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30 소비자 확장을 위한 아이트래커 활용 막걸리 용기 및 라벨 디자인 요소 연구 = 국내 대중 주류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3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민족주류인 막걸리 산업은 다른 수입 주류들에 비하여 시장규모가 과거와 비교하여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막걸리의 새로운 2030세대 소비자 확장을 위하...

      현재 민족주류인 막걸리 산업은 다른 수입 주류들에 비하여 시장규모가 과거와 비교하여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막걸리의 새로운 2030세대 소비자 확장을 위하여, 구매 시 소비자의 인식 정보에 대한 시각적 이해도를 향상시켜 구매 촉진을 유도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소비자의 막걸리 구매동기 및 시각적 경험의 우위 요소 분석을 통하여 용기 및 라벨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막걸리의 역사와 특징에 대한 문헌 자료들을 조사 하였다. 둘째, 목적하는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막걸리 구매 동기 등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030세대 소비자 대다수는 높은 탁도를 회피 하고 낮은 탁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으나, 탁도 분류에 대한 시각적 정보가 충분치 않음으로 막걸리 자체의 구입을 주저하는 구매 행동을 발견 하였다. 셋째, 그에 따라 용기 및 라벨디자인에 대한 국내 주요 대중 브랜드의 사례를 분석 하여 디자인적으로 시각 정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여. 넷째, 이를 근거로 안구 내 동공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하여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구매 시 소비자의 시각반응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 막걸리 구매 시 2030세대에게 부정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주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탁도에 대한 정보가 없음으로, 구입한 제품이 높은 탁도를 가진 제품일 수 도 있다는 우려감에 막걸리 자체의 구입을 주저하는 소비자를 위하여 탁도 분류에 대한 시각적 표기 제시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 대중 주요 브랜드 중 소비자의 세분화된 기호를 위하여 크게 도수, 맛, 재료 원산지를 분류하여 용기 및 라벨디자인에 시각적 차별화를 둔 3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브랜드의 통일성을 위해 용기 디자인의 형태 및 색상을 일치시키고, 같은 제품 군 내 분류 기준에 맞춰 용기 디자인의 뚜껑 색상과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 형태 및 색상에 변화를 주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시각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한 2030세대 소비자들은 직관적인 시각적 인지 우위 요소로, 차별화된 용기디자인의 뚜껑 색상과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 형태변화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비하여 일정한 색상과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요소는 빠른 정보처리를 통해 짧은 시간 내 시선이 지나가는 것을 발견하였다. 시각적 정보 이해도가 높은 요소로는 용기디자인보다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와 타이포그래피로 측정 되었다.
      일러스트에 분류 기준 정보가 담겨있는 경우 타이포그래피보다 빠른 시각적 이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러스트에 분류 정보가 없는 경우 타이포그래피에 시선 응시를 추가로 진행하여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앞으로 막걸리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있어 소비자 확장을 위하여 다양한 맛, 취향, 탁도, 용기의 형태 등을 고려하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 하지만, 본 연구가 침체 되어가는 막걸리 판매의 성장을 위한 하나의 방법적 제시를 보여주는 기초 자료로 활용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market size of the national Makgeolli industry to the past is decreasing rapidly compared with imported alcohol beverage’s market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purchase promotion by enhancing visual elements understan...

      The current market size of the national Makgeolli industry to the past is decreasing rapidly compared with imported alcohol beverage’s market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purchase promotion by enhancing visual elements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ve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ing for extending Makgeolli’s new 2030 generation consumer.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suggest the developing direction of container and label design through analyzing factors of consumer’s Makgeolli purchase motivation and visual experience.
      As a method of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 literature data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econdly, the questionnaire survey to target consumers was conducted on the motivations for purchasing Makgeolli. Most of 2030 generation consumers tended to avoid high turbidity and prefer low turbidity but there was not enough visual information about turbidity classification and the purchase decision is hesitated to get the Makgeolli itself.
      Thirdly, by analyzing the cases of domestic major brands for container and label design, we set up scope to improve visual information in design.
      Fourth, based on this, ey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rack the movement of pupils in the eyebal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onsumer’s visual response during purch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in factors that cause negative effects on 2030 generations when buying makkolli, and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urbidity, so most of young consumers tend to avoid to mageoli itself because they usually concern that purchased product may be a product with high turbid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isual notation for turbidity classification.
      Three major examples of visual differentiation in container and label design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alcohol proof, taste, and origin of materials for the consumer’s subtle preferences among major domestic brands. In order to ensure the uniformity of the brand, the form and color of the container design were matched, and the shape of the lid of the container design and the shape and color of the label design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n the same product group. Based on this, ey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visual respons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the 2030 generation consumers who have conducted the eye tracking experiment paid attention more on the lid color of the differentiated container design and the change of the illustration form of the label design as the intuitive visual perception advantage factor. In contrast, the elements maintaining a certain color and shape have been found to pass through the eyes in a short time through quick information processing. It was measured that Illustration and typography of label design rather than container design elements was more effective to be understood of visual information.
      It is analyzed that the illustration contains information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s understood quickly than the typography, and when there is no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the illustration, it takes more time to proceed with the additional gaze to the typograph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s considering the various flavor, taste, turbidity, container shape in order to expand the consumers for promotion of Makgeolli products and service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 development process for the growth of Makgeolli sales, we expect this research is used as basic data showing a methodological research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막걸리의 브랜드 현황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막걸리의 브랜드 현황
      • Ⅳ. 주류 용기 및 라벨 디자인 사례
      • Ⅴ. 아이트래킹(Eye Tracking)
      • Ⅵ. 결론
      • Refer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