비대칭 전략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국방연구원 24 (24): 177-205, 2008

      23 김태현, "북한의 공세적 군사전략: 지속과 변화" 한국국방연구원 33 (33): 131-170, 2017

      24 고봉준, "미래전쟁과 육군력" (주)한울엠플러스 2017

      25 김태현, "년 남북 군사관계의 전망과 정책적 고려사항" 2022

      26 국방부, "국방비전 2050" 국방출판지원단 2021

      27 국방부, "공개용 2022년 후반기 전군주요지휘관 회의록"

      28 박창희, "‘전략기반 전력기획’과 한국군의 전력구조 개편 방안" 한국국방연구원 34 (34): 139-169, 2018

      29 "https://www.yna.co.kr/view/MYH20220810012600038"

      30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1170800083?input=1195m"

      31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1170800083?input=1195m"

      32 "https://www.sciencetimes.co.kr/news/시진핑-과학기술-혁신-양탄일성-강조/"

      33 "https://www.joongang.co.kr/article/6377491#home"

      34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0552#home"

      3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4679#home"

      3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283835#home"

      37 "https://www.etnews.com/20220815000030"

      38 "https://www.etnews.com/20220701000021"

      39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00517010008362"

      40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51111264048716"

      41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14/2016071400562.html"

      42 Bruce W. Bennet, "What Are Asymmetric Strategies?" RAND 1999

      43 CRS, "U.S. Ground Forces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RA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Considerations for Congress"

      44 Jacqueline Newmyer,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33 (33): 2010

      45 Dennis M. Drew, "Making Twenty-First-Century Strategy: An Introduction to Modern National Security Processes and Problems" Air University Press 2006

      46 Ivan Arreguin-Toft, "How the Weak Win Wars : A Theory of Asymmetric Conflict" 26 (26): 2001

      47 Jagannath P. Panda, "Debating China’s ‘RMA-Driven Military Modernization’: Implication for India" 33 (33): 2009

      48 Vincent J. Goulding, Jr, "Back to the Future with Asymmetric Warfare" (Winter) : 2000

      49 차정미,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군사혁신 : 군사지능화와 군민융합(CMI) 강화를 중심으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 (20): 41-78,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