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고에서는 『東醫寶鑑』에 인용되어 있는 자료와 그 내용을 통하여 『동의보감』이 수용하여 종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동의보감』을 통하여 우주본체론을 살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08630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5-135(41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고에서는 『東醫寶鑑』에 인용되어 있는 자료와 그 내용을 통하여 『동의보감』이 수용하여 종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동의보감』을 통하여 우주본체론을 살펴...
본 논고에서는 『東醫寶鑑』에 인용되어 있는 자료와 그 내용을 통하여 『동의보감』이 수용하여 종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동의보감』을 통하여 우주본체론을 살펴본 것은 최근 분석심리학이나 인지과학등의 분야에서 서양 사상의 단자론적인 이원론을 비판하고 동양 사상이 가지고 있는 유기적이고 합일적인 우주론으로 보고자 하는 요구가 있는 것과 관계가 있다. 서양은 고대에서 근대로 넘어 오면서 사람의 몸과 우주에 관한 관점이 바뀌었지만 동양은 고대에서 근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도 그 기본이 되는 天人相通論에는 변함이 없지만 우주본체에 대한 관점은 종교적 철학적 영향으로 시대에 따라 전환되어 간다. 『동의보감』에는 동양사상의 천인상통론을 기본적인 논리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시대에 따라 전환되어 가는 관점을 모두 수용하여 유기적으로 종합하고 있다. 『동의보감』이 수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은 그 인용서를 통하여 해석할 수 있다. 그 인용서 가운데 각 시대의 우주본체론를 내함하고 있는 대표적 서적으로는 漢代의 『黃帝內經』과 『易緯 ㆍ乾鑿度』, 위진남북조 시기의 『黃庭經』, 宋代陳顯微의 『周易參同契解』와 兪琰의 『易外別傳』, 明代에 정리된 『金丹正理大全』등을 들 수 있다.
논자는 인용서들을 통하여 살펴본 우주본체론의 변화를 두 가지 체계로 해석해 본다. 그 하나는 易의 논리체계이고 다른 하나는 氣의 논리체계이다. 우선 易의 논리체계로 해석하면 『건착도』의 太易說을 인용하여 자연의 기본적인 운행법칙을 괘기설로 설명한다. 괘획은 陰陽二氣의 변화로 그려지고 괘효의 변화는 절기의 변화를 체현하기 위하여 표현된다. 또 ‘一闔一闢의 變’의 논리로 易이 변화의 근원이 됨을 말하고 『주역참동계』를 인용하여 괘효의 논리로써 內丹을 말한다.
다음 氣의 논리체계로 보면 각 시대의 우주본체론은 漢代의 『黃帝內經』을 통한 氣論, 위진남북조 시기의 『黃庭經』을 통한 神論, 宋元代의 心論 등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이론들이 동의보감을 통하여 유기적으로 종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의보감』이 동양의 우주본체론을 유기적이고 종합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것을 탐색하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서양의 이분법적 사고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해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老子道德經"
2 FRITJOF CAPRA,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범양사 1979
3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 1999
4 廖名春,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1994
5 이죽내, "융심리학과 동양사상" 하나醫學社 2005
6 蔡璧名, "신체와 자연 - 黃帝內經소문을 중심으로-" 國立臺灣大學文史 民86
7 이정모, "신경적 설명과 마음개념의 재구성 : 인지과학의 새 움직임의 의의" 한국심리학회
8 湯淺泰雄, "몸과 우주" 지식산업사 2004
9 홍원식, "동양의학과 『黃帝內經』" 범양사 (5) : 1993
10 김승혜, "도교 상청파의 생명관 - 『黃庭內景經』을 중심으로-" 12 : 1998
1 "老子道德經"
2 FRITJOF CAPRA,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범양사 1979
3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 1999
4 廖名春,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1994
5 이죽내, "융심리학과 동양사상" 하나醫學社 2005
6 蔡璧名, "신체와 자연 - 黃帝內經소문을 중심으로-" 國立臺灣大學文史 民86
7 이정모, "신경적 설명과 마음개념의 재구성 : 인지과학의 새 움직임의 의의" 한국심리학회
8 湯淺泰雄, "몸과 우주" 지식산업사 2004
9 홍원식, "동양의학과 『黃帝內經』" 범양사 (5) : 1993
10 김승혜, "도교 상청파의 생명관 - 『黃庭內景經』을 중심으로-" 12 : 1998
11 이원국, "내단"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12 "黄庭經"
13 "黃帝內經"
14 "金丹正理大全"
15 "莊子"
16 "淮南子"
17 성호준, "東醫寶鑑의 철학적연구" 성균관대학교 2001
18 김남일, "東醫寶鑑을 통해 살펴본 허준의 의학사상" 한국주역학회 4 :
19 박성규, "東醫寶鑑을 통해 살펴본 허준의 人間觀" 경희대학교 2009
20 "東醫寶鑑"
21 "易緯 乾鑿度"
22 "易緯 乾坤鑿度"
23 朱伯崑, "易學哲學史" 崑崙출판사 2005
24 權克仲, "易契"
25 兪琰, "易外别傳"
26 李今庸, "新編黃帝內經綱目"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4
27 장원목, "性理學 本體論의 形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8 "太平經"
29 "天仙正理"
30 "周易折中"
31 陳顯微, "周易參同契解"
32 "周易"
33 曾傳輝, "元代參同學" 종교문화출판사 2004
34 牟鐘鑒, "中國道敎" 廣東人民出版社 1996
35 이봉호, "『老子想爾注』의 世間僞伎와 結精成神" 한국도교문화학회 (30) : 138-159,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665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