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태영성 탐구 - 창조세계를 책으로 실행하는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는 가능한가?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8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직면한 생태위기가 기독교 영성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며, 생태적 영성훈련에 대한 탐구로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하는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를 제안하였다. 기독교영성에서 렉시오 디비나는 오래된 기독교 영성훈련으로 성경말씀으로 드리는 기도이다. 또한 창조세계는 거룩 한 책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영성훈련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 둘을 통합 하여 창조세계를 책으로 하는 렉시오 디비나를 제안하였다.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생태위기가 영성의 위기임을 지적하고 생태영성의 공헌 을 탐구하였다. 연구자는 생태영성이 현재 직면한 위기를 대면하게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제 공하며, 또한 인간의 근본적인 의식을 변혁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둘째,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수행하는 렉시오 디비나 영성훈련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연구자는 창조세계를 거 룩한 책으로 이해한 두 권의 책(Two Books) - 성경과 창조세계라는 책-전통을 제시하였다. 또한 창조 세계를 하나님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자연관상(theoria physike)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생태적 렉시오 디 비나에 대한 영성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자는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이해하며 수행하는 생태적 렉시오 디비나의 실제를 제안 하였다. 이를 통해 생태적 자폐증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는 생태적 감수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기독교영성에 뿌리를 두고 생태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이들에게 보다 깊은 영적 심리 적 힘을 제공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재 직면한 생태위기가 기독교 영성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며, 생태적 영성훈련에 대한 탐구로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하는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를 제안하였다. 기독...

      본 연구는 현재 직면한 생태위기가 기독교 영성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며, 생태적 영성훈련에 대한 탐구로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하는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를 제안하였다. 기독교영성에서 렉시오 디비나는 오래된 기독교 영성훈련으로 성경말씀으로 드리는 기도이다. 또한 창조세계는 거룩 한 책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영성훈련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 둘을 통합 하여 창조세계를 책으로 하는 렉시오 디비나를 제안하였다.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생태위기가 영성의 위기임을 지적하고 생태영성의 공헌 을 탐구하였다. 연구자는 생태영성이 현재 직면한 위기를 대면하게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제 공하며, 또한 인간의 근본적인 의식을 변혁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둘째,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수행하는 렉시오 디비나 영성훈련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연구자는 창조세계를 거 룩한 책으로 이해한 두 권의 책(Two Books) - 성경과 창조세계라는 책-전통을 제시하였다. 또한 창조 세계를 하나님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자연관상(theoria physike)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생태적 렉시오 디 비나에 대한 영성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자는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이해하며 수행하는 생태적 렉시오 디비나의 실제를 제안 하였다. 이를 통해 생태적 자폐증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는 생태적 감수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기독교영성에 뿌리를 두고 생태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이들에게 보다 깊은 영적 심리 적 힘을 제공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ntext of ecological crisis besetting us now,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n ecological practice of Christian spirituality that can contribute to raise an ecological sensitivity. Among many contemplative prayers, this research discloses lectio divina, or contemplative reading with the Book of Creation. By combining lectio divina which is an ancient Christian spiritual practice being rediscovered and reclaimed in our time with the Book of Creation tra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Christians understand the rest of creation as a sacred book which is a source for lectio divina. This present paper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argues that the current ecological is the spiritual crisis so that we need an ecological practice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second section, I examine and rediscover the Two Books tradition (the Book of Bible and the Book of Creation) and contemplation of nature (theoria physike) to support lectio divina with nature. I provide many evidences, from a Psalmist to contemporary eco-theologians, that God wrote the Book of Creation besides the Book of Scripture. I also reexamine contemplation of nature, in which we reawaken to the importance of creation in Christian spirituality. The final section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outline of lectio divina with the book of creation. This practice has four steps: lectio, meditatio, oratio, and contemplatio. Through this practice, I hope to raise an ecological sensitivity as well as an ecological hope rooted in a communion of subjects among God, the rest of creation, and humanity.
      번역하기

      In the context of ecological crisis besetting us now,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n ecological practice of Christian spirituality that can contribute to raise an ecological sensitivity. Among many contemplative prayers, this research discloses lect...

      In the context of ecological crisis besetting us now,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n ecological practice of Christian spirituality that can contribute to raise an ecological sensitivity. Among many contemplative prayers, this research discloses lectio divina, or contemplative reading with the Book of Creation. By combining lectio divina which is an ancient Christian spiritual practice being rediscovered and reclaimed in our time with the Book of Creation tra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Christians understand the rest of creation as a sacred book which is a source for lectio divina. This present paper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argues that the current ecological is the spiritual crisis so that we need an ecological practice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second section, I examine and rediscover the Two Books tradition (the Book of Bible and the Book of Creation) and contemplation of nature (theoria physike) to support lectio divina with nature. I provide many evidences, from a Psalmist to contemporary eco-theologians, that God wrote the Book of Creation besides the Book of Scripture. I also reexamine contemplation of nature, in which we reawaken to the importance of creation in Christian spirituality. The final section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outline of lectio divina with the book of creation. This practice has four steps: lectio, meditatio, oratio, and contemplatio. Through this practice, I hope to raise an ecological sensitivity as well as an ecological hope rooted in a communion of subjects among God, the rest of creation, and huma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생태위기 – 영성의 위기인가?
      • II.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 1. 창조세계가 거룩한 책이라는 전통
      • 2. 자연관상 (Theoria Physike)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생태위기 – 영성의 위기인가?
      • II. 창조세계를 거룩한 책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 1. 창조세계가 거룩한 책이라는 전통
      • 2. 자연관상 (Theoria Physike)
      • 3. 반론: 성경인가? 아니면 창조세계인가?
      • III. 창조세계를 통한 렉시오 디비나 수행
      • 1. 창조세계를 책으로 하는 렉시오 디비나 실재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말테, "현 생태학적 위기 속에서의 창조 보전을 위한 교회의 책임" 한국실천신학회 (18) : 145-182, 2009

