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인실, "한국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Bennett이론에 근거하여" 안암교육학회 18 (18): 283-302, 2012
2 임은미, "학교장면에서의 옹호상담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119-140, 2015
3 강혜영, "특성화고 재학생의 진로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45-63, 2015
4 박순희, "청소년의 다문화경험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수용성과 문화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99-510, 2017
5 정경연, "중년기 위기 성인학습자의 전환학습 경험" 전북대학교 2017
6 남미진, "전환학습이론에 기반한 문화예술 활용 다문화 교육(TMECA) 모형 개발: 교사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2015
7 유정이, "이혼경험에 대한 질적분석-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157-176, 2006
8 임은미, "이공계 대학생의 개인 학습상담 참가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상담학회 14 (14): 1855-1875, 2013
9 최현정,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5-338, 2012
10 이은희,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으로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5 (55): 120-133, 2016
1 장인실, "한국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Bennett이론에 근거하여" 안암교육학회 18 (18): 283-302, 2012
2 임은미, "학교장면에서의 옹호상담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119-140, 2015
3 강혜영, "특성화고 재학생의 진로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45-63, 2015
4 박순희, "청소년의 다문화경험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수용성과 문화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99-510, 2017
5 정경연, "중년기 위기 성인학습자의 전환학습 경험" 전북대학교 2017
6 남미진, "전환학습이론에 기반한 문화예술 활용 다문화 교육(TMECA) 모형 개발: 교사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2015
7 유정이, "이혼경험에 대한 질적분석-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157-176, 2006
8 임은미, "이공계 대학생의 개인 학습상담 참가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상담학회 14 (14): 1855-1875, 2013
9 최현정,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5-338, 2012
10 이은희,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으로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5 (55): 120-133, 2016
11 우희숙, "예비교사의 다문화 멘토링 참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41-165, 2010
12 노경란,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문제중심학습 적용 및 효과성 분석 – 윤리교과와 사회교과 교원양성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60 : 35-54, 2014
13 김순미,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효능감과 사회정의 옹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5 (55): 315-341, 2017
14 김순미,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전북대학교 2016
15 전민승, "성인학습의 이해" 에피스테메 2010
16 Ivey, A. E., "상담이론과 실제: 다문화 관점의 통합적 접근" 학지사 2015
17 지승희,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2327-2349, 2013
18 서재복, "사범대학생의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 효과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2 (12): 191-207, 2014
19 Hays, P. A., "문화적 다양성과 소통하기" 한율아카데미 2016
20 박혜숙,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03-325, 2010
21 안병환, "다문화사회에서의 예비교사교육 방향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21, 2010
22 박순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23-145, 2011
23 허창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제언"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77-101, 2010
24 박명희,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55-176, 2012
25 김미혜, "다문화 영상 및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이주, 새로운 뿌리를 찾아서’ 주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교육학회 (48) : 45-80, 2015
26 장인실,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실천" 학지사 2012
27 장인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81-305, 2008
28 고은영, "다문화 교육대상의 정의와 다문화 효능감 연구: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99-119, 2013
29 모경환, "다문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1-53, 2010
30 서덕희, "교양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강좌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디아스포라적 체험·성찰·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77-431, 2013
31 구자경, "교사의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2009
32 모경환,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33 Mezirow, J., "defense of life world : Critical perspectives on adult learnin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9-70, 1995
34 Cranton, P. A., "Understanding and promoting transformative learning: A guide for educators of adults" Jossey-Bass 1994
35 Neukrug, E., "The world of the counselor: An introduction to the counseling profession" CENGAGE Learning 2015
36 D'Andrea, M., "The intersection of race, class, and gender in multicultural counseling" Sage 417-466, 2001
37 Jun, H. S., "Social justice, multiculutral counseling, and practice: Beyond a conventional approach" Sage Publications, Inc 2009
38 Arredondo, P., "Operationalization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24 : 42-78, 1996
39 Mezirow, J., "Learning as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 on a theory in progress" Jossey-Bass 3-33, 2000
40 Burnes, T. R., "Integrating social justice training into the practicum experience for psychology trainees: Starting earlier" 4 : 153-162, 2010
41 Diller, J. V., "Cultural competence: A primer for educators" Thomson Wadsworth 2005
42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arsh: An update" 52 : 196-205, 2005
43 박성춘, "A study on social justi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교육종합연구원 21 : 1-2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