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의 탄소규제와 환경정책 =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in the U.K.: A reappraisal of strategies for the green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41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국은 1990년대, 특히 신노동당 정부 이후 지속가능발전 또는 탄소규제를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해왔다. ‘정부를 녹색화’하고자 하는 이러한 영국 환경정책과 더불어 실제 에너지환경지표의 가시적 성과는 ‘저탄소 녹 색성장’을 추구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정책 입안가 및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영국의 탄소규제 전략과 환경정책의 특성을 단순히 정책적 통합화 또는 주류화를 넘어서 새로운 국가발전 전략, 즉 ‘생태적으로 근대화 된’ 국가, ‘생태국가’ 또는 ‘녹색국가’ 전략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즉 최근 영국은 탄소규제를 국가 정책의 통합적 원칙으로 설정하는 한편 주로 시장-의존적 신자유주의에 바탕을 두고 국가 전체를 동원하는 녹색국가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영국의 탄소규제 관련 환경정책의 전개과정을 서술한 후, 탄소규제를 녹색국가 발전을 위한 새로운 원칙이며, 실제 중앙정부 부처들과 지자체들을 통합하기 위한 거버넌스 구축의 바탕이 지만, 신자유주의에 포섭된 것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영국의 이러한 녹색국가 전략의 직·간접적 성과라고 할 수 있는 최근 에너지.환경지표의 동향을 분석하고, 경험적 재평가로서 영국의 에너지 수입의존도 증대, 에너지 혼합에서 석탄 비중의 증가, 전력 생산의 민영화, 재생가능에너지 생산의 한계, 그리고 에너지 이용 및 온실가스 배출의 공간적 불평등 등을 지적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영국은 1990년대, 특히 신노동당 정부 이후 지속가능발전 또는 탄소규제를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해왔다. ‘정부를 녹색화’하고자 하는 이러한 영국 환경정책과 더불어 실제 에너...

      영국은 1990년대, 특히 신노동당 정부 이후 지속가능발전 또는 탄소규제를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해왔다. ‘정부를 녹색화’하고자 하는 이러한 영국 환경정책과 더불어 실제 에너지환경지표의 가시적 성과는 ‘저탄소 녹 색성장’을 추구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정책 입안가 및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영국의 탄소규제 전략과 환경정책의 특성을 단순히 정책적 통합화 또는 주류화를 넘어서 새로운 국가발전 전략, 즉 ‘생태적으로 근대화 된’ 국가, ‘생태국가’ 또는 ‘녹색국가’ 전략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즉 최근 영국은 탄소규제를 국가 정책의 통합적 원칙으로 설정하는 한편 주로 시장-의존적 신자유주의에 바탕을 두고 국가 전체를 동원하는 녹색국가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영국의 탄소규제 관련 환경정책의 전개과정을 서술한 후, 탄소규제를 녹색국가 발전을 위한 새로운 원칙이며, 실제 중앙정부 부처들과 지자체들을 통합하기 위한 거버넌스 구축의 바탕이 지만, 신자유주의에 포섭된 것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영국의 이러한 녹색국가 전략의 직·간접적 성과라고 할 수 있는 최근 에너지.환경지표의 동향을 분석하고, 경험적 재평가로서 영국의 에너지 수입의존도 증대, 에너지 혼합에서 석탄 비중의 증가, 전력 생산의 민영화, 재생가능에너지 생산의 한계, 그리고 에너지 이용 및 온실가스 배출의 공간적 불평등 등을 지적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ment of the UK since the 1990, especial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has pursued sustainable development or carbon control as a core strategy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The seemingly prominent environmental policy for ‘greening the government`` of the UK as well as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energy and environment indic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s of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see the character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in the UK not merely as the integrating or mainstreaming policy but a new strategy for national development, that is, for the ``ecologically modernized`` state, eco-state, or green state. It defines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carbon control in the UK as the strategy for the green state which has provided it as a principal guide for integrating national policies as a whole, and which has pursued it through market-dependent neoliberal measur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main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government in the UK, and gives a reappraisal of both its policy and of energy-environment indices.
      번역하기

      The government of the UK since the 1990, especial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has pursued sustainable development or carbon control as a core strategy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The seemingly prominent environmental policy for ‘greening the gov...

