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중소도시 현대화된 전통시장과 대형할인점과의 만족도 비교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4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traditional retail markets have suffered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especially with the opening of the Korean retail market to foreigners in 1996. Believing that traditional markets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e and heritage, the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a substantial sum of money to revitalize these markets after 2002.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about the effects of this government investment in competitiveness to big-box discount stores. Thus we studied the revitalization of these markets after environmental and management improveme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between a remodeled traditional retail market and big-box discount sto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s get excellent marks in the areas of “Assurance”,“Empathy”,“Accessibility”and “Merchandise”. On the other hand, the big-box discount store does well in the areas of “Tangibility”,“Responsiveness” and “Assurance”. This is true even if improvement to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 occurred nearly 10 years ago.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s and big-box discount stores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Third,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are “Tangibility”,“Empathy” and “Merchandise and Assurance”. The next important factors are followed by “Reliability”,“Responsiveness” and “Accessibility”. This study identified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Going forward, this research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se revitalization projects and find new way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번역하기

      Korean traditional retail markets have suffered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especially with the opening of the Korean retail market to foreigners in 1996. Believing that traditional markets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e...

      Korean traditional retail markets have suffered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especially with the opening of the Korean retail market to foreigners in 1996. Believing that traditional markets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e and heritage, the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a substantial sum of money to revitalize these markets after 2002.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about the effects of this government investment in competitiveness to big-box discount stores. Thus we studied the revitalization of these markets after environmental and management improveme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between a remodeled traditional retail market and big-box discount sto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s get excellent marks in the areas of “Assurance”,“Empathy”,“Accessibility”and “Merchandise”. On the other hand, the big-box discount store does well in the areas of “Tangibility”,“Responsiveness” and “Assurance”. This is true even if improvement to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 occurred nearly 10 years ago.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s and big-box discount stores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Third,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are “Tangibility”,“Empathy” and “Merchandise and Assurance”. The next important factors are followed by “Reliability”,“Responsiveness” and “Accessibility”. This study identified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Going forward, this research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se revitalization projects and find new way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전통시장의 현대화사업과 사례개요
      • 4. 분석의 틀 설정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전통시장의 현대화사업과 사례개요
      • 4. 분석의 틀 설정
      • 5. 실증분석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aul A. Bell, "환경심리학" Cengage 2008

      2 박형근, "충청북도 증평 장뜰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31 (31): 819-828, 2011

      3 김진덕, "청주시 상권변모와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 3 (3): 2000

      4 송부용, "창원지역 재래시장 활성화와 지원방안" 마케팅과학회 7 : 2001

      5 김세범, "진주지역의 재래시장(중소상가)활성화 방안" 마케팅과학회 6 : 2000

      6 이민우,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경영 . 마케팅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701-718, 2005

      7 신지연, "재래시장의 재건축을 위한 건축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005

      8 정금호, "재래시장에서의 접근성과 업종별 상관관계 -광주광역시 대인시장과 남광주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 (20): 171-178, 2004

      9 곽원일,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방문의도에 대한 환경 및 감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14 (14): 77-104, 2009

      10 고광성, "재래시장 활성화사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5

      1 Paul A. Bell, "환경심리학" Cengage 2008

      2 박형근, "충청북도 증평 장뜰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31 (31): 819-828, 2011

      3 김진덕, "청주시 상권변모와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 3 (3): 2000

      4 송부용, "창원지역 재래시장 활성화와 지원방안" 마케팅과학회 7 : 2001

      5 김세범, "진주지역의 재래시장(중소상가)활성화 방안" 마케팅과학회 6 : 2000

      6 이민우,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경영 . 마케팅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701-718, 2005

      7 신지연, "재래시장의 재건축을 위한 건축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005

      8 정금호, "재래시장에서의 접근성과 업종별 상관관계 -광주광역시 대인시장과 남광주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 (20): 171-178, 2004

      9 곽원일,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방문의도에 대한 환경 및 감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14 (14): 77-104, 2009

      10 고광성, "재래시장 활성화사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5

      11 김재형,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건축계획적 연구 -인천시 중구 신포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1 (21): 2001

      12 신창호,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준거틀과 유형화" 한국지역학회 19 (19): 97-118, 2003

      13 김광호,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과 아케이드 도입 실태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2003

      14 김건우, "재래시장 외부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5 (15): 1995

      15 김태진, "장소관점에서 본 도시 내 특화된 재래시장의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황학동 중고품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4

      16 조병택, "익산시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한국상업교육학회 9 : 331-346, 2004

      17 서시은, "소비자 점포 선택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대전지역 재래시장, 중형마트(SSM)를 중심으로"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18 정난호, "소매업태에 대한 소비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 재래시장, 중형마트(SSM),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한국유통과학회 4 (4): 41-64, 2006

      19 최주영, "서울시 일반재래시장 구성요소의 시대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98

      20 김혜림, "도심 내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2007

      21 박천보, "도시균형발전 차원의 재래시장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71-278, 2008

      22 정수원, "대형할인점 진출에 따른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 한국창업학회 1 (1): 104-123, 2006

      23 강헌수, "가로형 재래시장 아케이드의 건축계획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119-126, 2010

      24 중소기업청시장경영지원센터, "2005년 재래시장 실태조사" 2005

      25 중소기업청, "2002-2008년 재래시장 시설현대화사업지원현황"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