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 및 현직교사의 경험 = The current status of AI-related curriculum offerings and the experiences of current teacher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79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분석하고,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을 개설한 ...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분석하고,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을 개설한 전국 유아교육과가 설립된 대학교 61곳의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산출하였고, 인공지능 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교사 7명과의 심층면담을 나선형 자료 분석방법으로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으로 4년제 대학교는 49개 교과목이, 3(2)년제 대학교는 45개 교과목이 개설이 되었다. 4년제 대학교와 3(2)년제 대학교 모두 1학년 1학기에 가장 많이 개설되었고 4년제 대학교는전공 3학점으로 개설된 교과목이 많은 반면, 3(2)년제 대학교는 2학점 교양으로 개설된 교과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경험에서는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불안과 부정적인 시선 거두기, 인공지능교육과 만나고 놀이하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교육 실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I-related curriculum offer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d the experiments of current teachers regarding AI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w...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I-related curriculum offer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d the experiments of current teachers regarding AI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websites of 61 universities with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had established AI-related curriculum,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current teachers who had experience with AI education, using a qualitative data analysis approach to examine their experienc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of AI-relat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49 courses were offered in four-year universities, and 45 courses were offered in three-year(or two-year) colleges. Both four-year universities and three-year(or two-year) colleges offered the highest number of course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year. While four-year universities offered courses with major studies worth three credits, three-year(or two-year) colleges had more courses with general education worth two credits.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teachers' experiences with AI education, the study identified how current teachers get rid of a sense of vague apprehension, anxiety and negative perceptions, and specified the experiences of engaging with AI education through play.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foundational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