      2 에바그리우스, "프락티코스 : 수행생활에 관한 가르침" 분도출판사 2011

      3 데레사, "천주자비의 글" 분도 2002

      4 베리, 토마스, "지구의 꿈" 대화 2013

      5 스윔, 브라이언, "우주이야기" 대화 2010

      6 권정생, "우리들의 하나님" 녹색평론사 2008

      7 베리, 토마스, "신생대를 넘어서 생태대로" 에코조익 2006

      8 허성준, "수도 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 분도 2003

      9 윤인중, "솔숲에서 띄우는 편지" 동연 2008

      10 라우스, 앤드루, "서양 신비사상의 기원 : 플라톤에서 디오니시우스까지" 분도 2001

      1 이말테, "현 생태학적 위기 속에서의 창조 보전을 위한 교회의 책임" 한국실천신학회 (18) : 145-182, 2009

      2 에바그리우스, "프락티코스 : 수행생활에 관한 가르침" 분도출판사 2011

      3 데레사, "천주자비의 글" 분도 2002

      4 베리, 토마스, "지구의 꿈" 대화 2013

      5 스윔, 브라이언, "우주이야기" 대화 2010

      6 권정생, "우리들의 하나님" 녹색평론사 2008

      7 베리, 토마스, "신생대를 넘어서 생태대로" 에코조익 2006

      8 허성준, "수도 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 분도 2003

      9 윤인중, "솔숲에서 띄우는 편지" 동연 2008

      10 라우스, 앤드루, "서양 신비사상의 기원 : 플라톤에서 디오니시우스까지" 분도 2001

      11 권명수, "매튜 폭스의 생태 영성 의례의 시도-‘우주 그리스도 예식’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14) : 105-139, 2008

      12 비앙키, 엔조, "말씀에서 샘 솟는 기도" 분도 2001

      13 나우웬, 헨리, "로마의 어릿광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0

      14 박노권, "렉시오 디비나를 통한 영성훈련 : 심리적 치유와의 관계 분석" 한들 2008

      15 김준우, "기후붕괴의 현실과 전망 그리고 대책" 한국기독교연구소 2012

      16 베리, 토마스, "그리스도교의 미래와 지구의 운명" 바오로딸 2011

      17 St. Augustine, De. Civit. Dei, "그리스도교의 미래와 지구의 운명" 바오로딸 2011

      18 조현철, "그리스도교 생태영성을 찾아서: 성서의 생태적 이해" 한국신학연구소 (149) : 93-125, 2010

      19 오방식, "관상기도의 현대적 이해" 30 : 271-310, 2007

      20 강치원, "『베네딕트 규칙서』에 나타난렉시오 디비나" 세계선교연구원 (19) : 187-220, 2007

      21 Pedersen, Olaf, "Two Books : Historical Notes on Some Interactions between Natural Science asnd Theology" Vatican Observatory 2007

      22 Luther, Martin, "To See a World in a Grain of Sand" C. R. Gibson Company 1972

      23 St. Bonaventure. Breiloquium, "The Works of Bonaventure. Vol II" St. Anthony 1963

      24 Bruno Scott James, "The Letters of Bernard of Clairvaux" Burns & Oates 1953

      25 McKibben, Bill, "The End of Nature" Random House 1997

      26 Keating, Thomas, "The Classical Monastic Practice of Lectio Divina"

      27 Steffen, Will., "The Anthropocene: conceptu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842-867, 2011

      28 King, Ursula, "One Planet, One Spirit: Searching for an Ecologically Balanced Spirituality" 10 (10): 2005

      29 McDaniel, Jay, "Of God and Pelicans : A Theology of Reverence for Lif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89

      30 Schroth, Raymond, "Jesuit spirit in a time of change" Newman Press 1968

      31 Merton, Thomas, "Inner Experience of Love : Notes on Contemplation" HarperCollins 2004

      32 White, Lynn. Jr,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 Crisis" 155 : 1203-1207, 1967

      33 Taylor, Bron,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cology" Continuum 2005

      34 Cummings, Charles, "Eco-Spirituality : Towards a Reverent Life, Mahwah" Paulist Press 1991

      35 Hull, Fritz, "Earth & Spirit: The Spiritual Dimension of the Environmental Crisis" Continuum 1993

      36 "Confession of Faith"

      37 Cawley, Martinus, "Bernard of Clairvaux: Early Biographies. vol. 1" Guadalupe Translations 1990

      38 Irenaeus of Lyons, "Against Heresies, from Office of Readings" St. Paul 1983

      39 Dysinger, Luke, "Accepting the Embrace of God: the Ancient Art of Lectio Divina"

      40 Eliade, Mircea, "A History of Religious Ideas. Vol. 1"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41 Panikkar, Raimon, "A Dwelling Place for Wisdom"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3

      42 김수천, "4세기의 이집트 수도자 마카리우스와 에바그리우스의 영성사상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19) : 231-26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