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자지도의 위치정보 표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0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 수치지도 제작시 축척에 따라 적용되는 지형 ․지물 속성 목록을 분석하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한국향토문 화전자대전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상세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전자지도를 통해 전달할 때 효과적일 수있는 전자지도 속성 정보 표현 기준을 제시하였다.수치지도Ver 2.0의 기준에 따라 1차 지리정보 수집 가능 대상에 해당하는 유형으로는 기관단체, 식물(보호수), 유물, 유적, 지명과 같은 직접적인 위치 정보 확인이 가능한 유형이 주로 그 대상이 되었다. 이 밖의 유형은 지도 제작자가 관련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표시해야 하는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유형 내에서도 속성에 따라 축척별로 표현기법이 다르게 적용되도록 분류 하였다.이때 기준은 수치지도Ver 2.0의 지형 ․지물 속성 목록과 수치지도작성작 업내규를 기준으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였다.그 결과 각 유형에 해당하는 세부 속성별로1:5,000 축척에서 는 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건물이 해당하였다. 또한 1:5,000 축척에서는 점과 면으로 표현되고 지도 의 축소에 의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묘, 고분, 비, 탑 등의 문화재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자지도의 축척과 지도상에 표현되는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자문화지도와 관련된 지리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하학적 분류 체계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문화적 정보가 기존의 기본 지도 위에 표현되던 전자문화지도에 각 내용별로 다양한 표현기법을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화 하였으며, 앞으로 전자문화지도를 구현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유형별 기하학적 표현 체계를 구체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 수치지도 제작시 축척에 따라 적용되는 지형 ․지물 속성 목록을 분석하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한국향토문 화전자대전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상세 유형별로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 수치지도 제작시 축척에 따라 적용되는 지형 ․지물 속성 목록을 분석하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한국향토문 화전자대전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상세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전자지도를 통해 전달할 때 효과적일 수있는 전자지도 속성 정보 표현 기준을 제시하였다.수치지도Ver 2.0의 기준에 따라 1차 지리정보 수집 가능 대상에 해당하는 유형으로는 기관단체, 식물(보호수), 유물, 유적, 지명과 같은 직접적인 위치 정보 확인이 가능한 유형이 주로 그 대상이 되었다. 이 밖의 유형은 지도 제작자가 관련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표시해야 하는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유형 내에서도 속성에 따라 축척별로 표현기법이 다르게 적용되도록 분류 하였다.이때 기준은 수치지도Ver 2.0의 지형 ․지물 속성 목록과 수치지도작성작 업내규를 기준으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였다.그 결과 각 유형에 해당하는 세부 속성별로1:5,000 축척에서 는 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건물이 해당하였다. 또한 1:5,000 축척에서는 점과 면으로 표현되고 지도 의 축소에 의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묘, 고분, 비, 탑 등의 문화재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자지도의 축척과 지도상에 표현되는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자문화지도와 관련된 지리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하학적 분류 체계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문화적 정보가 기존의 기본 지도 위에 표현되던 전자문화지도에 각 내용별로 다양한 표현기법을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화 하였으며, 앞으로 전자문화지도를 구현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유형별 기하학적 표현 체계를 구체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nvestigator first analyzed the topography and terrain objects applied to the scale when making a general numerical map in terms of attribute lists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Korean Local Culture Grand Electronic Encyclopedia in detailed types. Using the results, I suggested a set of display criteria for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gital map that can be effective when being delivered through such a map.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Numerical Map Ver. 2.0, the objects of primary geographical information gathering included institutions, organizations, plants(nurse rees), artifacts, relics, geographical destinations, and others that could be checked directly in terms of information of location. The oth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items that should be displayed by a cartographer after gathering concerned information of location. Once they're categorized in that way, they underwent further categorization according to scales by the ttributes so that the display techniques involved would differ. Employed in the process were the topography and terrain objects lists of the Numerical Map Ver. 2.0 and the bylaws of numerical map making. As a result, buildings were displayed in sides in a scale of 1:5,000 and in dots in a scale of 1:25,000. And graves, ancient tombs, monuments, and pagodas were displayed in both sides and dots in a scale of 1:5,000 and in dots in a scale of 1:25,000. The results provided useful hints to sort out geometric categorization systems with which to effectively display geographic information related to an electronic culture map by considering the scale of a digital map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on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showed in details that cultural information could be displayed on an electronic culture map in diverse techniques by the contents and suggested a concrete geometric display system by the types to consider when making an electronic culture map.
      번역하기

      This investigator first analyzed the topography and terrain objects applied to the scale when making a general numerical map in terms of attribute lists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Korean Local Culture Grand Electronic Encyclopedia in detailed types...

      This investigator first analyzed the topography and terrain objects applied to the scale when making a general numerical map in terms of attribute lists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Korean Local Culture Grand Electronic Encyclopedia in detailed types. Using the results, I suggested a set of display criteria for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gital map that can be effective when being delivered through such a map.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Numerical Map Ver. 2.0, the objects of primary geographical information gathering included institutions, organizations, plants(nurse rees), artifacts, relics, geographical destinations, and others that could be checked directly in terms of information of location. The oth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items that should be displayed by a cartographer after gathering concerned information of location. Once they're categorized in that way, they underwent further categorization according to scales by the ttributes so that the display techniques involved would differ. Employed in the process were the topography and terrain objects lists of the Numerical Map Ver. 2.0 and the bylaws of numerical map making. As a result, buildings were displayed in sides in a scale of 1:5,000 and in dots in a scale of 1:25,000. And graves, ancient tombs, monuments, and pagodas were displayed in both sides and dots in a scale of 1:5,000 and in dots in a scale of 1:25,000. The results provided useful hints to sort out geometric categorization systems with which to effectively display geographic information related to an electronic culture map by considering the scale of a digital map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on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showed in details that cultural information could be displayed on an electronic culture map in diverse techniques by the contents and suggested a concrete geometric display system by the types to consider when making an electronic culture ma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 II. 다축척 변환에 따른 위치정보 표현변화
      • 1. 지도 일반화의 목적
      • 2. 축척별 위치정보 표현 기준
      • III.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자지도 분석
      • 1. 전자문화지도의 개념과 연구동향
      • 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자지도의 콘텐츠 분석
      • IV. 분류 유형에 따른 표현기법의 구조화
      • 1.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 적용이 가능한 유형
      • 2.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 적용이 불가능한 유형
      •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