      The government of the UK since the 1990, especial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has pursued sustainable development or carbon control as a core strategy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The seemingly prominent environmental policy for ‘greening the government`` of the UK as well as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energy and environment indic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s of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see the character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in the UK not merely as the integrating or mainstreaming policy but a new strategy for national development, that is, for the ``ecologically modernized`` state, eco-state, or green state. It defines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carbon control in the UK as the strategy for the green state which has provided it as a principal guide for integrating national policies as a whole, and which has pursued it through market-dependent neoliberal measur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main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government in the UK, and gives a reappraisal of both its policy and of energy-environment indi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수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25-144, 2007

      2 최병두,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1) 자연과 자본축적 간 관계" 사회과학연구원 6 (6): 10-56, 2009

      3 Harriss-White, B., "자연과 타협하기" 필맥 2007

      4 한상운, "영국의 통합환경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 (6): 1-32, 2007

      5 곽병훈, "영국의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분석: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6 (16): 89-122, 2012

      6 황병상, "영국의 저탄소 성장정책과 시사점" 2010

      7 정지호, "영국의 기후변화 정책 및 시사점" 2 : 41-56, 2009

      8 김동현, "영국의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CCRA 2012)와 정책적 의미" 16 (16): 1-8, 2012

      9 김유정, "영국의 기후변화 대응체계와 적용사례 연구 - 런던과 사우스이스트 지역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1 (11): 111-130, 2010

      10 김지현, "영국의 국가발전전략으로서 지속가능발전의 성과와 한계" 한국환경사회학회 11 (11): 121-158, 2007

      1 서수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25-144, 2007

      2 최병두,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1) 자연과 자본축적 간 관계" 사회과학연구원 6 (6): 10-56, 2009

      3 Harriss-White, B., "자연과 타협하기" 필맥 2007

      4 한상운, "영국의 통합환경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 (6): 1-32, 2007

      5 곽병훈, "영국의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분석: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6 (16): 89-122, 2012

      6 황병상, "영국의 저탄소 성장정책과 시사점" 2010

      7 정지호, "영국의 기후변화 정책 및 시사점" 2 : 41-56, 2009

      8 김동현, "영국의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CCRA 2012)와 정책적 의미" 16 (16): 1-8, 2012

      9 김유정, "영국의 기후변화 대응체계와 적용사례 연구 - 런던과 사우스이스트 지역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1 (11): 111-130, 2010

      10 김지현, "영국의 국가발전전략으로서 지속가능발전의 성과와 한계" 한국환경사회학회 11 (11): 121-158, 2007

      11 윤순진, "영국과 독일의 기후변화정책" 한국환경사회학회 11 (11): 43-95, 2007

      12 양도식, "영국 도시계획체계의 개혁과 새로운 자치구계획 LDFs이 시사점" (344) : 104-113, 2010

      13 최병두, "신자유주의적 에너지정책과‘녹색성장’의 한계" 대한지리학회 45 (45): 26-48, 2010

      14 정문주, "기후변화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영국노총(TUC)의 대응활동" 21-, 2010

      15 박창석,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주요 전략과 사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77 (77): 2012

      16 김명심, "기후게이트(Climategate)와 기후과학 논쟁 -환경과학 거버넌스에의 함의" 한국환경사회학회 15 (15): 155-199, 2011

      17 송은희, "그린 오션(Green Ocean) 국가전략에 관한 연구 - 유럽의 녹색성장관련 법률을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회 20 (20): 229-254, 2010

      18 Agyeman, J., "‘Just sustainability’: the emerging discourse of environmental justice in Britain?" 170 (170): 155-164, 2004

      19 Fudge,S., "isk, governance and community: a “reinvention of politics” or political opportunism'" 2011

      20 North, P., "Unsustainable urbanism? cities, climate change and resource depletion: A Liverpool case study" 4 (4): 1377-1391, 2010

