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5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group interviews on the teachers of dahaengbok school, a Busan
      Innovation School, to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dahaengbok school. For this
      purpose, 9 school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school levels and designated year, and then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dentifie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hrough the democratic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vice-principal, voluntary solidarity building through teacher clubs, spontaneity
      of students through participation, students happily approaching teachers, change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classes, etc. as the achievements of dahaengbok school.
      The teachers identified the following achievements of the school to apply to other general
      schools: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reduction in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of
      homeroom teachers, open classes and conferences in forms of class sharing, grouped lesson
      (bloc lessons), development of personal characters and potentials of students, autonomy of
      budget execution, student-centered events, etc. Second, the teachers identified the following
      tasks of dahaengbok school: incapabilities to change everything in one year, sharing teaching
      staff for change, radical reduction in responsibilities, overall participa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in school change, etc.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set of
      measures to be adopted or internalized in the aspects of investment, structure, politics,
      individuals,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calcul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generalization of dahaengbok school.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group interviews on the teachers of dahaengbok school, a Busan Innovation School, to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dahaengbok school. For this purpose, 9 school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school levels and designated y...

      This study conducted group interviews on the teachers of dahaengbok school, a Busan
      Innovation School, to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dahaengbok school. For this
      purpose, 9 school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school levels and designated year, and then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dentifie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hrough the democratic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vice-principal, voluntary solidarity building through teacher clubs, spontaneity
      of students through participation, students happily approaching teachers, change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classes, etc. as the achievements of dahaengbok school.
      The teachers identified the following achievements of the school to apply to other general
      schools: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reduction in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of
      homeroom teachers, open classes and conferences in forms of class sharing, grouped lesson
      (bloc lessons), development of personal characters and potentials of students, autonomy of
      budget execution, student-centered events, etc. Second, the teachers identified the following
      tasks of dahaengbok school: incapabilities to change everything in one year, sharing teaching
      staff for change, radical reduction in responsibilities, overall participa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in school change, etc.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set of
      measures to be adopted or internalized in the aspects of investment, structure, politics,
      individuals,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calcul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generalization of dahaengbok scho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기선,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153-178, 2017

      2 한영욱, "혁신학교의 교사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3 홍동희, "혁신학교 일반화를 위한 제안" 2017

      4 배은주, "혁신학교 운영의 특징과 갈등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45-180, 2014

      5 이승호,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9-158, 2016

      6 이경아,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75-100, 2016

      7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17-241, 2016

      8 박순기, "혁신초등학교의 교사문화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2016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 연구보고서(초등)" 173-194, 2016

      9 부산광역시교육청, "혁신교육, 희망을 이야기하다. 부산다행복학교성과보고서" 2016

      10 강혜영, "행복배움학교 성과분석 연구"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2016

      1 성기선,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153-178, 2017

      2 한영욱, "혁신학교의 교사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3 홍동희, "혁신학교 일반화를 위한 제안" 2017

      4 배은주, "혁신학교 운영의 특징과 갈등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45-180, 2014

      5 이승호,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9-158, 2016

      6 이경아,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75-100, 2016

      7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17-241, 2016

      8 박순기, "혁신초등학교의 교사문화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2016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 연구보고서(초등)" 173-194, 2016

      9 부산광역시교육청, "혁신교육, 희망을 이야기하다. 부산다행복학교성과보고서" 2016

      10 강혜영, "행복배움학교 성과분석 연구"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2016

      11 이연선, "한 초등교사의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교육발전연구소 27 (27): 63-90, 2017

      12 유경훈, "학교혁신 과정의 양가성(ambivalence) : 혁신 학교 운영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13 진명순, "학교문화 혁신을 위한 교사들의 소통과 참여 활성화 방안 탐구" 75-104, 2015

      14 박승배, "전라북도 제4기 혁신학교 종합평가 결과 분석" 27 (27): 269-287, 2016

      15 최창의, "시‧도교육청 혁신학교 정책 비교 연구-경기‧전북‧서울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16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혁신학교 추진 기본 계획" 부산광역시교육청 2014

      17 성병창,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 도입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49-171, 2017

      18 김지태, "부산지역 다행복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초등사례). 2016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 연구보고서(초등)" 197-244, 2016

      19 이정순, "부산지역 다행복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중등학교 중심). 2016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 연구보고서" 553-610, 2016

      20 김용하, "부산지역 다행복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 393-454, 2015

      21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다행복학교, 되돌아보다. 2015학년도 부산다행복학교 성과보고서" 2015

      22 이상철, "부산다행복학교 질 관리를 위한 평가모형 및 평가지표 개발" 부산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2016

      23 이수광, "부산다행복학교 2년차 중간평가 및 정책 발전 방향 연구" 부산광역시교육청 2017

      24 안지영, "부산다행복초등학교의 교사문화 형성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33-54, 2015

      25 양서영, "마할라노비스 거리 매칭을 활용한 서울형혁신학교 성과 분석" 홍익대학교 2016

      26 박병량,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지사 2012

      27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2002

      28 백병부,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 분석: 교육격차 감소를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29 조윤정,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발전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30 윤정, "‘학교혁신’에 참여하게 된 교사들의 갈등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221-252, 2016

      31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Sage 2003

      32 OECD, "PISA 2015 Results: polices and practice for successful schools(VOL. Ⅱ)"

      33 Hoy, W. K.,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McGraw-Hill 2005

      34 부산광역시교육청, "2017학년도 부산다행복학교 운영 계획" 부산광역시교육청 2017

      35 안광식, "2015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 세종특별자치시교육연구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