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정아, "코로나-19시대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의 대학수업분석" 인문사회 21 11 (11): 2001-2016, 2020
2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3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9-193, 2021
4 김세영 ; 임유진 ; 김보경 ; 이예경, "코로나 19 상황에서 A대학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 경험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61-189, 2021
5 신인영, "온라인 혼합형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에 대한한국 대학생의 인식과 학업 성취도" 인문사회 21 12 (12): 3067-3080, 2021
6 백이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2) : 59-74, 2020
7 박부남, "예술학부 학생을 위한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영어 수업 효과 비교"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227-250, 2021
8 최정선 ; 권미경 ; 최은경,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9 한송이 ; 이가영,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10 노채환, "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반교어문학회 (56) : 107-129, 2020
1 유정아, "코로나-19시대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의 대학수업분석" 인문사회 21 11 (11): 2001-2016, 2020
2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3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9-193, 2021
4 김세영 ; 임유진 ; 김보경 ; 이예경, "코로나 19 상황에서 A대학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 경험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61-189, 2021
5 신인영, "온라인 혼합형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에 대한한국 대학생의 인식과 학업 성취도" 인문사회 21 12 (12): 3067-3080, 2021
6 백이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2) : 59-74, 2020
7 박부남, "예술학부 학생을 위한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영어 수업 효과 비교"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227-250, 2021
8 최정선 ; 권미경 ; 최은경,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9 한송이 ; 이가영,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10 노채환, "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반교어문학회 (56) : 107-129, 2020
11 최원호 ; 전영국,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1 (1): 1-28, 2020
12 박현진, "동영상 및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부생의 인식 -국어국문학 전공생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9) : 385-417, 2021
13 백상현,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분석" 인문사회 21 12 (12): 2543-2556, 2021
14 강성배, "대학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및 만족도 연구: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5-30, 2021
15 윤지원 ; 박미라, "대학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611-625, 2021
16 "https://www.yna.co.kr/view/AKR20200406168400051(yonhapnews)"
17 "https://mysteryreportage.tistory.com/971#rs"
18 Kang, M. H., "e-Learning Content Design" Seohyunsa Press 2007
19 Reigeluth, C. M., "The elaboration theory : Guidance for scope and sequence decisions" 2 : 425-453, 1999
20 Gagné, R. M.,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9
21 Reigeluth, C., "Elaboration theo-ry,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22 Park, S. I., "Educational technology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ethods" Paju; Kyoyookbook Press 2015
23 Reigeluth, C. M., "Commentary : Elaborating the elaboration theory" 40 (40): 80-86,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