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경제 선진화를 위한 재정개혁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61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에 진입하며 국내외 경제ㆍ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한국 경제로 하여금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선진화는 곧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한국 경제 선진화는 양적 경제성장에서 질적 경제성장으로의 전환과 함께 요소투입형 경제성장에서 혁신주도형 경제성장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고, 경제체계는 산업화를 기반으로 한 경제체계에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경제체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한국 재정의 실태를 분석한 다음 한국 경제 선진화를 위한 재정개혁 과제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다. 재정개혁의 과제로서 조세개혁과 세출개혁 및 정부조직 개혁을 동반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는 삼위일체 개혁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개별 재정개혁 과제를 성취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21세기에 진입하며 국내외 경제ㆍ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한국 경제로 하여금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선진화는 곧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의미한다...

      21세기에 진입하며 국내외 경제ㆍ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한국 경제로 하여금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선진화는 곧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한국 경제 선진화는 양적 경제성장에서 질적 경제성장으로의 전환과 함께 요소투입형 경제성장에서 혁신주도형 경제성장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고, 경제체계는 산업화를 기반으로 한 경제체계에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경제체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한국 재정의 실태를 분석한 다음 한국 경제 선진화를 위한 재정개혁 과제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다. 재정개혁의 과제로서 조세개혁과 세출개혁 및 정부조직 개혁을 동반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는 삼위일체 개혁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개별 재정개혁 과제를 성취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1st century very rapidly changing socioeconomic environments forced the Korean economy to seek for its new paradigm.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implies its paradigm change. In other words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implies that economic growth paradigm changes from the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growth, from inputs oriented growth to innovation oriented growth and from industrialization to knowledge based economy.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fiscal problems of Korea and suggest fiscal reform measures for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We suggest that tax reform, government expenditure reform, and government structural reform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Also we suggest more specific fiscal reform action plans.
      번역하기

      In 21st century very rapidly changing socioeconomic environments forced the Korean economy to seek for its new paradigm.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implies its paradigm change. In other words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implies that econo...

      In 21st century very rapidly changing socioeconomic environments forced the Korean economy to seek for its new paradigm.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implies its paradigm change. In other words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implies that economic growth paradigm changes from the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growth, from inputs oriented growth to innovation oriented growth and from industrialization to knowledge based economy.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fiscal problems of Korea and suggest fiscal reform measures for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economy. We suggest that tax reform, government expenditure reform, and government structural reform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Also we suggest more specific fiscal reform action pl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경제ㆍ사회 환경의 변화와 재정개혁의 필요성
      • Ⅱ. 우리나라 재정의 실태분석
      • Ⅲ. 재정환경의 변화가 재정에 미치는 파급효과
      • Ⅳ. 세제개혁 과제
      • Ⅴ. 정부지출의 효율화를 위한 과제
      • Ⅰ. 경제ㆍ사회 환경의 변화와 재정개혁의 필요성
      • Ⅱ. 우리나라 재정의 실태분석
      • Ⅲ. 재정환경의 변화가 재정에 미치는 파급효과
      • Ⅳ. 세제개혁 과제
      • Ⅴ. 정부지출의 효율화를 위한 과제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호, "한국의 재정적자는 지속가능한가? - NPG 조건의 검정과 재정적자 조달방법" 한국금융연구원 2001

      2 전영준, "지속가능한 연금제도의 모색, in: 제5차 한국응용경제학회 정책세미나 발표논문집" 5-33, 2005

      3 한국개발연구원, "중장기 정책우선순위와 재정운영 방향" 한국개발연구원 2005

      4 김성태, "중장기 재정수요 전망과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2007

      5 김성태, "중기재정계획의 실효성 제고방안"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2007

      6 고영선, "중기재정계획(1998~2002)의 주요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1999

      7 김동건, "적자재정기조하의 중기재정운용방안" 기획예산처 1998

      8 고영선, "재정지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5

      9 김성태, "재정정책의 현안과 과제, in: 차기 정부의 공공부문 개혁 방향" 93-141, 2007

      10 김성순, "재정적자의 파급효과와 지속가능성" 한국재정학회 15 (15): 3-31, 2001

      1 이연호, "한국의 재정적자는 지속가능한가? - NPG 조건의 검정과 재정적자 조달방법" 한국금융연구원 2001

      2 전영준, "지속가능한 연금제도의 모색, in: 제5차 한국응용경제학회 정책세미나 발표논문집" 5-33, 2005

      3 한국개발연구원, "중장기 정책우선순위와 재정운영 방향" 한국개발연구원 2005

      4 김성태, "중장기 재정수요 전망과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2007

      5 김성태, "중기재정계획의 실효성 제고방안"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2007

      6 고영선, "중기재정계획(1998~2002)의 주요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1999

      7 김동건, "적자재정기조하의 중기재정운용방안" 기획예산처 1998

      8 고영선, "재정지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5

      9 김성태, "재정정책의 현안과 과제, in: 차기 정부의 공공부문 개혁 방향" 93-141, 2007

      10 김성순, "재정적자의 파급효과와 지속가능성" 한국재정학회 15 (15): 3-31, 2001

      11 김성순, "재정의 지속가능성 검정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일경상학회 27 : 67-85, 2003

      12 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2005

      13 한국개발연구원,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5

      14 문형표, "인구고령화와 저축: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in: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15 김동석, "인구고령화와 잠재성장률, in: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16 안종범, "인구고령화와 소비, in: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17 문형표, "인구고령화와 거시경제" 한국개발연구원 2005

      18 이원희, "역대 정부 및 이명박 정부의 예산낭비 근절 정책 평가와 방향" 9-42, 2008

      19 문소상, "성장잠재력 결정요인의 동태적 분석"

      20 김성태, "선진국 진입을 위한 세제개편 방안" 한국재정학회 조세개혁위원회 2008

      21 김성태, "선진국 진입에 대비한 한국재정의 대응과제" 기획예산처 2007

      22 전영준, "사회보장지출 및 세대간 재정부담 추계"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10 (10): 59-95, 2004

      23 김용하, "노후소득보장의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5

      24 안종범, "국민연금제도 개혁의 정치경제학" 한국응용경제학회 7 (7): 87-110, 2005

      25 국민연금연구원, "국민연금개혁 합의안과 기초노령연금법안의 의미와 향후과제" 2007

      26 국민연금연구센터, "국민연금 재정시뮬레이션을 위한 거시경제변수 장기전망" 2004

      27 김성태, "국가 간 재정규모 비교분석" 기획예산처 2006

      28 문형표, "공적연금제도의 운용평가와 개혁과제" 35-80, 2005

      29 김원규, "고령화에 따른 성장잠재력 둔화 가능성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39) : 2004

      30 김용하, "고령화에 따른 사회보장지출의 정부재정에 대한 효과 분석, in: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I)" 한국개발연구원 2003

      31 안종범, "고령화가 조세부담률에 미치는 영향, in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I)" 한국개발연구원 2003

      32 국회예산정책처, "NABO 세수추계 및 세제분석 2005~2009년" 2005

      33 기획예산처, "2005~200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2005

      34 국민연금발전위원회, "2003 국민연금 재정계산 및 제도개선방안" KDI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1.2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