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게재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영역(주제)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총괄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 이전에 행정학계에서 논의된 행정학의 "토착화" 및 "한국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67984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9(29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게재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영역(주제)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총괄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 이전에 행정학계에서 논의된 행정학의 "토착화" 및 "한국화...
본 연구는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게재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영역(주제)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총괄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 이전에 행정학계에서 논의된 행정학의 "토착화" 및 "한국화"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적) 행정연구" 접근법으로 전환할 것을 주장하였다.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게재 논문들은 2000년대 이후 "행정학의 토착화"에서 벗어나 "한국(적) 행정연구" 단계로 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성숙 단계로 가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인 측면에서 게재논문 수가 1990년대보다 2000년대 이후 급증한다. 2010년 이후에는 다른 어느 학회지보다 많은 논문들이 게재되고 있다. 둘째, 연구주제를 보면 1990년대에는 특정 주제에 편향되는 경향이 있으나 200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다양한 영역으로 주제가 다원화되고 있다. 세부적 주제를 보면 구체적으로 깊이 있게 탐구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연구영역별로 볼 때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정책 분야이며, 지방행정, 조직, 인사, 재무 분야 순이다. 세부 분야로는 환경, 복지, 전자정부, 공공서비스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넷째, 연구방법을 보면 각 분야별로 연구경향이 다르다. 양적 분석이 질적 분석보다 많은 분야는 조직, 인사, 공공서비스, 행정윤리, 문화 분야이다. 정책, 지방행정, 환경, 전자정부, NGO, 행정개혁 분야는 양적 분석보다 질적 분석이 훨씬 많다. 각 분야에 따라서는 시기별로 연구방법의 변화가 있다. 양적 분석의 통계기법도 종전보다 더 다양해지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in particular, i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the official academic journal of the Seoul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from 1990 to 2012.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in particular, i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the official academic journal of the Seoul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from 1990 to 2012. The contention that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be indigenized and Koreanized is review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before research trend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trend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new millennium compared to the 1990s. Second, a wide range of subjects have been covered since 2000, particularly when contrasted with the narrow range of subjects covered in the 1990s. Third, the most popular research areas in the published articles include public policy, loc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public personnel, and public budgeting. When it comes to specific subjects, the most popular are the environment, social welfare, e-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Fourth, each research area has tendencies to favor particular research methods. Research focusing on organizations, public personnel, public service, administrative ethics, and culture tends to employ quantitative methods more, while research on public policy, local administration, the environment, e-government, NGOs, and administrative reform tends to utilize qualitative techniques. Finally, a greater variety of statistical techniques can be found in studies published after the year 2000.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석홍, "행정학의 한국화 논의, 무엇을 남겼나?" 112 : 10-11, 2005
2 이종범, "행정학의 토착화에 관한 논거" 11 : 198-223, 1977
3 안병영, "행정학의 토착화, 한국화, 그리고 세계화" 111 : 6-9, 2005
4 배응환, "행정학과 정치학에서 정부와 이익집단관계의 연구경향분석: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치학회보의 비교" 34 (34): 83-102, 2000
5 김태영, "행정학 한국화의 주요 논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07
6 김종술, "행정학 연구의 한국화: Missing Link를 찾아서" 112 : 15-17, 2005
7 강신택, "행정학 연구방법의 변천과정과 앞으로의 방향" 21 (21): 3-32, 1987
8 백완기, "한국행정학의 학문성 정립문제" 12 : 73-91, 1978
9 김병섭, "한국행정학의 토착화 : 제2세대의 역할과 공헌" 2010
10 권경득,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보」기고논문(1967-1995)을 중심으로" 30 (30): 139-153, 1996
1 오석홍, "행정학의 한국화 논의, 무엇을 남겼나?" 112 : 10-11, 2005
2 이종범, "행정학의 토착화에 관한 논거" 11 : 198-223, 1977
3 안병영, "행정학의 토착화, 한국화, 그리고 세계화" 111 : 6-9, 2005
4 배응환, "행정학과 정치학에서 정부와 이익집단관계의 연구경향분석: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치학회보의 비교" 34 (34): 83-102, 2000
5 김태영, "행정학 한국화의 주요 논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07
6 김종술, "행정학 연구의 한국화: Missing Link를 찾아서" 112 : 15-17, 2005
7 강신택, "행정학 연구방법의 변천과정과 앞으로의 방향" 21 (21): 3-32, 1987
8 백완기, "한국행정학의 학문성 정립문제" 12 : 73-91, 1978
9 김병섭, "한국행정학의 토착화 : 제2세대의 역할과 공헌" 2010
10 권경득,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보」기고논문(1967-1995)을 중심으로" 30 (30): 139-153, 1996
11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12 주상현, "한국행정학연구경향의실증적분석:최근 7년( 1 9 9 5 - 2 0 0 1 ) 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39-55, 2002
13 박흥식, "한국행정학 토착화의 실체와 의미" 13-16, 2005
14 이종범, "한국행정학 연구의 한국화: 이론의 세계화" 112 : 11-14, 2005
15 백완기, "한국행정학 50년 : 문헌검토를 중심으로" 나남출판사 2005
16 한태천, "한국행정논집 분석: 행정학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12 (12): 781-802, 2000
17 최호택, "한국지방자치 연구경향분석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등재논문(2002-2010년)의 연구주제 방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5-23, 2011
18 목진휴, "한국정책학회보 10년의 발자취" 11 (11): 319-332, 2002
19 백완기, "한국적 행정이론의 성립가능성 모색" 21 (21): 153-174, 1987
20 하태권, "한국인사행정의 실증적 연구에 대한 고찰: 연구경향과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29 (29): 1463-1483, 1995
21 안병영, "한국의 행정현상과 행정학 연구의 주체성" 13 : 49-66, 1979
22 이재은, "한국의 조직이론 연구경향분석" 2002
23 김인, "한국에서의 공공서비스 연구경향" 2013
24 권해수, "한국 행정학의 학문후속세대 교육의 위기 구조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행정학회 43 (43): 299-320, 2009
25 권해수, "한국 주류 행정학의 글쓰기 비판" 2010
26 윤의영, "한국 도시행정학의 연구경향 - 도시행정학보 연구 논문(1988-2008)을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67-85, 2008
27 김영민,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민음사 1996
28 문태현, "적실성의 관점에서 본 행정학 교육의 한국화" 112 : 23-26, 2005
29 나태준, "싸구려 뷔페식탁? : 2000년대 중반 환경정책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40 (40): 419-447, 2006
30 이한빈, "사회변동과 행정" 박영사 1968
31 김광웅, "사회과학연구방법의 토착화에 관한 소고-정치학・국제정치학・행정학분야" 17 (17): 2146-2170, 1979
32 이상호, "내용분석법을 적용한 행정학 연구 논문의 비판적 검토" 2005
33 한인섭, "공공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 한국과 미국의 주요 학술지비교(1995-2008) -"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179-205, 2009
34 우양호, "「지방정부연구」의 실증적 분석(1997~2004)- 행정학 분야 주요 학술지와의 비교연구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75-103, 2004
35 김상구, "‘지방정부’에 관한 연구경향과 전망:<지방정부연구>에 개제된 논문(1997~2003)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1 (11): 291-317, 2005
36 이종수, "‘지방’의 과거와 미래: 연구추이의 분석" 369-383, 2001
37 노화준, "1990년대 한국 정책평가연구의 동향 분석" 11 (11): 89-123, 2001
38 정준금, "1990년대 이후 한국의 환경정책연구 동향 분석" 12 (12): 77-95, 200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7 | 1.17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6 | 1.18 | 1.419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