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2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미술치료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군의 H시설에 입소한 아동 2명으로 A아동은 13세(남), B아동은 11세(여)이고 A․B아동 모두 부에 의한 신체․정서 학대로 시설에 보호 조치 중이며 아동보 호전문기관에서 심리치료를 의뢰하였다. 미술치료는 2017년 3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주 1회 각각 5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SEI),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동적 가족화(KFD)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 사를 비교․분석하였고, 미술치료 단계별 아동의 변화를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행동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자아존중감 척도(SEI) 검사에서 A․B아동 모두 사전 검사보다 점 수가 증가하였다. 둘째,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검사에 서 A․B아동 모두 사전 검사보다 점수가 감소하였다. 셋째,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동적 가 족화(KFD)는 A․B아동 모두 사전의 불안정하고 소극적인 표현과 달리 적극적이고 세밀한 표 현이 가능해졌으며 필압이 뚜렷한 그림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미술치료 단계별 행동관찰을 통하여 나타난 변화는 A․B아동 모두 초기 단계에는 눈 마주침이 잘되지 않고 눈치를 많이 보며 활동을 시작하는 시간이 오래 걸렸으나, 점차 눈치 보는 것이 줄어들고 긍정적인 말과 함께 언어표현이 부드러워졌으며 완성품에 만족감을 표현하는 등의 변화를 거쳐 종결 단계에 는 긍정적인 자아상 확립으로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희망을 표현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는 미술치료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군의 H시설에 입소한 아동 2명으로 A아동은 13세(남), B아동은 11세(여)...

      연구는 미술치료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군의 H시설에 입소한 아동 2명으로 A아동은 13세(남), B아동은 11세(여)이고 A․B아동 모두 부에 의한 신체․정서 학대로 시설에 보호 조치 중이며 아동보 호전문기관에서 심리치료를 의뢰하였다. 미술치료는 2017년 3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주 1회 각각 5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SEI),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동적 가족화(KFD)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 사를 비교․분석하였고, 미술치료 단계별 아동의 변화를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행동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자아존중감 척도(SEI) 검사에서 A․B아동 모두 사전 검사보다 점 수가 증가하였다. 둘째,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검사에 서 A․B아동 모두 사전 검사보다 점수가 감소하였다. 셋째,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동적 가 족화(KFD)는 A․B아동 모두 사전의 불안정하고 소극적인 표현과 달리 적극적이고 세밀한 표 현이 가능해졌으며 필압이 뚜렷한 그림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미술치료 단계별 행동관찰을 통하여 나타난 변화는 A․B아동 모두 초기 단계에는 눈 마주침이 잘되지 않고 눈치를 많이 보며 활동을 시작하는 시간이 오래 걸렸으나, 점차 눈치 보는 것이 줄어들고 긍정적인 말과 함께 언어표현이 부드러워졌으며 완성품에 만족감을 표현하는 등의 변화를 거쳐 종결 단계에 는 긍정적인 자아상 확립으로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희망을 표현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of abus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children who entered the H facility of G province. The children were a 13 year-old A-child(male) and a 11 year-old B-child(female). Both A and B children were protected at the facility from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by their fathers, and the child protection agency requested psychotherapy for them. Art therap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7 to July 2017 with a total of 20 sessions each for 50 minutes, excluding pre-test and post-test. The research tool used the Self Esteem Inventory(SEI), the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KF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change of the child by stage of art therapy was analyzed by collecting data records and observ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Self Esteem Inventory(SEI) test of both A and B children was higher after art therapy treatment than that of the pre-test. Second, the score of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test of both A and B children was lower after art therapy treatment than that of the pre-test. Third, in Kinetic Family Drawing(KFD) after the art therapy, both A and B children became active and possible detailed expression unlike unstable and passive expressions of their past, and their pictures were changed into pictures with a strong pressure. Fourth, the changes in the behavior observation through the phased art therapy showed that the both of A and B children took long time to start the activity with not getting in eye contact and trying to read one's countenance at the early stage. However, their expression of the language was gradually softened and positive with reducing reading one's counten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finished product was expressed. Through all these changes, they could express concrete hope for the future by the positive stage of the self-image at the end of stag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rt therapy for the abused children positively changed the children who had low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abused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of abus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children who entered the H facility of G province. The children were a 13 year-old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of abus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children who entered the H facility of G province. The children were a 13 year-old A-child(male) and a 11 year-old B-child(female). Both A and B children were protected at the facility from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by their fathers, and the child protection agency requested psychotherapy for them. Art therap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7 to July 2017 with a total of 20 sessions each for 50 minutes, excluding pre-test and post-test. The research tool used the Self Esteem Inventory(SEI), the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KF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change of the child by stage of art therapy was analyzed by collecting data records and observ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Self Esteem Inventory(SEI) test of both A and B children was higher after art therapy treatment than that of the pre-test. Second, the score of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test of both A and B children was lower after art therapy treatment than that of the pre-test. Third, in Kinetic Family Drawing(KFD) after the art therapy, both A and B children became active and possible detailed expression unlike unstable and passive expressions of their past, and their pictures were changed into pictures with a strong pressure. Fourth, the changes in the behavior observation through the phased art therapy showed that the both of A and B children took long time to start the activity with not getting in eye contact and trying to read one's countenance at the early stage. However, their expression of the language was gradually softened and positive with reducing reading one's counten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finished product was expressed. Through all these changes, they could express concrete hope for the future by the positive stage of the self-image at the end of stag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rt therapy for the abused children positively changed the children who had low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abused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1. 아동학대
      • 2. 자아존중감
      • 3. 문제행동
      • 4. 미술치료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도구
      • 3. 연구절차
      • 4. 자료 분석
      • Ⅳ. 연구결과
      • 1. 미술치료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2. 미술치료가 학대받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