      21 Lehmann, S., "Transforming the city for sustainability: The principles of green urbanism" 6 (6): 104-113, 2011

      22 Bailey, I., "Theorising transitional pathway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echnocentrism, ecocentrism, and the carbon economy" 41 : 2324-2341, 2009

      23 Vidal. J., "The year the world woke up"

      24 Russel, D., "The politic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UK government: what role for integrated policy appraisal?" 27 (27): 340-354, 2009

      25 Jonas, A.E.G., "The new urban politics as a politics of carbon control" 48 (48): 2537-2554, 2011

      26 While, A., "The environment and the entrepreneurial city: searching for the urban ‘sustainability fix’ in Manchester and Leeds" 28 (28): 549-569, 2004

      27 Stern, S.N., "The Stern Review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HM Treasury 2006

      28 Jessop, B., "The Future of the Capitalist State" Polity Press 2002

      29 DTI,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30 DECC, "Statistical release(28 March)"

      31 Osborne, D., "Some reflections on UK environmental policy 1970-1995" 9 (9): 3-22, 1997

      32 DECC, "Planning our electric future: A White Paper for secure, affordable and lowcarbon electricity"

      33 오동현, "OECD 회원국의 녹색지수 측정을 통한 녹색정책방향 도출" 한국환경경제학회 21 (21): 683-716, 2012

      34 Carter, N., "New Labour, New Environment? An Analysis of the Labour Government's Policy on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Loss" Friends of the Earth 2007

      35 Bailey, I., "Neoliberalism, climate governance and the scalar politics of EU emissions trading" 39 : 431-442, 2007

      36 Castree, Noel, "Neoliberalising nature: the logics of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 40 (40): 131-152, 2008

      37 Castree, Noel, "Neoliberalising nature: processes, effects and evaluations" 40 (40): 153-173, 2008

      38 Wilson, E., "Multiple scales for environmental intervention: spatial planning and the environment under New Labour" 24 (24): 119-138, 2009

      39 Bailey, I., "Market environmentalism, new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s, and climate policy in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97 (97): 530-550, 2006

      40 Lever, J., "Mainstreaming Regeneration" ODPM 2005

      41 Lebel,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Development Planing"

      42 DECC, "Local Authority CO2 Emissions Estimates 2010: Statistical Summary and UK Maps (23 August)"

      43 Swyngedouw E., "Impossible ‘sustainability’ and the post-political condi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Guilford Press 13-40, 2007

      44 Newman, P., "Green urbanism and its application to Singapore" 1 (1): 149-170, 2010

      45 Beatley, T., "Green Urbanism: Learning from European Cities" Island Press 2000

      46 Meadowcroft, J., "From welfare state to eco-state?, In The State and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MIT Press 3-24, 2005

      47 While, A.,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to carbon control: eco-state restructuring and the politics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35 (35): 76-93, 2010

      48 Jackson, T., "Environmental policy under New Labour" 25 (25): 510-522, 2010

      49 Levett-Therivel Sustainability Consultant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nglish Regional Strategies" Friends of the Earth 2007

      50 Murphy, J., "Editorial" 3 (3): 1-8, 2000

      51 Revell, A., "Ecological modernization in the UK: rhetoric or reality?" 15 : 344-361, 2005

      52 Pepper, D., "Ecological modernisation or the ‘ideal mod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Questions promoted at Europe's periphery" 8 (8): 1-34, 1999

      53 Lovell, H., "Converging agendas? energy and climate change policies in the UK" 27 : 90-109, 2009

      54 Krueger, R., "Competitive global city regio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 interpretive institutionalist account in the South East of England" 42 : 821-837, 2010

      55 Mansfield, B., "Beyond rescaling: reintegrating the ‘'national’' as a dimension of scalar relations" 29 : 458-473, 2005

      56 DERT, "A Better Quality of Life: A Strate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United Kingdom, Lond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