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4Bit BMP 이미지를 이용한 쉘코드 은닉 기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25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도 중반에 처음 개념이 소개된 이래, 현재까지도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매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공격기법으로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을 들 수 있다. 쉘코드(shellcode)는 이러한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에 사용되는 기계어 코드(machine code)로서, 공격자는 자신이 의도한 바대로 수행되는 쉘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공격 대상 호스트의 메모리에 삽입, EPI를 조작하여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가로챌 수 있다. 따라서 버퍼오버플로우를 일으키니 후 쉘코드를 적재하려는 것을 탐지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공격자들은 이런 탐지기법들을 우회하는 기법을 끊임없이 개발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쉘코드 공격 기법 및 방어 기법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24Bit BMP이미지에 쉘코드를 은닉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기법을 통하여 쉘코드를 손쉽게 은닉할 수 있으며, 현재의 다양한 탐지 기법들을 쉽게 우회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1990년도 중반에 처음 개념이 소개된 이래, 현재까지도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매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공격기법으로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을 들 수 있다...

      1990년도 중반에 처음 개념이 소개된 이래, 현재까지도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매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공격기법으로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을 들 수 있다. 쉘코드(shellcode)는 이러한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에 사용되는 기계어 코드(machine code)로서, 공격자는 자신이 의도한 바대로 수행되는 쉘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공격 대상 호스트의 메모리에 삽입, EPI를 조작하여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가로챌 수 있다. 따라서 버퍼오버플로우를 일으키니 후 쉘코드를 적재하려는 것을 탐지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공격자들은 이런 탐지기법들을 우회하는 기법을 끊임없이 개발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쉘코드 공격 기법 및 방어 기법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24Bit BMP이미지에 쉘코드를 은닉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기법을 통하여 쉘코드를 손쉽게 은닉할 수 있으며, 현재의 다양한 탐지 기법들을 쉽게 우회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ffer overflow vulnerability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e that an attack method and its countermeasure is frequently developed and changed. This vulnerability is still one of the most critical threat since it was firstly introduced in middle of 1990s. Shellcode is a machine code which can be used in buffer overflow attack. Attackers make the shellcode for their won purposes and insert it into target host’s memory space, then manipulate EIP(Extended Instruction Pointer) to intercept control flow of the target host system. Therefore, a lot of research to defend have been studied, and attackers also have done many research to bypass security measures designed for the shellcode defens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hellcode defense and attack techniques briefly and we propose our new methodology which can hide shellcode in the 24bit BMP image. With this proposed technique, we can easily hide any shellcode executable and we can bypass the current detection and prevention technilques.
      번역하기

      Buffer overflow vulnerability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e that an attack method and its countermeasure is frequently developed and changed. This vulnerability is still one of the most critical threat since it was firstly introduced in middle of 199...

      Buffer overflow vulnerability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e that an attack method and its countermeasure is frequently developed and changed. This vulnerability is still one of the most critical threat since it was firstly introduced in middle of 1990s. Shellcode is a machine code which can be used in buffer overflow attack. Attackers make the shellcode for their won purposes and insert it into target host’s memory space, then manipulate EIP(Extended Instruction Pointer) to intercept control flow of the target host system. Therefore, a lot of research to defend have been studied, and attackers also have done many research to bypass security measures designed for the shellcode defens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hellcode defense and attack techniques briefly and we propose our new methodology which can hide shellcode in the 24bit BMP image. With this proposed technique, we can easily hide any shellcode executable and we can bypass the current detection and prevention technilqu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쉘코드 방어기법
      • Ⅲ. 쉘코드 난독화 기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쉘코드 방어기법
      • Ⅲ. 쉘코드 난독화 기법
      • Ⅳ. 24Bit BMP 이미지 쉘코드 은닉 기법
      • Ⅴ. 실험 결과 및 평가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ttp://www.snort.org/snort"

      2 "http://www.metasploit.com/about/"

      3 T. Wana, "Writing UTF-8 CompatibleShellcodes"

      4 Rix, "Writing IA32 Alphanumeric Shellcode"

      5 A. N. Sovarel, "Where’s the FEEB? On the Effectivenessof Instruction Set Randomization" 14 (14): 2005

      6 "Vulnerability distribution of cve securityvulnerabilities by types"

      7 C. Cowan, "Stackguard: AutomaticAdaptive Detection and Prevention ofBuffer-overflow Attacks" 63-78, 1998

      8 A. One, "Smashing The Stack For Fun andProfit"

      9 T. Detristan, "PolymorphicShellcode Engine Using SpectrumAnalysis"

      10 Y. Song, "On theInfeasibility of Modeling PolymorphicShellcode" 541-551, 2007

      1 "http://www.snort.org/snort"

      2 "http://www.metasploit.com/about/"

      3 T. Wana, "Writing UTF-8 CompatibleShellcodes"

      4 Rix, "Writing IA32 Alphanumeric Shellcode"

      5 A. N. Sovarel, "Where’s the FEEB? On the Effectivenessof Instruction Set Randomization" 14 (14): 2005

      6 "Vulnerability distribution of cve securityvulnerabilities by types"

      7 C. Cowan, "Stackguard: AutomaticAdaptive Detection and Prevention ofBuffer-overflow Attacks" 63-78, 1998

      8 A. One, "Smashing The Stack For Fun andProfit"

      9 T. Detristan, "PolymorphicShellcode Engine Using SpectrumAnalysis"

      10 Y. Song, "On theInfeasibility of Modeling PolymorphicShellcode" 541-551, 2007

      11 H. Shacham, "On theEffectiveness of Address Space Randomization" 298-307, 2004

      12 M. Polychronakis, "Network-levelPolymorphic Shellcode Detection usingEmulation" 4064 : 54-73, 2006

      13 B. Gu, "Malicious ShellcodeDetection with Virtual Memory Snapshots" 974-982, 2010

      14 J. Lee, "History of Buffer Overflow"

      15 J. Ma, "Finding Diversity inRemote Code Injection Exploits" 53-64, 2006

      16 J. Mason, "English Shellcode" 524-533, 2009

      17 M. Polychronakis, "Emulation-basedDetection of Non-self-contained PolymorphicShellcode" 87-106, 2007

      18 Obscou, "Building IA32 Unicode-ProofShellcodes"

      19 Q. Zhang, "Analyzing Network Traffic toDetect Self-decrypting Exploit Code" 4-12, 2007

      20 S. Macaulay, "ADMMutate: PolymorphicShellcode Engine"

      21 B. Martin, "2011 CWE/SANS Top 25 MostDangerous Software Errors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 0.50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