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형태학적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재래종인 붕어(Carassius auratus)와 일본 도입종인 떡붕어(C. cuvieri)의 분자 수준에서 유전적 차이와 계통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8581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63-1069(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형태학적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재래종인 붕어(Carassius auratus)와 일본 도입종인 떡붕어(C. cuvieri)의 분자 수준에서 유전적 차이와 계통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
본 연구는 형태학적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재래종인 붕어(Carassius auratus)와 일본 도입종인 떡붕어(C. cuvieri)의 분자 수준에서 유전적 차이와 계통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예당호에서 서식하고 있는 두 붕어종을 포획하여 DNA를 각각 분리한 CYTB 유전자 서열을 결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으며, NCBI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서 확보 가능한 중국, 일본, 러시아의 붕어속 담수어와도 유전적 차이와 계통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붕어와 떡붕어가 계통분류학적인 위치에서 각각 차이나는 phylogroup을 형성하였다. 집단 내 염기서열 다양성은 떡붕어가 붕어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고 집단 간 유전적 차이는 중국 북부 붕어와 한국 붕어 간에 유의적 차이를 검출 할 수 없었는데, 이는 두 집단이 공통조상으로 비롯된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다. 일본 떡붕어와 한국 떡붕어 간에 집단 간 유의적인 유전적 차이가 검출 되지 않았는데 이는 1970년대 일본 떡붕어가 국내 담수계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현재까지 서식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 두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국, 한국, 일본에 서식하고 있는 붕어속 집단 간에 유의적 유전적 차이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붕어와 떡붕어가 형태학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유전적으로는 유의적 차이가 있는 별개의 담수어 자원으로서 구별되며, 유전적 다양성의 유지 및 보존을 위한 과학적 근거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crucian carp species (Carassius auratus and C. cuvieri) inhabit Lake Yedang in South Korea, and C. auratus is known to be native to Korea. Classification of these two freshwater fish species is often confused because of their morphological similar...
Two crucian carp species (Carassius auratus and C. cuvieri) inhabit Lake Yedang in South Korea, and C. auratus is known to be native to Korea. Classification of these two freshwater fish species is often confused because of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y. To distinguish the two species, we conducted phylogenetic and population genetic analyses of C. auratus and C. cuvieri based on their mitochondrial DNA sequences of the cytochrome b gene (CYTB). We also compared our partial CYTB sequence (<1,056 bp) with 10 Chinese, nine Japanese, and two Russian crucian carp fishes. The results of our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C. auratus and C. cuvieri were clearly divided into two phylogroups. The nucleotide diversity (π) of C. auratus from Korea, China, and Japan showed a range of 0.146%~ 0.421%, while the range of π of C. cuvieri from Korea and Japan was lower than those of C. auratus (0.0%~0.054%). Moreover, the comparison of CYTB divergence among crucian carp fishes in China, Japan, and Korea indicated that Korean Carassius fishes were distantly related to those from China and Japan, with two exceptions: the pairwise Fst value between Korean C. auratus and northern Chinese C. aurat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dition, no significant genetic diverg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 cuvieri was detected. We conclude that, despite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C. auratus and C. cuvieri should be considered as separate freshwater fish resources in conservation efforts for genetic divers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용, "예당호의 어류 종조성 및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 31 (31): 101-109, 2019
2 윤종만, "붕어(Carassius auratus Linnaeus)와 떡붕어(C. cuvieri Temminck and Schlegel)의 유전적 비교" 한국축산학회 48 (48): 637-650, 2006
3 Gao, Y., "Quaternary palaeoenvironmental oscillations drove the evolution of the Eurasian Carassius auratus complex Cypriniformes, Cyprinidae" 39 : 2264-2278, 2012
4 Nam, M. M.,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Crusian Carp. Carassius auratus Linnaeus from Yongnam Area in Korea" 11 : 54-63, 1989
5 Jung, J., "Mitochondrial genetic variations in fishes of the genus Carassius from South Korea : proximity to northern China rather than Japanese Islands" 635 : 95-105, 2009
6 Kumar, S.,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337 : 1870-1874, 2016
7 Kang, J. H., "Genetic differentiation of Carassius auratus and C. cuvieri by the cytochrome C oxidase I gene analysis" 53 : 1-4, 2014
8 Weir, B. S., "Estimating F-statistics for the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38 : 1358-1370, 1984
9 Koressaar, T., "Enhancements and modifications of primer design program Primer3" 23 : 1289-1291, 2007
10 Librado, P., "DnaSP v5 : a software for comprehensive analysis of DNA polymorphism data" 25 : 1451-1452, 2009
1 김승용, "예당호의 어류 종조성 및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 31 (31): 101-109, 2019
2 윤종만, "붕어(Carassius auratus Linnaeus)와 떡붕어(C. cuvieri Temminck and Schlegel)의 유전적 비교" 한국축산학회 48 (48): 637-650, 2006
3 Gao, Y., "Quaternary palaeoenvironmental oscillations drove the evolution of the Eurasian Carassius auratus complex Cypriniformes, Cyprinidae" 39 : 2264-2278, 2012
4 Nam, M. M.,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Crusian Carp. Carassius auratus Linnaeus from Yongnam Area in Korea" 11 : 54-63, 1989
5 Jung, J., "Mitochondrial genetic variations in fishes of the genus Carassius from South Korea : proximity to northern China rather than Japanese Islands" 635 : 95-105, 2009
6 Kumar, S.,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337 : 1870-1874, 2016
7 Kang, J. H., "Genetic differentiation of Carassius auratus and C. cuvieri by the cytochrome C oxidase I gene analysis" 53 : 1-4, 2014
8 Weir, B. S., "Estimating F-statistics for the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38 : 1358-1370, 1984
9 Koressaar, T., "Enhancements and modifications of primer design program Primer3" 23 : 1289-1291, 2007
10 Librado, P., "DnaSP v5 : a software for comprehensive analysis of DNA polymorphism data" 25 : 1451-1452, 2009
11 Morgenstern, B., "DIALIGN : multiple DNA and protein sequence alignment at BiBiServ" 32 : W33-, 2004
12 Felsenstein, J.,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394 : 783-791, 1985
13 Takada, M., "Biogeography and evolution of the Carassius auratus-complex in East Asia" 12 : 7-, 2010
14 Excoffier, L., "Arlequin suite ver 3.5:a new series of programs to perform population genetics analyses under Linux and Windows" 103 : 564-567, 2010
15 Komiyama, T., "An evolutionary origin and selection process of goldfish" 430 : 5-11, 2009
16 Hudson, R. R., "A statistical test for detecting geographic subdivision" 9 : 138-151, 1992
17 Mori, T., "A revised catalogue of the fishes of Korea" 19 : 12-13, 1934
18 Bonfield, J. K., "A new DNA sequence assembly program" 23 : 4992-4999, 1995
인공사료와 밀기울로 사육한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의 영양성분 비교분석
곰팡이 생육 및 곰팡이 독소 생산의 억제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역할
암종양유전자 SETDB1과 FosB 발현에 대한 p53의 음성 조절기작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7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