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8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석가일대기에 관한 불교문헌들은 석가여래의 탄생에서 열반에 이르는 80여년의 삶을 오늘날 전해주고 있다. 출가와 구도 및 성도에 이르는 개략적인 내용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세부적인 내...

      석가일대기에 관한 불교문헌들은 석가여래의 탄생에서 열반에 이르는 80여년의 삶을 오늘날 전해주고 있다. 출가와 구도 및 성도에 이르는 개략적인 내용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들어가면 크고 작은 차이들이 존재한다. 남방과 북방 혹은 소승과 대승의 전승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고려말 석가의 일대기를 찬집하고자 했던 운묵 무기의 『석가여래행적송』에서도 여러 가지 문헌들이 전하는 서로 다른 이설들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석존의 출가시기를 둘러싸고 그의 나이가 몇 살이었는지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석존의 출가 이전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문헌에 따라서는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라훌라의 탄생에 관한 후자의 전승은 석존께서 6년 고행 끝에 얻은 깨달음과 라훌라의 탄생을 효과적으로 연관 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승에는 문헌에 따라 야쇼다라가 6년 만에 낳은 아이가 석존의 친아들인가 의심이 제기되었던 일, 이 점을 해명하기 위해 야쇼다라가 불구덩에 뛰어들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했던 일이 삽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극적인 긴장감을 지니고 있는 흥미로운 요소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6년 동안의 임신을 정당화하는 장치로서 라훌라가 모태에 6년간 머물러야 했던 ‘6년 태내설’의 전생담도 라훌라의 탄생설화에 추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전승함에 있어서 어떤 식으로든 허구적 요소의 개입이 불가피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설화들을 여러 문헌에 의거하여 기록하고 있는 『석가여래행적송』은 고려시대 석가일대기의 다양한 전승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ddhist literatures available today on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a describe his life from birth to nirvāna. The basic story related to his leaving hom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similar in all versions, but there are several small...

      The Buddhist literatures available today on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a describe his life from birth to nirvāna. The basic story related to his leaving hom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similar in all versions, but there are several small and large differences in the details when we compare the versions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regions, that is, the Hīnayāna and Mahāyāna. We find many cases of contradiction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釋迦如來行蹟頌』), written by Woonmuk (雲默: date unknown). He was a monk of the Tiantai Sect (天台) of the late Koryo Dynasty (高麗).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a work that concisely describes the life of Buddha and the essence of his teaching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se contradictions, especially regarding the time of the Buddha leaving home and whether Rāhula was born by then or not. It is well known that Rāhula was born before the Buddhas departure from home. However, there are versions mentioning that Rāhula was born the night when the Buddha gained enlightenment. This work effectively relates the Buddhas six years of asceticism and enlightenment attained with Rāhulas birth, but this brings up the irrationality that Yaśodhara had to remain pregnant for six years. To explain this matter, the writers inserted an episode that Yaśodhara jumped into fire to prove her innocence. This must have been an element of dramatic tension added to enhance the moral worth of the story. Moreover, it appears that a series of stories about the previous life of Rāhula was made up as a narrative component to justify the six-year pregnancy. This story about Rāhula being in mothers womb for six years is described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The story of Rāhulas birth and previous life has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Eulogy based on many references. It also reveals many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ha in the late Koryo Dynasty. The value of The Eulogy of S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greatly enhanced due to these reve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서론
      • Ⅱ. 운묵 무기의 기술 태도
      • Ⅲ. 라훌라의 탄생설화
      • Ⅳ. ‘6년 태내설’의 전생담
      • 한글요약
      • Ⅰ. 서론
      • Ⅱ. 운묵 무기의 기술 태도
      • Ⅲ. 라훌라의 탄생설화
      • Ⅳ. ‘6년 태내설’의 전생담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윤길, "한국천태사상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3

      2 "태자서응본기경"

      3 "중허마하제경"

      4 "잡보장경"

      5 "육도집경"

      6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7 이병욱, "운묵의 釋迦如來行蹟頌에 나타난 회통사상연구" 불교학연구회 (창간) : 161-188, 2000

      8 월운스님, "우리말 석가여래행적송" 동문선 2004

      9 "설일체유부파승사"

      10 정봉, "석가여래행적송사기 상 ․ 하" 도서출판 佛泉 2005

      1 서윤길, "한국천태사상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3

      2 "태자서응본기경"

      3 "중허마하제경"

      4 "잡보장경"

      5 "육도집경"

      6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7 이병욱, "운묵의 釋迦如來行蹟頌에 나타난 회통사상연구" 불교학연구회 (창간) : 161-188, 2000

      8 월운스님, "우리말 석가여래행적송" 동문선 2004

      9 "설일체유부파승사"

      10 정봉, "석가여래행적송사기 상 ․ 하" 도서출판 佛泉 2005

      11 학담스님, "석가여래행적송" 조계종출판사 2001

      12 월운스님 현토, "석가여래행적송" 도서출판 佛泉 2002

      13 "석가여래행적송"

      14 "불본행집경"

      15 "범망경"

      16 "마하승기율"

      17 "대지도론"

      18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19 이병욱,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혜안 2002

      20 박소영, "高麗後期 雲默의 『釋迦如來行蹟頌』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21 望月海淑, "羅睺羅をめぐって" 身延山大學佛敎學會 10 : 41-62, 2005

      22 이영자, "無寄의 天台思想-석가여래행적송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3 : 77-103, 1977

      23 楠山春樹, "平川彰博士古稀記念論集" 春秋社 1985

      24 박소영, "天台思想史における『釋迦如來行蹟頌』の文獻學的意義" 천태불교문화연구원 (10) : 259-294, 2007

      25 並川孝儀, "ラーフラ(羅睺羅)の命名と釈尊の出家" 仏教大学総合研究所 17-34, 1997

      26 박소영, "『釋迦如來行蹟頌』に見られる釋迦如來一代記" 叡山学院 118-140, 2008

      27 菅野竜清, "『釈迦譜』引用経典に関する一考察" 立正大学仏教学会 115-145, 1996

      28 "Jātaka. vol.I, Pali Text Socie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5 1.31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