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헌정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탄핵사건과 관련 보도에서 나타난 미디어담론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담론 분석’ 틀을 차용하여 국내 5개 일간신문에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45848
2018
Korean
340.1
KCI등재
학술저널
79-120(42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헌정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탄핵사건과 관련 보도에서 나타난 미디어담론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담론 분석’ 틀을 차용하여 국내 5개 일간신문에 보...
본 연구는 헌정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탄핵사건과 관련 보도에서 나타난 미디어담론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담론 분석’ 틀을 차용하여 국내 5개 일간신문에 보도된 1면 기사, 사설, 칼럼을 분석한 결과 뉴스담론의 내용적 유형은 ‘대통령 의혹/책임’, ‘측근 비리’, ‘비선실세 국정농단’ 순으로 많았다. 담론 텍스트 구성에서는 이슈 내용에 따라 신문사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최초 국정농단 의혹이 제기된 ‘정윤회 문건’ 이슈에서는 신문의 정파성에 따른 논조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반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서는 보수신문과 진보신문 구분 없이 모두 비판적 논조를 집중적으로 펴는 특징을 보였다. 이어 접합이론을 적용해 탄핵사건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이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며 의미를 재구성하는지를 탐색한 결과, 보수신문의 경우 정치적 사안에서는 비판적 논조가 강하게 나타난 반면 경제적 사안에서는 대기업 옹호 프레임의 담론전략이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주요 쟁점이슈를 둘러싼 담론경쟁 구도를 분석한 결과 ‘국정수습 방안’, ‘세월호 7시간’, ‘재벌기업 수사’, ‘대통령 구속’ 등에서 정파성에 따른 논조의 차이 등이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features of media discourse about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at formally impeached the incumbent president, a first in the nation’s history. Articles on the first page, editorials and opinion piece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features of media discourse about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at formally impeached the incumbent president, a first in the nation’s history. Articles on the first page, editorials and opinion pieces of five daily newspapers were analyzed in the frame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Suspicion/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pic in the news discourse. “Close allies’ corruption”,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followed. Discourse text analysis was made by issues. Regarding the allegation on “Chung Yoon-hoi’s dossier”, the overall tone of newspapers differs based on partisanship. Meanwhile, both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ewspapers criticized Choi Soon-sil’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Changes of the discourse were examined within the theory of articulation to see how the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was restructured. Conservative newspapers used different approaches in discourse strategy in political and economic matters. Lastly, the discourse competition structure surrounding key issues and differences in partisanship were analyzed. In the issues of ways to normalize the state affairs, the secret seven-hour meeting after the sinking of Sewol Ferry, investigation into conglomerates and the detention of the president, discourse competition structure and partisanship were different between individual newspapers and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해, "한국의 구조적 전환과 미디어담론: 외환위기 이후 영미식 주주중심모델의 수용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5 (15): 39-85, 2007
2 정재철, "한국언론과 이념담론" 한국언론학회 46 (46): 10-348, 2002
3 허윤철, "한국언론과 세계화 담론 :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세계화 보도 비교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562-602, 2010
4 최낙진,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9 (19): 247-279, 2015
5 이건호, "한국과 미국 신문의 1면 기사 비교 : 취재 영역 및 보도 형태별 취재원 출현에 따른 심층성 분석" 한국언론학회 52 (52): 25-49, 2008
6 최은희, "한국과 독일의 방송뉴스 담론 비교 연구: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보도에 대한 푸코적 담론질서 중심의 시론적 고찰"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2 (22): 145-179, 2014
7 이건호, "한ㆍ미 신문 기사의 심층성과 신뢰도 및 독창성 분석 : 6개 한국 신문과 2개 미국 신문 1면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107-129, 2008
8 고영철, "한․미 지역일간지 1면 기사의 보도방식 비교 ― 기사의 길이, 리드 및 인용구 서술방법, 인용구의 수, 제목의 표현방식 등"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37-78, 2012
9 Fairclough, I., "정치담화분석" 박이정 2015
10 이진규, "정치권력 변동과 언론보도의 함수관계 -6개 정치권력과 7개 종합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4) : 81-131, 2012
1 김성해, "한국의 구조적 전환과 미디어담론: 외환위기 이후 영미식 주주중심모델의 수용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5 (15): 39-85, 2007
2 정재철, "한국언론과 이념담론" 한국언론학회 46 (46): 10-348, 2002
3 허윤철, "한국언론과 세계화 담론 :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세계화 보도 비교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562-602, 2010
4 최낙진,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9 (19): 247-279, 2015
5 이건호, "한국과 미국 신문의 1면 기사 비교 : 취재 영역 및 보도 형태별 취재원 출현에 따른 심층성 분석" 한국언론학회 52 (52): 25-49, 2008
6 최은희, "한국과 독일의 방송뉴스 담론 비교 연구: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보도에 대한 푸코적 담론질서 중심의 시론적 고찰"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2 (22): 145-179, 2014
