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교수설계전략 탐색 =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Effective Online Class Operation in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5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in the face-to-face transi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cases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sequential instructional design and dynamic instructional design that can be used in online classes were present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ng tools that can be used in synchronous, asynchronous, and hybrid classes were analyzed. Finally, after conducting online classes using sequential instructional design and dynamic instructional design,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comparing lecture evaluation scores. In the course evaluation score consisting of teaching method,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the sequential instructional desig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teaching method and class satisfaction items, while the dynamic instructional design showed higher lecture evaluation scores in the interaction item.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in the face-to-face transi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previou...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in the face-to-face transi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cases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sequential instructional design and dynamic instructional design that can be used in online classes were present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ng tools that can be used in synchronous, asynchronous, and hybrid classes were analyzed. Finally, after conducting online classes using sequential instructional design and dynamic instructional design,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comparing lecture evaluation scores. In the course evaluation score consisting of teaching method,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the sequential instructional desig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teaching method and class satisfaction items, while the dynamic instructional design showed higher lecture evaluation scores in the interaction i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의 팬데믹으로 인해 전면 비대면으로 전환된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교수설계전략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온라인 교수설계전략을 제시하고, 교수설계전략에 적합한 저작도구의 특징을 분석하며, 실제 수업 운영을 통해 교수설계전략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 고찰 및 대학 온라인 수업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순차적 교수설계전략과 역동적 교수설계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시간, 비실시간, 하이브리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교수설계전략을 적용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평가 점수 비교를 통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수업 방법, 상호작용, 수업 만족도 항목으로 구성된 수업 평가에서, 순차적 교수설계전략은 수업 방법과 수업 만족도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역동적 교수설계전략은 상호작용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COVID-19의 팬데믹으로 인해 전면 비대면으로 전환된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교수설계전략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온라인 ...

      본 연구는 COVID-19의 팬데믹으로 인해 전면 비대면으로 전환된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교수설계전략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온라인 교수설계전략을 제시하고, 교수설계전략에 적합한 저작도구의 특징을 분석하며, 실제 수업 운영을 통해 교수설계전략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 고찰 및 대학 온라인 수업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순차적 교수설계전략과 역동적 교수설계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시간, 비실시간, 하이브리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교수설계전략을 적용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평가 점수 비교를 통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수업 방법, 상호작용, 수업 만족도 항목으로 구성된 수업 평가에서, 순차적 교수설계전략은 수업 방법과 수업 만족도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역동적 교수설계전략은 상호작용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정아, "코로나-19시대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의 대학수업분석" 인문사회 21 11 (11): 2001-2016, 2020

      2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3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9-193, 2021

      4 김세영 ; 임유진 ; 김보경 ; 이예경, "코로나 19 상황에서 A대학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 경험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61-189, 2021

      5 신인영, "온라인 혼합형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에 대한한국 대학생의 인식과 학업 성취도" 인문사회 21 12 (12): 3067-3080, 2021

      6 백이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2) : 59-74, 2020

      7 박부남, "예술학부 학생을 위한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영어 수업 효과 비교"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227-250, 2021

      8 최정선 ; 권미경 ; 최은경,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9 한송이 ; 이가영,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10 노채환, "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반교어문학회 (56) : 107-129, 2020

      1 유정아, "코로나-19시대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의 대학수업분석" 인문사회 21 11 (11): 2001-2016, 2020

      2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3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9-193, 2021

      4 김세영 ; 임유진 ; 김보경 ; 이예경, "코로나 19 상황에서 A대학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 경험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61-189, 2021

      5 신인영, "온라인 혼합형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에 대한한국 대학생의 인식과 학업 성취도" 인문사회 21 12 (12): 3067-3080, 2021

      6 백이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2) : 59-74, 2020

      7 박부남, "예술학부 학생을 위한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영어 수업 효과 비교"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227-250, 2021

      8 최정선 ; 권미경 ; 최은경,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9 한송이 ; 이가영,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10 노채환, "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반교어문학회 (56) : 107-129, 2020

      11 최원호 ; 전영국,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1 (1): 1-28, 2020

      12 박현진, "동영상 및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부생의 인식 -국어국문학 전공생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9) : 385-417, 2021

      13 백상현,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분석" 인문사회 21 12 (12): 2543-2556, 2021

      14 강성배, "대학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및 만족도 연구: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5-30, 2021

      15 윤지원 ; 박미라, "대학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611-625, 2021

      16 "https://www.yna.co.kr/view/AKR20200406168400051(yonhapnews)"

      17 "https://mysteryreportage.tistory.com/971#rs"

      18 Kang, M. H., "e-Learning Content Design" Seohyunsa Press 2007

      19 Reigeluth, C. M., "The elaboration theory : Guidance for scope and sequence decisions" 2 : 425-453, 1999

      20 Gagné, R. M.,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9

      21 Reigeluth, C., "Elaboration theo-ry,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22 Park, S. I., "Educational technology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ethods" Paju; Kyoyookbook Press 2015

      23 Reigeluth, C. M., "Commentary : Elaborating the elaboration theory" 40 (40): 80-86,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