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건의료 분야의 제도적 환경 변화와 조직 혁신의 상호작용: 브랜드 공유 병의원 사례를 중심으로 = Institutional Change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Korean Healthcare Industries: Analysis of the Changes in Networked Clin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88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rms of healthcare service delivery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cal progress and institutional changes. Building a healthcare system which enables effective and efficient patient care is a imperative to a sustainable operation of a society. Identifying of a promising medical technologies and diffusing them consists of the basic tasks of a good healthcare system. Inducing of a promising innovation in healthcare and utilization of the innovation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healthcare innovation system and delicate governmental intervention to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system. Therefore, the support for R&D in healthcare field should be given to social and institutional technologies for the better organization of healthcare delivery and consumption system as well as basic and applied medical sciences.
      번역하기

      The forms of healthcare service delivery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cal progress and institutional changes. Building a healthcare system which enables effective and efficient patient care is a imperative to a sustainable operation ...

      The forms of healthcare service delivery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cal progress and institutional changes. Building a healthcare system which enables effective and efficient patient care is a imperative to a sustainable operation of a society. Identifying of a promising medical technologies and diffusing them consists of the basic tasks of a good healthcare system. Inducing of a promising innovation in healthcare and utilization of the innovation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healthcare innovation system and delicate governmental intervention to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system. Therefore, the support for R&D in healthcare field should be given to social and institutional technologies for the better organization of healthcare delivery and consumption system as well as basic and applied medical sci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머니투데이, "임플란트 반값으로 낮춘 네트워크병원 왜안되나?"

      2 동아일보, "이진한 의사 기자의 메디 Talk Talk, 치협-유디치과 네트워크 논쟁"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제도선진화 및 병원산업육성방안 연구" 2005

      4 법무법인 세승, "의료기관 개설의 제문제" 2014

      5 김광점, "의료공급체계의 파괴적 혁신을 위한 제언" 대한의사협회 55 (55): 791-797, 2012

      6 신동아, "의료계 ʻ 이단아 ʼ 유디치과"

      7 안건영, "의료 질 높이는 역할 하고 있다"

      8 재정경제부,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

      9 정기택, "병원경영지원회사(MSO)의 개념과 활용방향" 7-10, 2007

      10 머니투데이, "네트워크병원법 저촉논란의 유디치과, 지배구조 수술"

      1 머니투데이, "임플란트 반값으로 낮춘 네트워크병원 왜안되나?"

      2 동아일보, "이진한 의사 기자의 메디 Talk Talk, 치협-유디치과 네트워크 논쟁"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제도선진화 및 병원산업육성방안 연구" 2005

      4 법무법인 세승, "의료기관 개설의 제문제" 2014

      5 김광점, "의료공급체계의 파괴적 혁신을 위한 제언" 대한의사협회 55 (55): 791-797, 2012

      6 신동아, "의료계 ʻ 이단아 ʼ 유디치과"

      7 안건영, "의료 질 높이는 역할 하고 있다"

      8 재정경제부,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

      9 정기택, "병원경영지원회사(MSO)의 개념과 활용방향" 7-10, 2007

      10 머니투데이, "네트워크병원법 저촉논란의 유디치과, 지배구조 수술"

      11 파이낸셜뉴스, "네트워크병원 위기인가, 기회인가(2). MSO 역할 확대될 것"

      12 코메디닷컴, "네트워크냐, 홀로서기냐...치과의사의 고민"

      13 머니투데이, "네트워크 금지법에 막힌 자생한방병원 의료재단 선택"

      14 송위진,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르네상스 2006

      15 청년의사, "ʻ 이중개설 금지법, 네트워크 병원 제한 아니다 ʼ"

      16 청년의사, "ʻ 돈 ʼ 관계로 얽힌 네트워크병원, 퇴출된다!"

      17 오마이뉴스, "ʻ 가카 ʼ 의 확고한 의지, ʻ 돈으로 건강 사라 ʼ"

      18 한국경제신문, "ʻ 1인1병원 소유 ʼ 8월 시행..네트워크병원ʻ 탈네트워크 ʼ 시작"

      19 파이낸셜뉴스, "[의료법 개정안 8월 시행..의료계 ʻ 대혼란 ʼ ](상) 1인1개소만 허용"

      20 Hertzlinger, R.E., "Why innovation in healthcare is so hard" 58-66, 2006

      21 Malerba, F., "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383-387, 2005

      22 Edquist, C., "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181-208, 2005

      23 Mina, A., "Mapping evolutionary trajectories : application to the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medical knowledge" 36 : 789-806, 2007

      24 Chaminade, C., "Innovation, Science, and Institutional Change: A Research Handbook" 141-160, 2006

      25 Metcalfe, J. S., "Emergent innovation systems and the delivery of clinical services : The case of intra-ocular lenses" 34 : 1283-1304, 2005

      26 Consoli, D.,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health innovation systems" 19 : 297-319, 2009

      27 파이낸셜뉴스, "1000여개 네트워크병원 ʻ 불법 ʼ 전락 위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1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