7 이건호, "한ㆍ미 신문 기사의 심층성과 신뢰도 및 독창성 분석 : 6개 한국 신문과 2개 미국 신문 1면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107-129, 2008
8 고영철, "한․미 지역일간지 1면 기사의 보도방식 비교 ― 기사의 길이, 리드 및 인용구 서술방법, 인용구의 수, 제목의 표현방식 등"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37-78, 2012
9 Fairclough, I., "정치담화분석" 박이정 2015
10 이진규, "정치권력 변동과 언론보도의 함수관계 -6개 정치권력과 7개 종합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4) : 81-131, 2012
11 문철수, "정부PR 요소가 내재된 ‘이명박 정부’정책의 정치적 상징성 연구-국내 주요 신문 사설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5) : 147-186, 2009
12 백선기, "인터넷 미디어의 '미국 이라크'전쟁 보도 경향과 담론 구조 : <오마이뉴스> 보도의 시간구조와 담론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115-167, 2006
13 Fairclough, N., "언어와 권력" 경진 2011
14 Fairclough, N., "언어와 권력" 도서출판 경진 2011
15 이오현, "언론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명박 정권 이후 대학 정책에 대한 주요 신문의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2 (82): 29-72, 2017
16 김원용, "언론보도의 프레임 유형화 연구: 국내 원자력관련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166-196, 2005
17 정재철, "언론개혁에 관련된 담론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112-144, 2001
18 노현주, "신문, 방송, 포털매체의 의견 다양성 비교분석: ‘통진당 해산 선고’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68-99, 2016
19 Hall, S.,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한나래 1996
20 김영욱, "세월호 침몰 사건의 미디어 담론 분석: 비판적 담론분석(CDA)과 빅데이터 언어네트워크 분석의 결합" 한국언론정보학회 83 (83): 7-38, 2017
21 최윤선, "비판적 담화분석 : 담화와 담론이 만나는 장" 한국문화사 2014
22 신진욱,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비판사회학회 (89) : 10-45, 2011
23 오수민, "비판적 PR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본 무상급식 담론경쟁 분석: TV토론 프로그램 비판적 담론분석 중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73-103, 2012
24 윤철수, "비선실세 국정농단과 대통령 탄핵 관련 미디어 담론 분석 :5개 일간신문 사설의 프레임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5) : 69-101, 2017
25 최종환, "민주주의, 언론 그리고 담론정치파업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7 (67): 152-176, 2014
26 이정민, "민생 없는 민생 담론 : 한국 종합일간지 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언론정보학회 67 (67): 88-118, 2014
27 이봉현, "미디어 담론 분석을 통해 본 리비아 전쟁: 언론에 의한 카다피 악마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7 (7): 105-143, 2011
28 백선기, "미디어 담론" 커뮤니세이션북스 2015
29 Bell, A., "미디어 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0 홍성현, "무한 경쟁 시대의 글로벌 인재 되기: 글로벌 인재 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언론학회 9 (9): 4-57, 2013
31 Foucault, M.,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32 박현식, "대통령 측근 비리에 관한 언론 보도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75-112, 2014
33 Fairclough, N, "대중매체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2004
34 Macdonell, D.,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2008
35 Foucault, M, "담론의 질서" 새길 2012
36 류웅재, "담론분석과 정치경제학의 조우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커뮤니케이션 질적 연구방법론의 몇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8 (18): 37-73, 2010
37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4 (14): 106-145, 2006
38 함승경, "담론경쟁을 통한 PR 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차원 확대 연구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8 (18): 276-319, 2014
39 김영욱, "담론 경쟁으로서 PR커뮤니케이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이론의 방향성 설정" 한국언론학회 8 (8): 352-386, 2012
40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민음사 1994
41 김영욱, "금연과 흡연의 담론 경쟁: 비판적 담론 분석(CDA)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58 (58): 333-361, 2014
42 이서현, "규범적 시대정신과 현실적 이해관계의 충돌: ‘김영란법’ 보도를 통해 살펴본 한국 언론의 담론정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4) : 85-120, 2017
43 윤재홍, "고위공직자 재산검증보도에 대한 매체 간 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KBS와 조선일보의 보도를 중심으로" 199-243, 2009
44 Foucault, M., "감시와 처벌" 나남 2016
45 김선기,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4 (24): 5-68, 2016
46 서덕희,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6 (6): 55-89, 2003
47 백선기, "UCC의 정치 활용에 대한 미디어 담론과 의미-17대 대통령선거 시의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5) : 187-237, 2009
48 Macdonell, D., "Theories of Discourse" Blackwell Publishers 1986
49 Hall, S, "Signification, representation, ideology : Althusser and the poststructuralist debates" 2 (2): 91-114, 1985
50 van Dijk, T. A., "Principl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4 (4): 249-283, 1993
51 이형민, "PR커뮤니케이션의 담론 경쟁과편향적 언론 보도:원자력 이슈에대한 여론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6 (26): 233-261, 2015
52 Said, E, "Orientalism" Penguin 2003
53 van Dijk, T. A., "News as discourse" Lawrence Erlbaum 1988
54 Crossley, N, "Key concepts in critical social theory" Sage 2005
55 김영은, "KBS 사장 해임 사태에 대한 뉴스 담론 연구 : 미셀 페쇠(M. Pêcheux)의 담론 이론을 중심으로" 441-466, 2008
56 Fairclough, N, "Discourse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1992
57 Fairclough, 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Pearson 2010
청와대 대변인실의 소통 방식에 대한 연구 : 주요국 정부 대변인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 자유의 관점에서 본 공직선거법의 선거여론조사 규제의 한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61 | 0.819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