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단계 김동리 문학 연구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작품들의 정확한 서지 정리 및그에 근거한 정전 텍스트의 확정에 있다. 그 구체적인 사안의 하나가 일명 17편에이르는 ‘신라 연작 역사소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26538
2014
Korean
신라 연작 ; 역사소설 ; 판본 ; 계보도 ; 개작 ; bibliography ; retitle and remake ; a series of Silla texts ; historical fiction
KCI등재
학술저널
157-181(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 단계 김동리 문학 연구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작품들의 정확한 서지 정리 및그에 근거한 정전 텍스트의 확정에 있다. 그 구체적인 사안의 하나가 일명 17편에이르는 ‘신라 연작 역사소설...
현 단계 김동리 문학 연구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작품들의 정확한 서지 정리 및그에 근거한 정전 텍스트의 확정에 있다. 그 구체적인 사안의 하나가 일명 17편에이르는 ‘신라 연작 역사소설’의 최초 텍스트를 발굴하고 판본 간 계보도를 작성하는일이다. 김동리는 이들 단편 역사소설을 수차례 다른 지면을 통해 발표하고, 이후 .. 김동리 역사소설..집으로 엮어낸 바 있다. 그 과정에서 적지 않은 개제 및 개작이 행해졌다. 서사적 얼개의 재배치와 부분 개작에서부터 어휘 및 표현의 사소한 손질에이르기까지 전 방위적인 수정이 가해진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개작을 통해 문학적완성도를 높여 갔던 김동리의 창작 관행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신라연작의 경우는 역사와 문학이라는 상호 모순적인 글쓰기로서 역사소설 창작의 지향이 무엇이 되어야 하느냐에 답하려는 실천적 작가의식이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그 의의가 소소하지 않다. 본 연구는 판본 비교를 통해 이와 같은 결론을 확증하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urgent task for DONG-REE KIM`s literature study is his shortstories and novel works` bibliography and confirm canon texts. One of specifics details to this task is to discover the first version of ``a series of Silla texts`` and trace their p...
The most urgent task for DONG-REE KIM`s literature study is his shortstories and novel works` bibliography and confirm canon texts. One of specifics details to this task is to discover the first version of ``a series of Silla texts`` and trace their pedigree. DONG-REE KIM published these shortstories in different literary magazines several times and since then collectedand bound into "DONG-REE KIM`s Historical Fiction" in 1977. In the process, he retitled and revised these texts. To put it concretely, hereorganized narrative plot or added new content to earlier versions, and corrected expressive vocabulary and modified sentences in the earlier draft. This fact typically showed DONG-REE KIM`s creation style to raise degree of literary completion through continuous revising. Especially in the case of``a series of Silla texts``, it is particularly relevant that his consciousness of awriter on historical fiction is reflected in them. This study intended to corroborate such a point of view via comparison of ``a series of Silla tex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하, "金東里: 가장 한국적인 작가" 건국대 출판부 1996
2 김병길, "해방기, 근대 초극; 정신주의-김동리의 「劍君」을 찾아 읽다" 한국근대문학회 5 : 328-362, 2004
3 김병길, "하룻밤의 연緣으로 품은 생과 사의 구경究竟" 동리목월기념사업회 16 (16): 108-113, 2014
4 "철도"
5 "연합신문"
6 방민화, "신라인의 사랑의 미학과 선비 정신 -김동리의 <강수 선생>을 대상으로-" 한중인문학회 (30) : 97-115, 2010
7 김병길, "시간을 월경하여 만나는 생의 구경적 형식, 그 비극적 운명과의 한판대결" (699) : 233-295, 2013
8 박덕규,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9 김동리,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10 문흥술,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1 이동하, "金東里: 가장 한국적인 작가" 건국대 출판부 1996
2 김병길, "해방기, 근대 초극; 정신주의-김동리의 「劍君」을 찾아 읽다" 한국근대문학회 5 : 328-362, 2004
3 김병길, "하룻밤의 연緣으로 품은 생과 사의 구경究竟" 동리목월기념사업회 16 (16): 108-113, 2014
4 "철도"
5 "연합신문"
6 방민화, "신라인의 사랑의 미학과 선비 정신 -김동리의 <강수 선생>을 대상으로-" 한중인문학회 (30) : 97-115, 2010
7 김병길, "시간을 월경하여 만나는 생의 구경적 형식, 그 비극적 운명과의 한판대결" (699) : 233-295, 2013
8 박덕규,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9 김동리,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10 문흥술,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11 진정석, "살림작가연구 김동리" 살림 1996
12 방민화,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5 (15): 23-40, 2010
13 허련화, "김동리의 장편역사소설 <삼국기>와 <대왕암>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1) : 409-438, 2010
14 김병길, "김동리의 역사소설과 동양정신- '신라편' 연작의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38) : 7-34, 2009
15 방민화, "김동리의 <원왕생가(願往生歌)>에 나타난 원효의 정토사상연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1 (11): 105-122, 2006
16 방민화, "김동리의 <미륵랑>에 나타난 화랑과 미륵신앙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97-214, 2009
17 김동리, "김동리 전집1~3" 민음사 1995
18 홍기돈, "김동리 연구" 중앙대 2004
19 곽근, "김동리 역사소설의 신라정신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24) : 305-303, 2004
20 김동리, "김동리 역사소설" 智炤林 1977
21 허련화, "김동리 소설의 현실참여적 성격 연구" 서울대 2007
22 신정숙, "김동리 소설의 문학적 상상력 연구" 연세대 2011
23 김병길, "김동리 소설의 개작 양상과 ‘정전(正典)’의 문제: 「眞興大王」 연작 발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0) : 259-284, 2013
24 김주현, "김동리 소설 「아카시야 그늘 아래서」 외 2편 발굴" 근대서지학회 5 : 487-508, 2012
26 김주현, "김동리 소설 연구" 박문사 2013
27 김주현, "김동리 문학의 원점과 그 변주" 계간문예 98-117, 2006
28 김주현, "김동리 문학사상의 연원으로서의 화랑" 한국어문학회 77 : 291-311, 2002
29 김동리, "韓國歷史小說全集 8" 乙酉文化社史 1960
30 김동리, "韓國短篇文學大系 4" 三省出版社 1969
31 김동리, "韓國文學全集 19" 民衆書館 1960
32 김동리, "韓國三大作家全集 7" 三省出版社 1970
33 김동리, "金東里選集" 語文閣 1970
34 김동리, "金東里代表作選集 1" 三省出版社 1967
35 "野談"
36 "遞信文化"
37 김동리, "趣味와 人生" 문예창작사 1978
38 김동리, "等身佛" 正音社 1963
39 "泗川郡鄕友會報"
40 김동리, "實存舞" 人間社 1955
41 "地方行政"
42 "史談"
43 "協同"
44 김동리, "傑作野談選集" 希望社 1960
45 박종화, "傑作野談選集" 희망사 1960
46 김부식, "三國史記 新羅本紀" 고대사 2008
47 방민화, "<김현감호설화(金現感虎 說話)>의 소설적 변용 연구 - 김동리의 <호원사기(虎願寺記)>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4 (14): 43-63, 2009
48 방민화, "<水路夫人> 설화의 소설적 변용 연구-김동리의 <水路夫人>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27) : 1-20, 2009
구미 동아시아학의 발전과 그 수용을 위한한국판 DB 구축
김병욱(金炳昱)(1808∼1885)의 글쓰기에 나타난 비판정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6-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5 | 1.7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